02-왜? RGB이고 RGB를 기준으로 사진 작업을 해야 하는가?
아날로그 컬러사진은 촬영한 필름을 대부분 현상소에 의탁하고, 인화 또한 마찬가지지만
디지털사진 작업은 개인적으로 사진 파일을 작업하여 출력만 의탁하는 경우가 많으나, 개인별 작
업한계 차이로 출력물의 색상도 다양하게 표현되고 있으며,
특히나 모니터로 본 색상과 사진으로 보는 색상의 차이가 현저하게 다를 때도 있어서 그 궁금증
을 다소나마 해소 하기 위해 기초부터 살펴볼까 합니다.
1. 디지털카메라 영상은 어떻게 만들어지고 저장되는가?
전문적인 용어와 내용은 생략하고 요약하면
빛(피사체)이 렌즈를 통과하여 이미지센서에 피사체의 형상이 맺힌 아날로 신호를 A/D컨버터
(아날로그 신호를 디지털 신호로 변환)를 거쳐 메모리 카드에 디지털 데이터로 저장된 것이
RAW파일 입니다.
2. 빛이란 무엇인가?
전파(電波)주파수 대역에서 적외선과 자외선 사이에 있는 주파수를 가시광 선 주파수라 하고
750nm에서 380nm 주파수대역을 가시광선(빛)이라고 합 니다.
3. 빛의 3원색과 물감의 3원색
빛의 3원색은 : Red Green Blue – RGB
물감의 3원색 : Red Blue Yellow
프린터 잉크의 4원색 : Cyan Magenta Yellow를 합친 Black에 B와 Blue 의B가 겹쳐서 검정
(Key=Black)의 약자로 색 구형 체계 중 잉크 체계를 의미- CMYK
위와 같이 디지털사진은 가시광선(빛=영상)을 디지털 데이터로 저장한 것을 영상 신호로 변화
한 것이 디지털 사진입니다.
그래서 사진 작업도 빛(색)을 중심으로 메뉴를 선택할 필요가 있으며 물감의 3원색 메뉴는 숙
달 후 응용할 것을 권장합니다.
※ 포토샵을 처음 사용할 때는 사진만 작업한다고 생각할 수도 있으나 포토샵 의 용도는 다
양 합니다.
4. 색공간(色空間)
사진 및 디자인이나 그래픽 등 용도에 따른 색공간표를 보면 많은 도움이 되리라 생각합니다.
포토샵도 사진과 그래픽 등 색채와 깊은 관계가 있으므로 프로그램에서 색상설정을 해야 합니다.
프로그램의 버전(version)이 높을수록 색상설정에서 작업영역도 많아지지만
처음에는 Adobe RGB(1998)부터 사용하면서 적응하는 것도 하나의 방법이 되겠습니다.
편집/색상설정과 더불어
보기/저해상도 인쇄설정도 용도에 따라 설정해 주어야 합니다.
결론
1. 포토샵에서 RAW파일 작업 과정은 Plug in 프로그램의 Camera Raw에서 하게 되는데 필름에
비유하면 암실에서 현상하는 과정과 같으며, 여기서 작업이 끝난 파일은 포토샵에서 재작업을
하여 저장하는 것은 인화하는 과정에 비유할 수 있습니 다.
2. 포토샵은 Adobe RGB. sRGB. CMYK등의 색상을 선택해서 작업할 수 있 고, 용도도 다양하므로
전문분야로 작업 시 색상설정과 메뉴 선택을 알맞게 사용해야 하는 종합프로그램 입니다.
3. 그리고 파일 작업에서 중요한 것은 RAW파일 이미지 데이터가 저장 직전까지 그대로 유지 되
어야 하고, 저장 시 TIFF 또는 JPG로 해야 된다는 뜻 입 니다.
※ 이상으로 사진에서 포토샵 기초에 관한 내용을 마치고
다음 단원(單元)에는 제조회사별 전용프로그램을 알아보겠습니다.
2020.10.09.
정 원 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