
▶ (유대학)
‘ויחי’의 통계
① 글자 수 : 4,448
② 단어 수 : 1,158
③ 절 수 : 85
④ 행 수 : 148
▶ (유대학) ויחי의 שבע עליה(쉐바 알리야)
① עליה ראשון (알리야 리숀) : 창47:28-창48:9
야곱이 요셉에게 애굽에 장사하지 않을 것을 맹세하게 함
야곱이 침상에서 요셉에게 축복함
② עליה שני (알리야 쉐니) : 창48:10-16
야곱이 요세의 두 아들 에브라임과 므낫세에게 손을 엇갈리게 해서 축복하려 함
③ עליה שלישי (알리야 쉴리쉬) : 창48:17-22
요셉의
만류에도 불구하고 야곱이 손을 엇갈리게 해서 에브라임과 므낫세에게 축복함
④ עליה רביעי (알리야 리비이) : 창49:1-18
야곱이 죽기전에 자식들을 축복함-르우벤,시므온,레위,유다,스블론,잇사갈,단
⑤ עליה חמישי (알리야 하미쉬) : 창49:19-26
야곱이 죽기전에 자식들을 축복함-갓,아셀,납달리
⑥ עליה שישי ( 알리야 쉬쉬) : 창49:27-창50:20
베냐민을 축복하고, 막벨라 밭에 있는 매장지에 묻어줄 것을 당부하고 야곱이 죽음
요셉이 야곱을 막벨라 밭 굴에 장사함
요셉이 걱정하는 형들을 안심시킴
⑦ עליה שביעי (알리야 쉬비이) : 창50:21-26
요셉이 형제들에게 애굽땅에서 인도하게 될 것과
자신의 해골을 메고 올라갈것을 부탁하고 죽음
▶ (미드라쉬적 해석)
왜 야곱은 요셉을 불렀을까?
(창47:29)
창47:29 이스라엘이 죽을 날이 가까우매 그의 아들 요셉을 불러 그에게 이르되...
야곱(이스라엘)은 죽기 직전에 요셉을 불러서 아주 특별한 맹세를 하게했다.
야곱의 장자는 르우벤이다. 그런데 르우벤을 부르지 않았다.
야곱의 아들들 중에 특별히 왕이 될 것이라는
축복을 받은 아들은 유다이다. 그런데 유다를 부르지도 않았다.
왜 야곱은 이들 다른 유력한 아들들을 부르지
않고, 요셉을 불러서 맹세를 하게 했을까?
유대인 전통에서는 이러한 궁금증에 대해서 다음과
같은 해답을 내 놓았다.
지금, 야곱과 그의 모든 식구들은 애굽의 총리인 요셉의 보살핌(?)하에 있다. 당연히 지금 당장은 요셉이 가장 유력한 아들일 수 밖에 없다.
야곱은 자신이 죽은 후에 자신을 조상의 묘지에
장사지낼수 있는 실질적인 능력과 힘을 가지고 있는 아들은 유일하게 요셉이라고 생각했다.
그래서 다른 아들들은 무시하고 요셉을 불러서
특별한 맹세를 하게 했다는 것이다.
<출처 : בראשית רבה, צו' ה' 브리쉬트(창세기) 라바 96:5 >
▶ (미드라쉬적 해석) 왜 손을 허벅지 아래에 넣고 맹세를 했을까?
(창47:29)
창47:29 ...청하노니 네 손을 내 허벅지 아래에 넣고 인해와 성실함으로 내게 행하여
애굽에 나를 장사하지 아니하도록 하라
창세기에는 허벅지 아래 혹은 밑에 손을 넣고
맹세하는 장면이 두 군데 나온다.
위의 성경구절과 함께 창24:2,9에 나온다.
창24:2 아브라함이 자기 집 모든 소유를 맡은 늙은 종에게 이르되 청하건데
내 허벅지 밑에 손을 넣으라
창24:9 그 종이 이에 그의 주인 아브라함의 허벅지 아래에 손을 넣고 이 일에 대하여 그에게 맹세하였더라
참으로 특이한 방법이다. 왜 이러한 모습으로 맹세를 했을까?
이 질문에 대해 רבי אליעזר(랍비 엘리에제르) 는 다음과 같이 설명했다.
[그의 본명은 אליעזר בן הורקנוס(엘리에제르 벤 호르카누스)이다. 유명한 יוהנן בן זקאי
(요하난 벤 자카이)의 제자로써. 유대인 전통 문헌들에서 6번째로 많이 인용된1-2세기의 유명한 랍비이다]
그의 설명에 의하면, 하나님께서 모세에게 תורה(토라)를 주시기 이전에는 ‘할례 언약’에 근거해서 맹세를 했다는 것이다.
허벅지 아래에 손을 넣는 것은, 할례를 받은 증표에 가까운 곳에 손을 넣는 것으로써, 할례를 받은 사실을 분명히 상기시켜주는 행동으로 해석했기 때문이다.
그래서, 족장시대때에는 아주 중요한 특별한 맹세를 할때에는, 할례를 상기시켜주는 행동을 함으로써 맹세를 했다.
< 출처 : פרקי דרבי אליעזר, לט' 피르케이 드라비 엘리에제르 39 >
< 예전 글들>
▶ ‘침상 머리’에 대한 LXX의 해석과 미드라쉬적 해석
(창47:31)
▶ (미드리쉬적 해석) 야곱과 요셉은 왜 애굽 땅에 묻히기를 원치 않았을까?
▶ (성경구절) 요셉의 신앙고백 (창50:20)
▶ 12번째 Parshat Hashabua는 פרשה סתומה
(Parsha stuma) 이다.
▶ 야곱의 합법적 계승자가 유다가 된 이유
▶ 왜 요셉은 바로의 궁에 말해서 바로에게
전해달라고 했을까?
(창50:4)
▶ (고고학 이야기) ‘침상 머리’( ראש המטה : 로쉬 하미타)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