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일시 : 음력 10월 10일
◎ 위치 : 경기도 파주시 문산읍 이천리(지내울) 박산내 갑좌
-------------------------
◎文敬公墓位奠掃執事分定 문경공묘위전소집사분정 - (1997.11.9 예시자료)
초헌 初獻 (文鎬) - 종손, 불참시 연장자 : 강신하고 처음으로 잔을 드린다.
아헌 亞獻 -(銘. 漢秀) 두 번째 잔을 드린다.
종헌 終獻 - 마지막 세 번째 잔을 드린다.
집례 執禮(文烈) - 홀기를 맡아 창홀을 한다.
축 祝 -(鎭川) 축을 읽어야 하며 국궁국사소경후향안전삼희흠(기침을 세 번함)음복술을 헌관에게
드리고 축문을 태운다.
찬자 贊者 -(七烈) 집례가 홀을 부르면 행사 진행에 따라 응창한다.
알자 謁者 -(光烈) 헌관을 모시고 행사봉행을 도와 드린다.
판진설 判陳設(聲烈. 永煥. 烈. 東祚) - 제수를 법도에 맞게 진설한다.(4명 까지)
봉향 奉香(鎭賢) - 분향할 때 향합을 열어 받쳐들고 현관 좌측에 꿇어 앉는다.
봉로 奉爐(順烈) - 분향 할 때 향노 두껑을 열어 받쳐 들고 헌관 우측에 꿇어 앉는다.
봉작 封爵(景烈.圭錫) - 잔을 헌관에게 드린다.(좌우 2명)
전작 奠爵(福烈. 鎭周) - 헌관으로부터 잔을 받아 위전에 드린다.(좌우2명)
통갈 通喝(秉澯) - 집사 분정기를 낭독한다(산신위 까지)
--------------------------------
◎ 墓祭笏記 (文敬公位) 묘제홀기 문경공위
2014문경공묘제홀기.hwp
◎墓祭笏記(文敬公位) 묘제홀기(문경공위)
2014.12.1
1. 獻官以下 諸位者 皆 墓位前序立
헌관이하 제위자 개 묘위전서립
- 헌관 이하 제관 모두는 묘위 앞에 차례로 서시오
2. 謁者 引 初獻官 詣 點視陳設
알자 인 초헌관 예 점시진설
-알자는 초헌관을 모시고 진설한 것을 돌아보시도록 도우시오
3. 引降 復位
인강 복위
- 알자는 초헌관을 모시고 원 자리로 돌아가시오.
4. 謁者 進 初獻官之左 謹具請行事
알자 진 초헌관지좌 근구청행사
- 알자는 초헌관의 좌측으로 나아가 근구청행사라고 큰소리로 아뢰시오.
◎行 參神禮
(행 참신례) : 참신례를 행하겠습니다.
1. 獻官以下 諸位者 皆 再拜
헌관이하 제위자 개 재배
- 헌관 이하 제관 모두는 두 번 절하시오.
○鞠躬(국궁) 拜(배) 興(흥) 拜(배) 興(흥) 平身(평신)
2. 祝以下 諸執事 詣 盥洗位 盥水帨手
축이하 제집사 예 관세위 관수세수
- 축 이하 모든 집사는 관세위로 나아가 손을 씻고 닦으시오.
3. 各 就位
각 취위
- 각 각 봉행할 정 위치로 가 서시오.
◎ 行 降神禮
행 강신례 : 강신례를 행하겠습니다.
1. 謁者 引 初獻官 詣 盥洗位
알자 인 초헌관 예 관세위
- 알자는 초헌관을 앞에 나아가 관세위로 모십시요.
2. 盥水帨手
관수세수
-대야에 손을 씻고 닦으시오.
3. 引詣 香案前 跪
인예 향안전 궤
-인도를 받아 향안 앞으로 나아가 꿇어앉으시오.
4. 執事 奉香 奉爐 獻官 左右跪
집사 봉향 봉로 헌관 좌우궤
- 우집사는 향합을 좌집사는 향로를 받쳐 들고 헌관 좌우에 꿇어앉으시오.
5. 獻官 三上香
헌관 삼상향
-헌관은 향을 세 번 올려 피우시오
6. 左執事 拭盞盤
좌집사 식잔반
-좌집사(전작)는 잔과 반을 닦으시오.
7. 詣 獻官之左
예 헌관지좌
-이어 잔반을 들고 헌관 좌측으로 가시오.
8. 跪 授 獻官
궤 수 헌관
-꿇어 앉아 헌관에게 드리시오.
9. 右執事 執 酒注
우집사 집 주주
-우집사(봉작)는 술병을 잡으시오.
10. 詣 獻官之右
예 헌관지우
- 헌관 우측으로 나가시오.
11. 跪 斟酒
궤 침주
-꿇어 앉아 술을 따르시오.
12. 獻官 灌地而 降神
헌관 관지이 강신
- 헌관은 술을 땅에 부으며 강신하시오.
13. 以授 盞盤
이수 잔반
- 이어 잔과 반을 집사에게 주시오.
14. 左執事 奠于 位前
좌집사 전우 위전
- 좌집사(전작)는 위전에 올려놓으시오.
15. 初獻官 俯 - 伏 - 興
초헌관 부 복 흥
- 초헌관은 구부려 엎드렸다 일어나시오.
16. 少退 再拜
소퇴 재배
- 조금 물러나 두 번 절하시오.
○鞠躬(국궁) ○拜(배) ○興(흥) ○拜(배)○興(흥)○平身(평신)
17. 引降 復位
인강 복위
- 초헌관은 원위치로 돌아가시오.
● 行 初獻禮
행 초헌례 : 초헌례를 행하겠습니다.
1. 謁者 引 初獻官 進立於位前 跪
알자 인 초헌관 진입어위전 궤
-알자는 초헌관을 모시고 위전으로 나아가 꿇어앉으시도록 도우시오.
2. 左執事 以盞盤
좌집사 이잔반
- 좌집사(전작)는 잔반을 내려오시오.
3. 跪授 獻官
궤수 헌관
- 이어 꿇어 앉아 잔을 헌관에게 드리시오.
4. 右執事 以酒注
우집사 이주주
- 우집사(봉작)는 술병을 잡으시오.
5. 跪 斟酒
궤 침주
- 꿇어 앉아 술을 따르시오.
6. 初獻官 兩手奠于 位前
초헌관 양수전우 위전
- 초헌관은 두 손으로 잔을 신위에 올리시오
7. 左執事 跪受奠爵
좌집사 궤수전작
- 좌집사(전작)는 꿇어앉아 잔을 받아서 신위 앞에 올리시오.
8. 配位 亦 如之
배위 역 여지
- 배위도 또한 같이 하시오. (좌우집사 임무교대)
9. 左執事 進 魚炙正筯
좌집사 진 어적정저
- 좌집사(봉작)는 어적에 저를 가지런히 올리시오.
10. 初獻官 俯- 伏- 興-
초헌관 부 복 흥
- 초헌관은 구부려 엎드렸다 일어나시오.
11. 少退 跪
소퇴 궤
- 초헌관은 뒤로 조금 물러나 꿇어앉으시오.
12. 在位者 皆 神位前 俯伏
재위자 개 신위전 부복
- 참제원 모두 신위를 향하여 부복을 하시오
13. 祝進 初獻官之左 東向跪
축진 초헌관지좌 동향궤
- 축은 초헌관의 좌측에 나아가 동쪽을 보고 꿇어앉으시오
14. 讀祝 (독축)
- 축을 읽으시오.
15. 訖退 (글퇴) * 訖 : 마칠 흘. 마칠 글
- 마쳤으면 물러나시오.
16. 諸位者 皆 興 平身
제위자 개 흥 평신
- 제관 모두는 바로 서시오.
17. 初獻官 俯- 伏- 興-
초헌관 부 복 흥)
- 헌관은 구부려 엎드렸다 일어나시오.
18. 再拜
재배
- 두 번 절하시오.
○鞠躬(국궁) 拜(배) 興(흥) 拜(배) 興(흥) 平身(평신)
19. 引降 復位
인강 복위
- 알자는 초헌관은 원위치로 모십시오.
● 行 亞獻禮
행 아헌례 : 아헌례를 행하겠습니다.
1. 謁者 引 亞獻官 詣 盥洗位
알자 인 아헌관 예 관세위
- 알자는 아헌관을 앞에 나아가 관세위로 모시세요.
2. 盥水 帨手
관수 세수
- 대야에 손을 씻고 닦으시오.
3. 引詣 位前 跪
인예 위전 궤
- 아헌관은 인도를 받아 묘위 앞에 꿇어앉으시오.
4. 左執事 撤爵瀉酒 拭盞盤
좌집사 철작사주 식잔반
- 좌집사(전작)는 잔을 거두어 술을 솟고 잔반을 닦으시오.
5. 跪授 獻官
궤수 헌관
- 이어 꿇어 앉아 아헌관에게 잔을 드리시오.
6. 右執事 以酒注
우집사 이주주
- 우집사(전작)는 술병을 잡으시오.
7. 跪 斟酒
궤 침주
- 꿇어 앉아 술을 따르시오.
8. 亞獻官 兩手奠于 位前
아헌관 양수전우 위전
- 아헌관은 두 손으로 잔을 신위에 올리시오.
9. 執事 跪受奠爵
집사 궤수전작
- 좌집사는 꿇어앉아 잔을 받아서 신위 앞에 올리시오.
10. 配位 亦 如之
배위 역 여지
- 배위에도 역시 같이 하시오.
11. 左執事 進 肉炙正筯
좌집사 진 육적정저
- 좌집사(전작)는 나아가 육적에 저를 가지런히 옮기시오.
12. 亞獻官 俯- 伏- 興-
아헌관 부 복 흥
- 아헌관은 구부려 엎드렸다 일어나시오.
13. 少退 再拜
소퇴 재배
- 이어 조금 물러나 두 번 절하시오.
○鞠躬(국궁) 拜(배) 興(흥) 拜(배)興(흥) 平身(평신)
14. 引降 復位
인강 복위
- 알자는 아헌관을 원위치로 모십시오.
● 行 終獻禮
행 종헌례 : 종헌례를 행하겠습니다.
1. 謁者 引 終獻官 詣 盥洗位
알자 인 종헌관 예 관세위
- 알자는 종헌관 앞에 나아가 관세위로 모시세요.
2. 盥水 帨手
관수 세수
- 종헌관은 대야에 손을 씻고 닦으시오.
3. 引詣 位前 跪
인예 위전 궤
- 인도를 받아 위전으로 나아가 꿇어앉으시오.
4. 左執事 撤爵瀉酒 拭盞盤
좌집사 철작사주 식잔반
- 좌집사(전작)는 잔을 거두어 술을 솟고 잔반을 닦으시오.
5. 跪授 獻官
궤수 헌관
- 꿇어 앉아 잔을 헌관에게 드리시오.
6. 右執事 以酒注
우집사 이주주
- 우집사(봉작)는 술병을 잡으시오.
7. 跪 斟酒
궤 침주
- 꿇어 앉아 술을 따르시오.
8. 終獻官 兩手奠于 位前
종헌관 양수전우 위전
- 종헌관은 두 손으로 잔을 신위 앞에 올리시오.
9. 左執事 跪受奠爵
좌집사 궤수전작
- 좌집사(전작)는 꿇어앉아 잔을 받아서 신위 앞에 올리시오.
10. 配位 亦 如之
배위 역 여지
- 배위에도 역시 같이 하시오.
11. 右執事 進 雉炙正筯
우집사 진 치적정저
- 우집사(봉작)는 나아가 닭적 위에 저를 가지런히 옮기시오.
12. 終獻官 俯- 伏- 興-
종헌관 부 복 흥
- 종헌관은 구부려 엎드렸다 일어나시오.
13. 少退 再拜
소퇴 재배
- 조금 물러나 두 번 절하시오.
○鞠躬(국궁) 拜(배) 興(흥) 拜(배) 興(흥) 平身(평신)
14. 引降 復位
인강 복위
- 알자는 종헌관을 원위치로 모십시오.
● 行 辭神禮
행 사신례 : 사신례를 행하겠습니다.
1. 執事 啓飯蓋 揷匙
집사 계반개 삽시
- 좌우집사(전작)는 밥 두껑을 열고 숟가락을 꽂으시오.
2. 獻官以下 鞠躬 肅竢少頃
헌관이하 국궁 숙사소경
- 헌관이하 국궁하여 경건한 마음으로 국궁하여 잠시 기다리시오.
3. 祝 香案前 三噫歆
축 향안전 삼희흠
- 축은 향안전(앞)으로 나아가 기침 소리를 세 번하시오.
4. 諸位者 皆 平身
제위자 개 평신
- 제관 모두는 바로 서시오.
5. 執事 下匙筯 合飯蓋
집사 하시저 합반개
- 좌우 집사는 수저를 내리고 밥뚜껑을 덮으시오.
6. 獻官以下 皆 再拜
헌관이하 개 재배
- 헌관이하 모두 두 번 절하시오.
○鞠躬(국궁) 拜(배) 興(흥) 拜(배) 興(흥) 平身(평신)
● 行 飮福禮
(행 음복례) 음복례를 행합니다.
1. 初獻官 詣 香卓前 跪
초헌관 예 향탁전 궤
- 초헌관은 향탁 앞으로 나아가 꿇어앉으시오.
2. 祝 撤爵俎肉 跪 授獻官
축 철작조육 궤 수헌관
- 축은 잔과 조육을 거두어 와 꿇어 앉아 초헌관에게 드리시오.
3. 初獻官 飮卒爵 受胙後 退爵
초헌관 음졸작 수조후 퇴작
- 초헌관은 술을 마시고 안주를 드신 후 잔을 물리시오.
4. 以 置于 虛爵之傍
이 치우 허작지방
- 좌집사(전작)는 잔을 받아 빈 잔 있는 곳에 두시오.
5. 引降 復位
인강 복위
- 알자는 초헌관을 원위치로 모십시오.
6. 祝 取祝文 以焚之
축 취축문 이분지
- 축은 축문을 취하여 태우시오.
7. 告 禮畢
고 예필
- 알자는 초헌관 앞으로 나아가 읍하고 례가 끝났음을
“예필”이라고 큰소리로 고하시오
8. 撤饌
철찬
- 판진설은 제수를 거두시오.
.
----------------------- 아래 양식 받아 프린트 하여 사용하세요
묘제축문 산신ㄴ축 문경공묘제 산신축.hwp
개정안 묘제축문
문경공개정묘제축 산신축.hwp
- 문경공 묘제 축문 -
維歲次庚寅 十月庚申朔 初十日己巳 , 二 十 代孫 東祚
유 세 차 경 인 시월 경신 삭 초십일 기사, 이 십 대 손 동조
敢昭告于
감소고우
顯二十代祖考 大匡輔國 崇祿大夫 議政府左議政
현 이십대 조고 대광보국 숭록대부 의정부 좌의정
領集賢殿 經筵 春秋館事 世子傅 贈 諡 文敬公府君
영집현전 경연 춘추관사 세자부 증 시 문경공부군
顯二十代祖妣 貞敬夫人 寧海朴氏之墓 氣序流易
현 이십대조비 정경부인 영해박씨지묘 기서유역
霜露旣降 瞻掃封塋 不勝感慕 謹以 淸酌庶羞 祗薦歲事 尙
상로기강 첨소봉영 불승 감모 근이 청작 서수 지천 세사 상
饗
향
2010년 10월 10일 20대손 동조 는 20대 조고 조선 대광보국 숭록대부 의정부 좌의정과 영집현전 경연 춘추관사 및 세자부를 역임하시고, 문경공 시호를 받으신 할아버지와 정경부인 영해박씨 할머니 묘소에 감히 고하나이다.
절후가 바뀌어 이미 서리가 내렸삽기에 봉분을 바라보며 사모하는 마음 이기지 못하여 삼가 맑은 술과 여러 가지 음식으로 제사를 드리오니 흠향하시옵소서
-----------
산신위 山神位
헌관 獻官 - 분향 강신을 하고 잔을 드린다.
축 祝 ) - 축을 읽고 축문을 불 태운다.
집사 執事 - 2명으로 좌우가 집사가 된다.
祀土地祝(사토지축)
維歲次/기축十月丙寅朔/初三日무진/幼學○○○/敢昭告于
*○○○는 산신제을 지내는 사람성명
土地之神/(今爲 *주손이 주재할때) /○○○恭修歲事于/
*○○○ 초헌관(제주)성명
顯○○代祖考/大匡輔國 崇祿大夫 議政府左議政
현 이십대 조고 대광보국 숭록대부 의정부 좌의정
領集賢殿經筵 春秋館事 世子傅 贈諡 文敬公府君之墓
영집현전 경연 춘추관사 세자부 증시 문경공부군지묘
玆以孟冬 修祀先壟 維時保佑 實賴
자이맹동 수사선롱 유시보우 실뢰
神休 延于永久
신휴 연우영구
無有後艱 敢以酒饌 敬伸奠獻 尙
무유후간 감이주찬 경신전헌 상
饗
향
참고자료 ------ --------------------------한국가정의례. 이무영. 한둘기획. 2010.8 대구
산신제(山神祭)
산신제를 후토제(后土祭, 토지를 맡아보는 신인 후토에 대한 제사)라고도 하는데 조상 묘소가 있는 산의 신에게 제사지내는 것이다. 산신제의 제수는 묘사와 같으나 묘사보다 감쇄하기도 한다. 묘사나 차례를 지내는 주인이 제주가 되기도 하고 주인 이외의 사람이 제주가 되기도 한다. 산신제는 가문에 따라 묘사를 지내기 직전에 혹은 지낸 직후에 지내기도 한다.
산의 주령이 틀리거나 최상위의 묘소와 같은 날 행사가 아니면 산신제를 지낸다.
산신제의 장소는 묘지의 동북쪽에 제단을 설치하여 지내고 제수는 묘사의 제수보다 대개 간소하게 차린다.
(1) 산신제의 절차
① 참사자 서립 : 참사자는 제자리에 선다.
② 진설 : 제수를 진설한다.
③ 강신 : 산신께 분향은 하지 않고 술로 산신제단 앞 잔디에 뇌주하고 제주는
재배한다.
④ 참신 : 참사자는 모두 재배한다.
⑤ 헌주 : 술잔에 술을 가득 부어 올린 다음 젓가락을 시접에 가지런히 한다.
산신제는 삼헌이 없다.
⑥ 독축 : 축관이 헌관의 왼쪽에서 동향하여 축을 읽는다. 축문을 읽고 나면
헌관은 재배한다.
⑦ 사신 : 젓가락을 내린 다음 참사자 모두가 재배한다.
⑧ 철찬 : 제수를 물린다.
* 산신제는 독축은 있으나 삼헌하지 않는다.
(2) 산신제 축문(山神祭 祝文)
1) 선대 묘사 산신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