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연탄 [有煙炭]
요약
무연탄에 대응하는 석탄의 분류 명칭이다. 이탄, 아탄, 갈탄, 역청탄 등이 속하며, 다량의 휘발분을 함유하여 화염을 내며 탄다. 발전용으로 사용된다.
본문
무연탄에 대응하는 말이다. 다량의 휘발분을 함유하고 있기 때문에 연소될 때 화염을 내며 탄다. 이탄(泥炭) ·아탄(亞炭) ·갈탄(褐炭) ·역청탄 등이 이에 속한다. 발열량이 높아서 발전용으로 사용된다.
[출처] 유연탄 [有煙炭 ] | 네이버 백과사전
무연탄 [無煙炭, anthracite]
요약
탄화가 잘 되어 연기를 내지 않고 연소하는 석탄으로 휘발분이 3∼7%로 적고 고정탄소의 함량이 85~95%로 높다. 따라서 연소시 불꽃이 짧고 연기가 나지 않는다. 비점결성으로 코크스는 되지 않는다. 점화점이 약 490℃이므로 불이 잘 붙지 않지만 화력이 강하고 일정한 온도를 유지하면서 계속적으로 탄다. 주로 고생대의 오래된 지층에서 산출되며, 한국의 석탄 대부분이 여기에 속한다.
↑ 무연탄 / 강원도 태백시 소도동 태백석탄박물관. 무연탄 원석이다.
본문
역청탄(瀝靑炭)보다 석탄화도가 더욱 진행된 석탄으로 휘발분이 3∼7%로 적고 고정탄소의 함량이 85~95%로 높다. 따라서 연소시 불꽃이 짧고 연기가 나지 않는다. 비점결성으로 코크스는 되지 않는다. 점화점이 약 490℃이므로 불이 잘 붙지 않지만 화력이 강하고 일정한 온도를 유지하면서 계속적으로 탄다. 주로 고생대의 오래된 지층에서 산출되며, 간혹 신생대 석탄으로도 지각변동의 동력작용이나 화산암의 열작용으로 무연탄화되어 있는 경우가 있다.
한국의 석탄은 대부분 무연탄으로 주로 고생대 평안계 지층에서 산출되는데 삼척탄전 ·강릉탄전 ·정선탄전 ·영월탄전 ·화순탄전 등이 여기에 속한다. 또한 중생대 대동계 지층에서 산출되는 것으로는 충남탄전 ·문경탄전의 일부가 여기에 속한다. 세계적으로는 유연탄의 생산이 많으나, 한국은 무연탄의 산출이 많으며, 세계 주요 산출국에 속한다.
[출처] 무연탄 [無煙炭, anthracite ] | 네이버 백과사전
무연탄과 유연탄의 차이 ods92 답변채택률 92.8%
2007.03.27 22:36
가장 큰 차이점은 연소시에 연기가 나고 안나고의 차이점입니다.
네이버 백과사전에 무연탄에 대한 것이 나오네요
무연탄 [無煙炭, anthracite]
탄화가 잘 되어 연기를 내지 않고 연소하는 석탄으로 휘발분이 3∼7%로 적고 고정탄소의 함량이 85~95%로 높다. 따라서 연소시 불꽃이 짧고 연기가 나지 않는다. 비점결성으로 코크스는 되지 않는다. 점화점이 약 490℃이므로 불이 잘 붙지 않지만 화력이 강하고 일정한 온도를 유지하면서 계속적으로 탄다. 주로 고생대의 오래된 지층에서 산출되며, 한국의 석탄 대부분이 여기에 속한다.
↑ 무연탄 / 강원도 태백시 소도동 태백석탄박물관. 무연탄 원석이다.
<!-- //참고 자료 VIEW -->
역청탄(瀝靑炭)보다 석탄화도가 더욱 진행된 석탄으로 휘발분이 3∼7%로 적고 고정탄소의 함량이 85~95%로 높다. 따라서 연소시 불꽃이 짧고 연기가 나지 않는다. 비점결성으로 코크스는 되지 않는다. 점화점이 약 490℃이므로 불이 잘 붙지 않지만 화력이 강하고 일정한 온도를 유지하면서 계속적으로 탄다. 주로 고생대의 오래된 지층에서 산출되며, 간혹 신생대 석탄으로도 지각변동의 동력작용이나 화산암의 열작용으로 무연탄화되어 있는 경우가 있다.
한국의 석탄은 대부분 무연탄으로 주로 고생대 평안계 지층에서 산출되는데 삼척탄전 ·강릉탄전 ·정선탄전 ·영월탄전 ·화순탄전 등이 여기에 속한다. 또한 중생대 대동계 지층에서 산출되는 것으로는 충남탄전 ·문경탄전의 일부가 여기에 속한다. 세계적으로는 유연탄의 생산이 많으나, 한국은 무연탄의 산출이 많으며, 세계 주요 산출국에 속한다.
유연탄
무연탄에 대응하는 말이다. 다량의 휘발분을 함유하고 있기 때문에 연소될 때 화염을 내며 탄다. 이탄(泥炭) ·아탄(亞炭) ·갈탄(褐炭) ·역청탄 등이 이에 속한다. 발열량이 높아서 발전용으로 사용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