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청구내역 |
진료내역 |
A 사례 (남/65세) |
○ 상병명 : 치근낭 ○ 주요 청구내역 - 차56라. 치근낭적출술 1*1 - 차59가. 치근단절제술 - 전치 0.5 *3 - 자31. 골편절채술 (N0310) 1*1 치료재료대 : BIO-OSS 0.5G 2*1 |
○ 진단명: Radicular cyst on #11-13 area ○ 수술명: Cyst enucleation with ramal bone & Bio-oss graft Apicoectomy on #11-13, retrograde filling with IRM ○ 수술과정 1) 상악 #11주위로 침윤마취를 우측 하악 상행지 부위에 침윤마취 및 하치조 신경 전달마취를 시행함. 2) #14에서 21부위에 crevicular incision과 vertical incision을 가한 후 골막기자(periosteal elevator)를 이용하여 골막을 박리하여 cyst부위를 노출시킴. 3) Round bur를 이용하여 #11 치근단 하방에 개창을 시행하고 surgical curette을 이용하여 cyst를 소파하였음. 나온 조직을 병리검사의뢰 함. 4) 낭종에 노출된 #11,12,13번 치아는 치근단 절단술을 시행하고 IRM으로 역충전하여 근관패쇄를 확실히 함. 5) Ramal bone graft를 위해 bovie로 우측 하악 상행지 부위에 절개를 가한 후 골막기자를 이용하여 골막을 거상시켰음. Drill bit과 saw를 이용하여 ramal block bone을 채취하였음. 6) ramal bone을 miller에 넣어 분쇄한 뒤 BIO-OSS 두개와 함께 섞어 cyst 부위에 이식하였음. 그 위에 Greenplast로 다시 덮어 주었음. 7) 낭종 부위는 4-0 Nylon으로 봉합함. 좌측 하악상행지 부위에 Greenplast를 바르고 층별 봉합함. 8) 충분한 Irrigation 후, 치주농루치료제인 periodontal pack으로 보호 고정하고 구개측에는 splint를 고정하였으며, 압박 드레싱을 시행함. |
B사례 (여/49세) |
○ 주상병명 : 매복치 #45 ○ 주요 청구내역 - 차41마. 완전매복치 1*1 - 차41다. 구치발치 1*1 - 자31. 골편절채술 (N0310) 1*1 ※ 특정내역 5/ 7: Extraction #45 #46, & ramal bone graft |
○ 진단명: Radicular cyst on #45,46 area ○ 수술명: Cyst enucleation with ramal bone extraction of #45,46 ○ 수술과정 1) 좌측 하치조 신경에 전달마취를 #33-36부위의 전정부에 침윤마취를 시행함. 2) #43에서 46부위에 crevicular incision을 가한 후 골막기자(periosteal elevator)를 이용하여 골막을 박리하여 매복된 #45부위를 노출시킴. 발치겸자로 #46발거, Round bur와 기지를 이용하여 #46치아 위에 개창을 시행하고 발거함. 3) Ramal bone graft를 위해 bovie로 우측 하악 상행지 부위에 절개를 가한 후 골막기자를 이용하여 골막을 거상시킴. Drill과 saw를 이용하여 ramal block bone을 채취하였음. 4) 하방 cyst 부위는 ramal bone을 miller에 넣어 분쇄한 뒤 이식함. 그 위에 Greenplast로 다시 덮어 주었음. 5) 낭종 부위는 Mersilk로 봉합함. 우측 하악상행지 부위에 Greenplast를 바르고 층별 봉합함. 6) Copious Irrigation 후, 통상적인 방법으로 압박 드레싱을 시행함. |
※ Ramal bone graft : 하악지 골편채취
■ 참고
○ Tendon 채취 수기료 산정방법 (고시 제2007-46호, 2007.5.28)
○ 골수천자이식법(Bone Marrow Injection) 수기료 산정방법 (고시 제2007-46호, 2007.5.28)
○ 골육종 상병에 외과적 치료시 수가 산정방법 (고시 제2005-61호, 2005.9.9)
○ 이종호, 구강내외 골이식 (Bone grafting): Inadequate ridge에서 인공치 식립과 골이식(Bone grafting) 치의신보(2003.11.17) 제1222호
○ Chiapasco M et al, Autogenous onlay bone grafts vs. alveolar distraction osteogenesis for the correction of vertically deficient edentulous ridges: Clin Oral Implants Res. 2007 Aug;18(4):432-40.
○ Schwartz-Arad D, et al. Multitier technique for bone augmentation using intraoral autogenous bone blocks. : Implant Dent. 2007 Mar;16(1):5-12.
■ 심의내용
치근 낭, 매복치 등의 상병으로 치과 수술시 골결손 부위에 하악지(Ramal bone)로부터 조직의 일부를 조각(Block Bone) 형태나, 분쇄기기인 Trephine bur등으로 골편채취를 시행한 경우는 자-31 골편절채술의 소정점수로 인정함.
[2007.11.5 진료심사평가위원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