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장생 |
목浴 |
관帶 |
임官 |
제旺 |
衰 |
病 |
死 |
墓 |
絶 |
胎 |
養 |
甲 |
亥 |
子 |
丑 |
寅 |
卯 |
辰 |
巳 |
午 |
未 |
申 |
酉 |
戌 |
乙 |
午 |
巳 |
辰 |
卯 |
寅 |
丑 |
子 |
亥 |
戌 |
酉 |
申 |
未 |
丙 |
寅 |
卯 |
辰 |
巳 |
午 |
未 |
申 |
酉 |
戌 |
亥 |
子 |
丑 |
丁 |
酉 |
申 |
未 |
午 |
巳 |
辰 |
卯 |
寅 |
丑 |
子 |
亥 |
戌 |
戊 |
寅 |
卯 |
辰 |
巳 |
午 |
未 |
申 |
酉 |
戌 |
亥 |
子 |
丑 |
己 |
酉 |
申 |
未 |
午 |
巳 |
辰 |
卯 |
寅 |
丑 |
子 |
亥 |
戌 |
庚 |
巳 |
午 |
未 |
申 |
酉 |
戌 |
亥 |
子 |
丑 |
寅 |
卯 |
辰 |
辛 |
子 |
亥 |
戌 |
酉 |
申 |
未 |
午 |
巳 |
辰 |
卯 |
寅 |
丑 |
壬 |
申 |
酉 |
戌 |
亥 |
子 |
丑 |
寅 |
卯 |
辰 |
巳 |
午 |
未 |
癸 |
卯 |
寅 |
丑 |
子 |
亥 |
戌 |
酉 |
申 |
未 |
午 |
巳 |
辰 |
[십이포태법]
|
장生 |
목浴 |
관帶 |
임官 |
제旺 |
衰 |
丙 |
死 |
墓 |
絶 |
胎 |
養 | |
陽 干 |
甲 |
亥 |
子 |
丑 |
寅 |
卯 |
辰 |
巳 |
午 |
未 |
申 |
酉 |
戌 |
丙 |
寅 |
卯 |
辰 |
巳 |
午 |
未 |
申 |
酉 |
戌 |
亥 |
子 |
丑 | |
戊 |
寅 |
卯 |
辰 |
巳 |
午 |
未 |
申 |
酉 |
戌 |
亥 |
子 |
丑 | |
庚 |
巳 |
午 |
未 |
申 |
酉 |
戌 |
亥 |
子 |
丑 |
寅 |
卯 |
辰 | |
壬 |
申 |
酉 |
戌 |
亥 |
子 |
丑 |
寅 |
卯 |
辰 |
巳 |
午 |
未 | |
陰 干 |
乙 |
午 |
巳 |
辰 |
卯 |
寅 |
丑 |
子 |
亥 |
戌 |
酉 |
申 |
未 |
丁 |
酉 |
申 |
未 |
午 |
巳 |
辰 |
卯 |
寅 |
丑 |
子 |
亥 |
戌 | |
己 |
酉 |
申 |
未 |
午 |
巳 |
辰 |
卯 |
寅 |
丑 |
子 |
亥 |
戌 | |
辛 |
子 |
亥 |
戌 |
酉 |
申 |
未 |
午 |
巳 |
辰 |
卯 |
寅 |
丑 | |
癸 |
卯 |
寅 |
丑 |
子 |
亥 |
戌 |
酉 |
申 |
未 |
午 |
巳 |
辰 |
[십이포태법]
三合局 |
申↓子↓ 辰↓ |
寅↓ 午↓ 戌↓ |
巳↓ 酉↓ 丑↓ |
亥↓卯↓ 未↓ |
三會方 |
寅 卯 辰 |
巳 午 未 |
申 酉 戌 |
亥 子 丑 |
[삼형]
☆ 십이운성은 生→欲→帶→官→旺→衰→病→死→藏(墓)→胞(絶)→胎→養 은
십이지지에 대응하여 陽오행 은 삼합의 첫머리에서부터 순행,
陰오행 은 양오행의 死 에서부터 시작하여 역행한다.
☆ 예를 들면, 陽木인 甲木日干은 亥에서 生하여 子에서 浴이 되고 丑에서 帶가 된다.
☆ 12운성의 대운 적용법
- 12운으로 日干에서 대운 지지를 보아 지지가 십이운성의 장생 혹은
관대, 쇠, 병, 사,묘 등과 같이 어느 곳에 해당하는지를 보아
12운성의 강약이나 성쇠에 따라 길흉 여부를 보고
대운의 통변성을 종합적으로 판단하여 그 해의 운기 및 운세를 보는 것이다.
※음양간 12운성 비교표
陽干 |
장生 |
浴 |
관帶 |
祿 |
旺 |
衰 |
丙 |
死 |
墓 |
絶 |
胎 | 養 |
陰干 |
死 |
丙 |
衰 |
旺 |
祿 |
관帶 |
欲 |
장生 |
養 |
胎 |
絶 | 墓 |
☆ 甲 기준
해 자 축 (겨울水)
장생 목욕 관대
인 묘 진 (봄木)
건록 제왕 쇠
사 오 미 (여름火)
병 사 묘
신 유 술 (가을金)
절 태 양
☆ 12운성의 四孟
- 사맹이란 인신사해를 말하는데
인은 병화의 장생지, 신은 임수의 장생지, 사는 경금의 장생지, 해는 갑목의 장생지다.
☆ 12운성의 四正
- 사정이란 四仲, 四敗라고도 하며 자오묘유를 말한다.
- 봄여름가을 겨울의 한가운데 달을 말한다.
즉 인신사해가 계절의 첫달인 맹월에 비교되는 말로써
십이운성상 沐浴地에 해당함을 말한다.
- 갑목은 子에서 욕지, 경금은 午에서, 병화는 卯에서 욕지, 욕지, 임수는 酉에서 욕지가 된다.
☆ 12운성의 四季
- 사계란 사묘, 사고라고도 하며 진술축미를 말한다.
- 3월은 진월(봄의 마지막), 6월은 미월(여름~) ,9얼은 술월(가을~),12월은 축월(겨울~)
※ 십이운성의 용신 구분(貴平忌)
1. 四貴 : 장생, 관대, 록, 묘
2. 四平 : 태, 양 제왕, 쇠
3. 四忌 : 사, 절,욕, 병
※ 십이운성 활용 3가지 방법
1. 逢하는 십이운성 : 일간을 년월일시 4지지에 각각 대비하여 십이운성을 정하는 법
2. 居하는 십이운성 : 생년월시 각각의 천간에서 아래의 지지와 대비하여
십이운성을 정하는 것으로 대운, 세운에도 적용
3. 引從하는 십이운성 : 사주 중의 육친과 천간과 대운, 세운의 천간을 생년월일시 및 대운,
세운의 지지에 각각 끌어당겨서 십이운을 정하고 파악해보는 방법
※ 병화와, 무토, 정화와 기토, 즉 화토는 동궁이라하여 십이운성이 모두 같음 .
==========
- 丙午日 女子를 申시 에 占을 보았는데 申을 기준한 十二運星은?
申時 甲 乙 丙戊 丁己 庚 申 壬 癸
12운성 絶 胎 病 沐浴 祿 旺 長生 死宮
①水
②丙 辛③ → 申子辰
▷ 병화 일간이 병신합수 했다.
병화는 눈에 안 보이는 신금이 간합으로 따라온다.
따라서 병신합수로 수는 진에 고장으로 간다.
▷ 병화일간은 신자진수에 수극화 당했고, 병화는 진에 官庫로 관대지이다.
관대지는 관재로 소송도 걸려있고, 가끔 말썽도 있다.
(p20)
①水 ④⑤⑥
②丙 辛③ → 申子辰
▷③의 신금은 신자진에 금생수 하기 때문에 신금은 변화하려고 한다.
庚丙丙癸 坤 54 44 34 24 14 04
寅午辰巳 54才 壬 辛 庚 己 戊 丁
戌 酉 申 未 午 巳
- 年上 癸는 병화의 정관으로 진에 고장으로 본 서방은 죽고
(진을 지나서 申時에 왔으니까)
- 신중임수는 편관으로 년지 사와 사신형합하고 사신합수했다.
사신합수는 편관(상수)이니까 형합이 되어
만나지 않아야 될 남자들은 바글바글 모여든다.
수는 辛金에 생을 받으니까 이놈 저놈이 왔다는 뜻이다.
4. 申金은 병화일간의 재로써 장사를 하고 있는데 앞으로 잘 안 된다는 뜻이다.
실제로 을유년 겨울에 장사를 접었다.
이것이 이기론이다.
이기론은 이와같이
- ①의 병신합수가 진에 고장(◎)으로 들어가는 것과
- ④의 申금처럼 사업(장사)의 진전관계와
- 나름대로 자기의 계획 등 이렇게 세 가지를 본다.
▶ 이 병오 여자의 경우는 이기론으로 봤을 때는 절대적으로 월지 진을 비춰 보아야 한다.
진은 병화 여자의 관고로 진은 남편의 무덤이기 때문에 진을 보지 않으면 안 된다.
▶ 이기론은 왜 보느냐? 하면
현재 상황을 알아보는 데는 이기론이 가장 정확하게 나타난다.
즉, 본 남편은 죽고 새 서방은 바글바글하는구나!?
하는 말들이 재밋게 표현된다.
고로 이기론은 자꾸 듣고 자기가 써 먹을 줄 알아야 한다.
▶ 이기론은 冠帶地 위주이다.
관대지를 제일 조심해야 된다.
관대지는 관재이고, 말썽이고, 소송이다.
이기론은 이영수 선생이 만든 것으로 연구하고 활용하여 보니까 높은 적중률이 나타나더라.
☆ 이기론의 기초 설정표
天干合 |
合化 |
자리 |
化의庫 |
化의 宮 |
官帶地 |
甲己 |
火 |
巳 |
戌 |
水 |
辰 |
戊癸 |
火 |
巳 |
戌 |
水 |
辰 |
乙庚 |
金 |
申 |
丑 |
火 |
未 |
丙辛 |
水 |
亥 |
辰 |
土 |
戌 |
丁壬 | 木 | 寅 | 未 | 金 | 丑 |
갑기 무계 火 巳 |
午 |
未 |
申 乙庚金 |
辰 |
|
酉 | |
卯 |
戌 | ||
丁壬木 寅 |
丑 |
子 |
亥 丙辛水 |
◐ 갑기합화, 무계합화는 사화에 자리하고
사의 한 글자 위의 진이 고장으로 화에는 관고로 관대지이다.
◐ 을경금은 申금에 자리하며
신의 한 글자 위의 미가 목고로 금에는 재가 관고로 관대지이다.
◐ 병신수는 해수에 자리하며
해의 한 글자 위의 술이 화의 고장으로 술은 수의 재관고이고 관대지이다.
◐ 정임목은 인목에 자리하며
인의 한 글자 위의 축이 금의 고장으로 목에는 관고가 되며 관대지이다.
☆ 冠帶地에 걸리면 官災訴訟에 걸린다.
관대지를 뒤집으면 자기 묘궁(합화한 오행)의 반대자리가 관대지이다. (p21)
<例>甲申壬丁 坤 67 57 47 37 27 17 07
午酉子酉 50才 기 무 정 丙 을 갑 계
. 미 오 사 辰 묘 인 축
- 용신 : 임수 (대부분 사람들은 火를 용신함)
- 37병진대운 10년간(37재~46재까지)을 추리해보자
→병진의 병화 대운은 丙辛合水했다.
37세 38세 39세 40세 41세 42세 43세 44세 45세 46세
계유 갑술 을해 丙子 정축 戊寅 己卯 庚辰 신사 임오 의 세운이다.
▷ 병진대운 丙子年은 辛금일주의 정관인 병화가
자수 절지 위에 올라 앉아 조터져서 들어오고 있다.
이 때 丙火官이 다친다. 언제 다치느냐 하면 申굼이 나타나면
신자진 數局으로 丙官을 수극화 하기 때문에 이 때 남편이 죽거나 다친다.
▷ 42세 무인년에는 애인이 생긴다.
이 때 인목을 잘 보라
寅木은 丙火의 長生地이다.
▷ 43세 무인, 기묘년에 가게를 열고 장사를 시작해서 경진년에 망한다.
여기 까지는 다 봃 줄 안다. 그런데 경진년이 문제이다.
▶ 경진년에 친정 아버지가 장가를 갔다.
진 대운에는 진 속에는 을계무가 나온다,
진운 경진년은 진중 을목과 경진년의 천간 경금과 을경합을 한다.
그러면 진토는 누구인가
辛金日柱의 엄마가 된다.
辛금의 편재인 辰中 乙木은 친정 부친이다.
친정 부친이 중국 여자한테 장가를 든 것이다.
이런 말이 나와야 한다.
- 그런데 많은 역학자들이 陰神 애기를 하더라.
음신은 例로
을庚 → 을목이 뜨면 庚금이 눈에 안 보이게 따라오고
병辛 → 병화가 뜨면 辛금이 눈이 안 보이게 따라오는 것을
陰神(庚,辛)이라고 한다.
▶ 음신은 사주 원국에 있어도 음신이 따라오고 대운에 있어도 음신이 따라온다.
그러나 그것이 대운에서 받쳐 주어야 한다.
이루어지는 것은 대운과 세운이다.
甲辛壬丁 坤
午酉子酉 50才
庚
辰
- 辛酉일주 여자가 무인년 장사를 했는데 경진년에 가게를 팔아야 한다.
그럼 언제 팔릴까요?
- 경진년은 진유함으로 꽉 묶여 있어 가게가 안 팔린다.
이 여자가 가게를 팔기 위하여 부적값을 200여만원 날렸다.
辛巳年에 가야 가게가 팔린다.
신사년 酉月에 가게가 팔렸다.
가게가 나가는 날까지 맞추었다.
- 임오년에는 직장을 다녔다.
이런 식으로 사주를 180여개를 가지고 풀어가면 통변이 된다.
사주를 못 봐서 통변을 못하는 것이 아니다.
지금 뭐가 약하냐 하면
우선 사주가 탁 트이게 안 보인다는 것이다.
자꾸 이렇게 반복 연습을 하면 글자가 눈에 들어오고 글자가 튀어 나온다.
글자가 튀어 나와야 통변을 할 수 있다.
- 사실 통변 공부가 어렵다.
차라리 적천수는 가르치기 쉽다.
책을 가지고 줄줄이 설명만 하면 되는 것이다.
그러나 통변은 어느 단계에까지 올라야 통변이 가능하다.
수준이 미치지 못한 사람들에게는 가르치기가 어렵다. (P23)
- 반대로 이미 기초가 되어 있는 사람은 통변 기초를 가르친다면 다 도망간다.
그것 다 했는데 왜 배우느냐 이다.
- 이 공부는 적어도 5~6년 내지는 10년 이상 고생한 사람들만이
통변의 맛이 들어간다.
왜? 본인 눈에 직접 보이는 것이니까~~~ 아! 그렇구나 하고.
이 공부는 련실적이고 아주 파괴적인 것으로 그냥 바로 찍어내는 학문이다.
자꾸 연습하면 보이게 되고 그렇게 된다.
<例>
寅申沖 했을 때 아~ 寅申에 丙火가 떴구나! (寅申沖 하면서 寅暗藏火가 튀어 나온다 )
그러면 辛金 女子(丙辛合)는 남자가 들어오겠네.
이렇게 자기도 모르게 튀어 나온다.
"<대유년 판례(중국 원저)> " 라는 책을 보면
天沖地沖에 대해 나와 있다.
예로 甲午라고 말하면 庚子 이런 식이다.
▷ 사주가 보이지 않을 때는 天沖地沖을 때려라.
그러면 답이 나온다.
읽어보면 용신이 보인다.
假 용신이든, 眞 용신이든 상관 없다.
甲午가 있다면 庚子年에는 갑오가 날라가는 구나~!
丁酉은 계묘년에, 정해는 계사년에, 임자는 무오년 이런 식으로
천충지충을 바로 보면 된다.
1.[甲午↔庚子年에]
2.[丁酉↔癸卯年에]
3.[丁亥↔癸巳年에]
4.[壬子↔戊午年에] 날라가는 구나, 어렵게 되는 구나!
(P24~25)
=======(P25)
戊丁癸戊 乾 51 41 31 21 11 01
申巳亥戌 49才 己 戊 丁 丙 乙 甲
. 巳 辰 卯 寅 丑 子
- 이 팔자가 와서 用神을 잡아 달랜다.
- 亥(壬戊甲)中甲木이 용신이다.
▷ 丁화는 갑목이 없으면 행세를 못한다.
지금 辰 대운인데 진은 官庫 운이다.
병술년은 화 일주의 自庫다. 그러니 자고, 관고 둘을 다 가졌다.
그래서 당신은 실업자로 놀고 있구먼, 했더니
"예" 한다.
선생님 저 언제 일 나가요?
정해년, 갑진월에 가봐~
갑진월에 가면 대박 터진다. 戌亥天門星이 있어 역학 공부 한 사람이다.
▷ 辰 대운 5년간은 아무것도 안 된다.
갑목 용신이 午未辛酉戌 年을 만나면 죽는다.
다른곳에서는 된다고 하더란다. 아니다. 안 된다.
갑신년은 될 듯 될 듯 하다가 안 되었다고 한다.
巳申刑合으로 갑신년은 수술도 연결된다.
우너국에 사신형이 걸려있다.
▷ 職業은? 토가 왕하니까 부동산 사업이다.
- 丁巳일주 마누라는 몇이나 될까?
셋이다.
술중 신금, 사중 경금, 신중 경금 으로 셋이다.
일찍 결혼했으면 헤어져야 한다.
戊丁癸戊 乾 51 41 31 21 11 01
申巳亥戌 49才 己 戊 丁 丙 乙 甲
. 巳 辰 卯 寅 丑 子
▷ 이 팔자는 配星이 무슨 띠일까?
이 사주 사해충을 해결하려면 축이 와야 한다.
그러나 축생을 만나면 안된다. 왜? 갑목이 용신이기 때문이다.
그래서 당신 마누라 호랑이 띠 이지 했더니
"예" 한다.
故로 配星은 용신따라 간다.
박도사 배성인연법 공부하면 틀린다.
그 책 가지고 공부하지 마라. 틀린다.
잘 못 알고 말하면 바보된다.
맥을 알면 된다.
맥을 짚어가면서 공부하면 사주가 보인다.
맥을 잡지 않고서는 사주 못 본다.
=======
(P27)
壬丁壬丁 乾 43 33 23 13 03
寅未寅未 40才 丁 戊 己 庚 辛
.酉 戌 亥 子 丑
- 사주가 정미, 임인 두 패로 쌍쌍파티 하고 있다.
- 정임합목, 정임합목 하여 갑목이 용신이다.. 목 밖에 없다.
- 미가 운동장으로 두 패로 갈라져 경기하고 잇는 모습이다.
- 운동장이 보여서 운동선수 아닌가 했더니 운동선수 했단다.
28才 亥 대운 갑술년에 날렸겠다고 했더니 그 때가 최고 전성기였다고 한다.
해 대운에 장가 간다. 亥 용신운이 왔다.
- 사주에 財가 없어 配星 찾기가 아렵다.
해 운에 결혼을 해야하는데 왜?
해 운에 결혼해야 하느냐 하면 사주에 金마누라가 들어갈려면
火가 病이다. 천간은 들어갈 수 있다.
천간이 잡혀져 있는데 지지는 火가 있어 안 된다.
해가 와야 화가 다 잡힌다.
- 이 사주 갑목 하나 밖에 없다.
故로 갑신, 을유년은 아무것도 안 된다.
정해년 갑진월에 가야 새로운 직장이 잡힌다.
▷ 갑진이 운동장이다.
진토가 운동장이고 갑목이 용신이다.
원래 미가 운동장으로 보는데 정미임인 두 패로 갈라져서 쌍쌍파티(경쟁)한다.
두 패로 나뉘어져 경기하는 것은 농구, 배구이다.
쌍쌍은 같이 붙었으니깐 가운데 코~트 쳐 놓고 전투하는 것이다.
이런 것은 노련한 노하우이다.
별 것 아니니깐 따라가면 안 된다.
- 사주를 재치있게 볼 줄 아는 실력은 용신만 잡을 줄 알면 그 다음은 쭈우욱
밀고 나가면 된다.
壬丁壬丁 乾 43 33 23 13 03
寅未寅未 40才 丁 戊 己 庚 辛
.酉 戌 亥 子 丑
- 기축년에 조심해야 한다.
축미충하면 축중 辛금도 올라오고, 미 중 乙목도 올라온다.
-▷ 내가 사주에 갖고 있는 것 하고, 남이 와서(운에서) 충하는 것 중에
어느 것이 움직일까?
내가 갖고 있는 것만 움직인다.
운에서 오는 놈은 움직이려 가는 것이다.
원국에 있는 놈만 튀어 나온다.
나머지는 보지 마라.
<例>
축미충 했을 때
지장간에 있는 6개 다 꺼내어 놓고 보면 해결이 안 난다.
운에서 오는 놈은 와서 때려만 준다고 봐라
그래야 해결이 난다.
=======(p29)==
내 사주에 처재가 시집가는 것이 보인다.
辛辛甲壬 乾 48 38 28 18 08
卯巳辰寅 45才 己 戊 丁 丙 乙
- 酉 申 未 午 巳
- 관인상생으로 [巳→辰→辛禁] 공무원이다.(소방공무원)
- 戊申 대운 갑신년에 어느 유명한 역학인이 직장 떨어진다고
해서 찾아온 손님이었다.
- 직장이 떨어진다? 오히려 을유년에 진급하는 사주라고 했다.
실제 을유년에 진급했다.
- 병술년 운세 :
묘술로 묶인다. 이 때 술중 신금은 時上 辛金에게 간다.
신묘로 술에 와서 묘술합이다. 그래서 처재가 시집갈려고 하느냐 했다.
그런데 결혼 시키지 마라. 가면 안 된다 말렸다.
편관한테 시집가면 辛卯가 되어 牛山之木이며 절지이다.
고로 시집가면 안 된다. 망한다.
정관한테 시집가야 한다.
- 갑신년에 왜 직장 날라간다고 했냐면
인사신 삼형을 보고 한 말이다.
여기서 직장이 날라갈려면 辰土를 건드려야 직장이 날라간다.
인사신으로 申금이 寅목과 巳화를 건드렸는데
왜 직장이 날라가나이다.
이 사주는 신약 용인격으로 을유년은 巳蹂金局으로 승진했다.
을유년 계미월에 내부에서는 승진이 결정되었고, 갑신, 을유월에
승진을 발표했다.
- 寅巳申을 잘 못 보면 안 된다.
인사신을 아무렇게나 잘못쓰면 망신 당한다.
갑신년은 巳申 刑合이 있기 때문에 직장에 변동은 있었다.
그 걸 모르고 말한 것이다.
辛辛甲壬 乾 48 38 28 18 08
卯巳辰寅 45才 己 戊 丁 丙 乙
- 酉 申 未 午 巳
- 이 사주는 寅巳申의 관계를 잘 봐야 한다.
寅은 巳(금극목?)를 만나면 木이 날라가고,
巳는 申(수극화?)을 만나면 火가 날라가고 금만 남는다.
그런데 어떻게 직장이 날라가느냐?
직장 안 날라간다.
- 이 사주는 부모가 없다.
재성인 甲寅木이 寅辰木으로 변했고, 목이 용신 진토를 조 됐다.
이런것을 빨리빨리 보라.
무엇을 옆에 끼고 앉았느냐?
무엇에 의지 했느냐?
언제든지 이러한 것을 봐야 한다.
- 未 대운 乙亥年 34세에 乙辛沖, 巳亥沖으로 父母가 사망했다
화가 깨지면 토가 깨진다.
- 配星은 辛亥生이다.
재다신약으로 금이 부족하여 時上 辛金에 의지했다.
항상 뿌리가 있나 없나를 봐라.
신금과 巳중 경금에 의지했다.
갑목이 본처로 본처가 대장이다.
- 이 사주 병오, 정미 대운에 고생 많이 했다.
▷ 현실을 빨리 타파하고 터득하려면 나 같은 사람 만나 공부해라.
고수들은 자상하게 안 가르쳐 준다.
죽었다 깨어나도 자꾸 헛소리만 하고 옆으로 빠진다.
통변은 별로 해주지 않고 자꾸 다른대로 끌고 간다.
통변이란 많은 사주를 놓고 계속 자꾸 보고 으용하고 들어야 보인다.
보고 듣고 자꾸 눈에 익혀야 그것이 눈에 들어오고, 종래는 깨우쳐 지는 것이다.
아~ 이러한 상황은 저렇고 저러한 상황은 저렇게 돌아가는 구나?
하고.
처음에는 얼떨떨해도 자꾸 들으면 맥이 보인다.
때리는 맥을 보고 듣고 하면서 그것을 찾아가면 나중에는 사주가 훤히 보인다.
그 과정까지는 가기가 어렵사주공부하는 사람들이 어딜가야 되고,
어떻게 가야 되는지 그걸 모른다.
내가 저 정점을 향해 올라가다가 어디로 내려와야 되는지를 모른다.
이 사람에게 물으면 그 사람 답이 맞고,
저 사람에게 물으면 저 사람 답도 맞다.
그러나 대입을 해 보면 안 맞더라는 얘기다.
그 사람들은 교수식 이론으로 가르치는 사람들이다.
이론과 현실하고는 맞지 않는 것이 많다.
전쟁터에서 총칼을 들고 그 때 그 때 상황을 실천해 본 사람만이
작전의 묘수를 안다.
그래서 이론보다 실전이 강한 사람들에게 가서 공부해야 빨리 늘고 물리가 터진다.
조리있게 이론으로 잘 가르쳐도
실전이 떨어지면 말짱 꽝이다.
終