리커트 척도란
리커트 척도란 질문에서의 응답자 판단을 돕기 위해서 척도화된 응답방법으로 응답자가 가진 생각을 점수화시켜 나타냅니다. 일반적으로 5점, 7점, 9점 척도를 사용하나, 5점 이하라도 등간격일경우라면 리커트 척도라 볼수 있습니다. 리커트 척도의 가장 중요한 점은 매우 선호에서부터 매우 낮은 선호까지같은 수의 긍정과 부정적인 응답항목과 하나 이상의 중간(중립)으로 구성되어야 한다는 점입니다.
리커트 척도의 가장 큰 장점은 응답자의 판단을 매우 쉽게 도와주며, 척도의 양쪽 끝에는 응답자들에게 방향을 알려주기 위해서 명칭을 붙여주고 동시에 항목에 숫자를 부여하는 것이 효과적입니다. 그러나, 리커트 척도는 정확히 말하면, 서열척도이지 구간척도는 아닙니다.
즉, 사람들의 감정이나 만족도는 개인의 특성상 차이가 있어 객관화 하기가 어렵기 때문이죠.
매우불만족, 불만족, 보통, 만족, 매우만족 이라는 응답을 예로 들어 매우불만족의 3배가 보통이라고 할수 없기 때문에 구간척도라고 할수 없죠? 그래서,서열척도이지만, 구간척도처럼 사용한다는 의미에서 총화평정척도라고도합니다. 리커트 척도가 서열척도임에도 불구하고 구간척도로 사용하는 이유는 리커트 척도 만큼 응답자의 판단을 용이하게 하고, 결정하기 쉽게 하며, 자료입력과 분석을 쉽게 할수 있는 척도가 없기 때문입니다.
만약 리커트 척도를 대체할만한 척도가 나타난다면 리커트 척도는 구간척도로 사용할수 없을겁니다. 결론적으로 리커트 척도 역시 단지 이용 가능한 여러가지 형태의 척도 가운데 하나에 불과하지 절대적인 척도는 아니라는 점입니다.(인터넷 글 인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