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는 산에 들 때마다 Runner's High를 꿈꾼다.

▲갈방산에서 조망한 청량산 일대.
◐ 프롤로그 ◑
나이 탓일까, 가까운 물체가 점점 흐릿하게 보입니다.
老眼이라는 진단인데, 작은 일에 너무 매달리지 말고,
좀 더 큰 세상을 보며 나이값 하라는 뜻으로 새깁니다.
산행도 마찬가지 이치가 통용되지 않을까 생각합니다.
산행 나이테가 늘수록, 고도 높여 한치씩 더 오를수록,
큰 그림을 그리면서, 사방천지 멀리 넓게 바라보면
무심히 지나쳤던, 숨은 알짜 풍경이 인지되곤 합니다.
오늘 문수산, 갈방산 등 참한 우리 산줄기를 밟으면서
우리 산줄기가 품고 있는 숨은 그림을 캐내보려 합니다.
◐ 산행 얼개◑
▶언제 : 2018년 8월 19일.
▶누구랑 : 대전한겨레산악회 여러분과 함께.
▶어디 : 축서사-문수산-가부재-붓든재-갈방산-다덕현.
(약13km, 6시간40분 소요)




▲산에 가는 날은,
눈을 뜨자 마자 이미 산속에 있다는 조바심이 일어납니다.
그 들뜬 기분으로 여기 문수산 아래 축서사까지 달려왔습니다.

▲아침의 산 공기가 몸 속의 감각들을 세밀하게 깨워줍니다.

▲여기가 실질적인 산행 들머리.
휙! 바람 흉내를 내면서, 가볍게 산 속으로 한 발 들여놓습니다.

▲미스터 스마일! 미스터 럭키가이!

▲코 닿을듯한 절대 경사도는,
원시적 천박함과 동물적 본능을 동시에 드러내게 만듭니다.
숨 넘어갈듯 헉헉 거리다가도 제 힘에 겨워 x발x발을 연발합니다.

▲에로틱 아트의 대가는 자연이었나.

▲폭풍 같은 허니문 오름이 끝나고 마침내 마루금.
설렘으로 통칭되는 감정이 온몸을 휘감아 돌고 있습니다.

▲우리 미스터 스마일께서 이르시길,
"설레임으로 가득했던 산행이 요즘은 두려움이 반입니다." 100% 공감! 공감!

▲언제 날 잡아서 적당한 때, 고사리 맛 좀 봐야할까부다.

▲문수산 안내판에 세월의 때가 잔뜩 끼어있네요.
봉화군수님! 문수산 문수보살께서 서운해 하십니다. 안내판 교체 좀 해주세요.

▲왼쪽의 마루금을 잊으시면,
문수산 고스락에서 직진 알바 하기 십상이지요.

▲이상형 퀸카를 만났을 때의 기분이 이럴까.
한 발짝이면 문수산이라 생각하니, 몸이 두둥실 떠오르는 기분이 듭니다.

▲사랑만큼 적나라하지는 않지만, 사랑만큼 들떠게 하는 문수산입니다.

▲자랑스런 산벗님들.
주변 경계에 안테나를 곤두세우며 온 몸으로 산을 받아들입니다
(시계진행방향 순, 죽령 기점)

▲(문수산 조망 1). 도솔봉 우측은 죽령일 것이고.

▲(문수산 조망 2).
문수산의 최고 덕목은 소백산을 원없이 바라볼 수 있다는 점.
똑딱이의 한계와 날씨, 찍사의 기술 부족 등 그림의 퀄리티가 영 시원찮습니다.

▲(문수산 조망 3).
대간 아니라고 깔보지 말라고, 형제봉이 시위하는 듯합니다.

▲(문수산 조망 4).
선달산과 옥돌봉 사이로 시꺼먼 넘이 참 잘 생겼네요.

▲(문수산 조망 5). 옥돌봉.

▲(문수산 조망 6). 강원도의 힘이 느껴지는 풍경입니다.

▲(문수산 조망 7).
세상 모든 곳에 신이 있을 수 없어서 어머니를 만들었다면,
세상 곳곳에 어머니 같은 품을 느끼라고 산을 만든 것 같습니다.

▲(문수산 조망 8).
오늘, 문수산에 오른 것은 크나큰 행운입니다.
함백산과 태백산까지 두루 눈에 넣을 수 있다니, 행복이 넘쳐 흐릅니다.

▲(문수산 조망 9).

▲(문수산 조망10). 왼쪽 큰 덩치는 일월산.

▲(문수사 조망11). 왼쪽 울퉁불퉁한 산군은 청량산 일대.

▲(문수산 조망12).
학가산은 종주 내내 등대 역할을 톡톡히 할 내성기맥의 간판 얼굴입니다.

▲조망이 공개적으로 축하하기 위한 장치라면
야생화는 비밀스럽게 축하하기 위한 상징 같은 것.

▲문수산의 조망 환타지에서 겨우 헤어납니다.
다시 출발합니다. 걸음걸음에 또 다른 환타지를 꿈꾸면서.

▲미인과 함께 거리를 걷는 것만으로도 몸값에 프리미엄이 붙듯이,
멋진 산을 오르는 그 행위 자체만으로도 우리의 존재 의미는 껑충 뛰어오릅니다.

▲산길이 점점 험악해지고 있습니다.

▲위험구간 지나다가 살짝 고개를 들었더니,
저 멀리 정면에 시커먼 놈이 손짓하고 있습니다. 학가산이라는 문패를 달고서.

▲우리는 각기 다른 인격체이기 때문에 다른 점이 있어서 좋고,
다른 인간의 범주 안에서 산사랑의 같은 점이 있어서 더욱 좋습니다.

▲가지 사이로 987.1봉이 아름다운 라인을 자랑하네요.
마루금은 저 봉우리에서 우측으로 방향을 틀어 달려가겠지요.

▲좌측 아래 풍경.
산자락에 폭 담긴 빨간 집에서 선망의 연기가 피어올라 옵니다.

▲오늘 산행의 하이라이트 지점.
빨간 원 안의 줄이 간당간당. 후답자들의 안전을 위해 과감히 잘라버렸습니다.

▲새로 설치한 (빨간) 보조자일을 잡고,
산우님이 시험적인 클라이밍을 하고 있습니다.

▲산사랑에 빠지다 보면,
사랑이라는 추상명사가 마루금이라는 보통명사 앞에서 제대로 맥을 못춘다는 사실....

▲훤한 공간 사이로 멋진 산줄기들이 스스럼 없이 들이댑니다.
내성기맥 마루금은 풍락산 옆탱이로 다정하게 손흔들며 지나가겠지요.

▲돌아보니, 지나온 1154봉이 미끈한 모습으로 서 있습니다.

▲분위기 좋은데 값까지 싼 음식점이 감동이듯,
멋진 풍경에 건강까지 챙겨주는 산행은 말해 무엇하리.

▲웬 허공침대(Portaledge)?
문수산 자락은 여러가지를 보여주네요.

▲산을 오래 다니다 보면, 사람은 산을 닮아갑니다.

▲돌아보기(가부재).

▲고갯길을 만나면, 가끔 눈물이 차오를 때가 있습니다.
이 마루를 스쳐갔을 옛 보부상들의 애환이 어쩌면 핏속에 흐르고 있는 지도.

▲춘양목 한 그루가 세월을 삭이며 말없이 서 있습니다.

▲그래도 시간은 흐르고, 우리의 마루금 여행은 계속됩니다.

▲987.1봉.

▲뿌리째 뽑힌 모습을 보고 단어 하나를 떠올립니다.
'있는 모두'를 뜻하는 '송두리'라는 말.
송두리째 넋을 잃고, 타박타박 빈 가슴으로 산속을 걸어갑니다.

▲우리는 지금 '마루금 여행'이라는 매력적인 로드무비를 찍고 있는 중.

▲굴곡진 붉은 소나무를 만나면, 가슴에 뭔가 텅 하는 울림이 느껴집니다.
온갖 풍상 견뎌내며 긴 세월을 품고 왔을, 무거운 사연이라도 풀어낼 것 같아서.

▲이제 저 갈방산만 넘으면 남은 여정은 식은 죽 먹기렸다!

▲좌우 반듯한 산경의 오묘함을 실증해보이는 마루금 모습.

▲내가 산을 타는 게 아니라
두 다리가 나를 끌고 간다고 생각하니 마음이 오히려 편해집니다.

▲거꾸로 처박힌 나뭇가지가
산행을 방해하는 게 아니라 오히려 지루함을 들어주는 조수 역할을 합니다.

▲산길에서 또 다른 길을 만났습니다.

▲갈방산을 향해 올라서는데 위험한 함몰지대가 나타납니다.

▲접신한 무당 마냥
그냥 산길에 푹 빠져서 산이 되어 걸어갑니다.

▲누워있는 놈, 썩은 채로 서 있는 놈, 뿌리박고 싱싱하게 서 있는 놈.
두 발로 걸어다니는 게 큰 자랑이라도 되는 양, 그들 사이를 의기양양하게 걸어갑니다.

▲또 함몰지대 출현.

▲저 소나무 뿌리,
참 사연도 많이 얽혀 있겠네 그려. 한번 들어보고 싶구만.

▲갈방산.

▲멋쟁이들끼리 의기투합했습니다.

▲얼마나 간절히 기다리면 저런 포즈가 나올까.

▲좌측 멀리 일월산 자락.

▲문명산, 청량산 자락.
그 앞으로는 낙동강물이 유유히 흐르고 있겠지요.

▲쭉쭉 뻗은 소나무들 사이로 여백의 아름다움이 돋보입니다.

▲(갈방산 조망1).
백지에 소나무 두 그루를 축으로 창 하나 띄우고,
거기에 아름다운 우리 산하를 [Ctrl+V] 했더니 이런 선경이....

▲(갈방산 조망2). 문명산, 청량산 의상봉, 축융봉.

▲(갈방산 조망3). 좌측 끝 축융봉, 우측 끝 풍락산.

▲(갈방산 조망4).
만리산은 마루금이지만, 풍락산은 마루금이 아니고.

▲(갈방산 조망5). 만리산, 용두산.

▲늘 활기가 넘치는 사람을 보면 쉽게 반하듯이,
다양한 모습을 보여주는 마루금을 만나면 절로 마음을 빼앗깁니다.

▲저 소나무는 어디까지 올라가려고 끝없이 뻗쳤는가.

▲나 좀 데리고 가라고 생살을 붙잡고 늘어지는,
가시덤불을 피하다보니, 이런 아픈 모습을 대면하네요.

▲여기, 바위절벽을 자유자재로 옮겨다니는 산다람쥐가 있습니다.

▲계절이 바뀌듯 산길이 바뀌어, 포장도로가 앞을 가로막네요.

▲저 길은 우리를 잊을지 모르지만, 저 다리는 저버릴지 모르지만,
우리는 기억할 것입니다. 왜냐구요. 여기가 다음 구간 들머리이기 때문이지요.

▲살다가 어떤 어려움이 찾아오면,
오늘 이 길의 산듯한 미소를 기억할 것입니다.

▲다음 구간 들머리 찜!
불꽃놀이 같은 웃음이 터지는 구간이기를 기대합니다.

♣♧♣♧♣ ♣♧♣♧♣ ♣♧♣♧♣ ♣♧♣♧♣ ♣♧♣♧♣
◐ 에필로그 ◑
마라톤에 Runer’s High라는 현상이 있다고 합니다.
고통이 한계점을 넘어설 때 갑자기 밀려오는 쾌감.
장거리 산행에서 비슷한 걸 경험한 적이 있습니다.
배낭무게와 날씨와 체력이 일정한 한계를 찍으면
불현듯 전쟁 같던 고통이 사그라드는 순간이 옵니다.
현실 육체를 초월한, 싱싱한 육체가 덧입혀지는 기분.
제 경우, 출발한 지 대략 열흘쯤 되는 시점이었습니다.
북진 대간은 덕유산 이후, 남진 낙동의 경우 주왕산쯤.
존재의 밑바닥에 다다랐을 때 비로소 경험하는 희열.
새벽, 텐트에서 눈 뜨면 걷고 있는 듯 몽유의 상태.
어서 일어나 산을 타자는, 몸 구석구석의 근질거림!
이는 구간종주 산행에서도 가능한 현상이 아닐까.
매 구간 일정량의 산행거리 주파하고 몰입하다 보면
태풍처럼 밀려오는 오르가즘 언덕이 나타나지 않을까.
문수기맥은 어느 지점에서 러너스 하이를 찍게 될까.
매 구간마다 정점을 꿈꾸면서 기쁜 마음으로 산에 듭니다.
첫댓글 문수산의 조망. 공부 많이 됩니다.
청량한 산숲에 바람이 불어 산행하기 적당한 하루였더랬습니다.
문수산 고스락에 서서, 굴비 엮음처럼 매달려 나오는 주변 풍경들에 푹 빠졌더랬습니다.
그 좋은 산자락에서 같은 마음을 느끼는 산우님들이 있어 행복했습니다. 감사합니다.
감독에 따라 영화의 느낌이 달라지듯
멋진 로드무비 한편~ 만드셨네요~ ^^
즐감했습니다!!!복습하는데 교과서 같습니다 ~ 감사합니당ㅎ
태생적이라는 말을 생각합니다.
말 하나 덧붙여, 태생적 아름다움이라는 의미를 떠올려 봅니다.
'태생적'이라는 말은 어찌 고쳐볼 도리가 없다는 일정 한계를 내포하는 말 같은데,
오늘, 문수산 자락을 오르내리면서 자연에도 이 태생적 아름다움이란 게 있구나 생각했지요.
태생적 동질성을 안고 마루금이라는 아름다운 산행을 할 수 있다니, 고맙고 감사한 마음이 넘칩니다.
붓든재까지는 두 번째 산행이나 우회를 해서 그나마 다행스러운 산행이었습니다.
님의 산행기를 통해 지난날 간 대간산행이 새롭게 생각납니다. 많은 산 공부를 하고 갑니다. 감사합니다.
산은 우리 존재의 의미를 확실하게 각인시켜 주는 듯합니다.
산에 들어서, 힘들고 즐거운 여러 경험을 하게 되니 말입니다.
같이 산행하면서, 함께 다시 태어나는 새로운 경험을 하게 되는 것 같습니다.
함께 하는 산행이 너무 즐겁습니다.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