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대식 차례 및 기제사 순서
1. 분향강신(焚香降神)
신위께서 강림하시어 음식을 드시기를 청한다는 뜻이다.
제주가 신위 앞에 나아가 꿇어 앉아 분향하고 두 손으로 잔을 들면 집사가 술을 조금만 따른다.
제주는 잔을 향불에 시계방향으로 세 번 돌려 헹구듯 하여 모사나 빈 그릇에 붓고 집사에게 주면
집사는 빈 잔을 공손히 먼저 아버지 神位앞에 올리고 같은 방법으로 두 번째 잔은 어머니 神位앞에
올린다.
2. 참신(參神)
분향강신을 마친 후 제주이하 모든 참석자가 함께 두 번 절한다. 참신 후 집사는 빈 잔을 모두 내리고
젓가락을 집어 상에 세번 두드리고 음식위에 올려둔다. (잔을 올릴 때마다 젓가락 끝을 음식마다 접촉
하고 옮긴다.)
3. 초헌(初獻)(첫 번째 올리는 잔)
참신을 마친 제주는 꿇어앉고 두 손으로 잔을 들면 집사가 술을 따라 잔을 채운다. 이때 제주는 강신 때
처럼 잔을 향불에 돌리지 않고 머리를 약간 숙인 체 잔을 두 손으로 향불위에 공손히 받들어 올렸다가
집사에게 주면 집사는 아버님, 어머님 순서로 신위 앞의 제상에 올린다. 초헌에는 제주 혼자 두 번 절한다.
4. 독축(讀祝)
제주와 모든 사람이 굻어 엎드리고 집사가 축문을 읽는다. 축을 읽고 나면 참가자 모두 재배(再拜)한다.
5. 아헌(亞獻)(두 번째 올리는 잔)
두 번째 잔은 제주 다음가는 근친자 또는 장손이 올린다. 아헌때는 손 아랫사람만 합동으로 재배한다.
6. 종헌(終獻)(세 번째 올리는 잔)
종헌자의 잔에는 술을 가득 채우지 않는다. 종헌에는 아헌자의 다음가는 근친자가 올린다. 집안에 따라
며느리나 손부들 중 제일 윗사람 즉 맞종부가 잔을 올리며, 이럴 때는 부녀자들만 합동으로 절을 한다.
부녀자가 절할 때는 이마에 손을 올리고 4번 절 하는 것이 원칙이다.
7. 계반(啓飯). 삽시(揷匙)
계반은 메(밥)그릇의 뚜껑을 열어놓는 것. 삽시는 메 그릇에 수저를 꽂는 것을 말하며 반드시 숟가락
바닥이 우측으로 향하도록 꽂는다.
8. 합문(闔門)
첨작 후 참석자 일동이 문을 닫고 밖으로 나와 엎드려 있는데 시간은 아홉 숟가락을 뜨는 시간이다.
밖으로 나가는 것이 여의치 않으면 제상 쪽을 쳐다보지 않고 엎드린 채 그데로 기다리면 된다.
9. 계문(啓門)
제주가 헛기침을 세 번 하면 문을 열고 일제히 들어가거나 고개를 들고 일어선다.
10. 헌다(獻茶)
갱을 정안수로 바꾸어 올리고 메(밥)을 조금씩 3번 떠서 말아놓고 숟가락을 그릇에 담그어 놓는다.
11. 첨작(添酌)
첨작이라 함은 종헌자가 채우지 않은 술잔에 제주가 무릎 꿇고 다른잔에 술을 조금 따뤄 좌 우측
사람을 통하여 술을 채우도록 하는 것. 첨작 후 참가자 모두 재배한다.
12. 철시복반(撤匙復飯)
수저를 거두고 메(밥)그릇을 덮는다. 참가자 전원이 재배(再拜)를 한다.
13. 사신(辭神)
제례가 끝나 신(神)을 작별하여 보낸다는 의미.
제주가 지방과 축문을 들고 대문 밖으로 나오면 참가자 전원이 따라 나온다. 제주는 축문과 지방을
땅에 놓지않고 손에 든체 불태워 재가 하늘로 날아가게 한다. 이 때 참가자 전원이 합장하고 배웅한다.
14. 철상(撤床)
먼저 두 사람이 제상의 양쪽 모서리를 잡고 약간 움직인 다음 제상의 위쪽에서부터 다른상으로 옮겨
물린다.
15. 음복(飮福)
조상이 주는 복된 음식이라 하여 제사 참가자 모두 시식하는데, 제일 어른부터 시작하여 아랫사람의
순서로 음복을 한다. 예부터 제사에 쓴 술은 어른 아이 할것 없이 음복하게 하는데, 이 때 장유유서
(長幼有序)의 도와 주도(酒道)를 가르치며 이웃에도 나누어 먹는 미풍양속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