과전류 차단기에 대하여 간선이란 인입점, 발전기, 축전기에서 변압기, 배전반 사이의 배전선로 또는 배전반에서 말합니다. 1개 간선에는 많은 분기회로를 포함하게 되므로 간선 고장은 피해가 넓은 범위까지 파급되므로 부하용량에 적합한 간선 크기 및 과전류차단기의 적정용량 시설로 간선을 보호하여야 한다.
1) 간선 결정시 고려 요소 - 전선의 허용전류(주위온도 영향,수용율 고려),전선의 전압강하, 기계적 강도, 장차 증설 또는 변경을 위한 여유분 고려, 부하특성에 따른 여유분 고려(고조파분) 2) 전선의 허용전류 상시 허용전류-전기기계 기구의 정격전류, 전선의 최고허용온도, 과전류차단기시설에 따른 전류 조 건을고려한다.
ⓛ 간선의 허용전류 ㉮ 백열등, 전열기, 기타 소형기계기구(전동기200w(1/4HP이하), 소비전류 6A이하-냉장고, 선풍기) - 정격전류의 합 X 1.0배 ㉯ 기동전류가 큰 전기기계기구 - 전동기와 같은 기종을 사용할 경우 50A 이하 : 정격전류의 합 X 1.25배 50A 초과 : 정격전류의합 X 1.1배 ㉰ 함께 사용한 간선 허용전류 고, 50A보다 많을때에는 X 1.1배로 선정을 한다. ㉱ 과전류차단기 부착 및 선택할 경우에는 전열기의 전류 + (전동기전류 X 3)의경우와 전체전류의 합 X 2.5의 경우 중에 전류가 적은 값을 선택한다. 또한 간선 허용전류 100A 초과시 과전류차단기 정격은 앞전에 있는 내용을 무시하고 직근 근사치의 상위값을 선정한다. (예를들면 146A가 나왔으면 그 근사치인 150A나 175A의차단기를 설정합니다) ㉲ 과전류차단기 설치시 유의사항 - 개폐기 및 과전류차단기는 분기점으로부터 3m이내의 곳에 시설한다. - 분기선 허용전류가 간선허용전류의 35%초과 55%이내이면 개폐기 및 과전류차단기는 3m넘고 8m이 내의 곳에 시설할 수 있다. - 분기선의 허용전류가 간선 허용전류의 55%초과 경우 개폐기 및 과전류차단기는 분기점으로부터 8m 를 초과할 수 있다.
② 단락 시 허용전류 - 단락, 지락 시 고장전류가 흐르는 시간이 짧은 기간 동안(2초 이하)통전 가능한 허용전류. ③ 순시허용전류 - 0.5초이내 최대로 허용할 수 있는 순시허용전류 ④ 간헐부하 허용전류 - 통전 On/Off시 허용전류. 3) 배선용차단기(MCCB) 가) MCCB 설치규정 : 상시상태의 전로를 수동 또는 전기조작에 의해 개폐할 수 있고 또한 과부하 및 단락사고 시에 자동적으로 전로를 차단할 수 있는 기구로 저압회로의 보호를 위한 자동차단기로 설 치 의무화
나) MCCB의 특성 ① 자동트립핑 특성 - 시연 트립핑 특성(열동트립) : 바이메탈에 의한 열동식, 기동전류나 일시적 과전류에는 동작하지 않 는다. - 순시 트립 특성(전자트립핑): 전자석에 의한 전자식 차단기, 단락전류가 흐를 때 순간적으로 회로차단 ② 한류요소 단락전류를 그대로 통과시키지 않고 제한하여 소형의 차단기로 큰 차단용량
다) 보호협조 <보호방식> ① 선택차단방식 고장회로에 직접 관계하는 보호장치만 동작하고 건전한 회로는 그대로 급전하는 방식 ② 후비차단방식(캐스케이드차단방식) 주배전반 모선에 접속되는 보호장치만 설치점에서의 추정단락전류이상의차단용량을 가지고 급전 회로의 보호장치는 추정단락전류보다 작은 차단용량으로 구성한다. ③ 전정격방식 모든 보호장치를 설치점에 흐르는 추정단락전류이상의 차단용량을 지닌 보호장치로 구성한다.
라) 보호협조방식 ① MCCB와 ACB의 협조 - MCCB의 차단용량이 단락지점에서 단락전류에 대해 부족한 경우 ACB에 의해서 MCCB를 후비보호 시킨다. - 비교적 소용량의ACB와 대용량의 MCCB조합을 합니다. ② MCCB와MCCB의협조 - 선택차단방식 - 분기의MCCB와주 회로용 MCCB의 동작특성이 교차하지않도록 구성을 한다 - 주회로용 MCCB릴레이 시간이 분기의 MCCB전차단시간 보다 길게 설정을 한다. - 케스케이드보호방식 - 분기점 MCCB의 설치점 추정단락전류가 MCCB의차단용량을 넘을 경우 주회로 MCCB에 의해서 후 비보호하는방식 |
출처: 양회장의 블로그 원문보기 글쓴이: 양회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