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최고 상위 그룹보다 한단계 낮은 그룹을 말한다. 최상위 다음가는 등급(1종) 최상위 다음가는 등급(2종) 희귀난치성·중증질환자, 6개월 이상 치료를 받고 있거나 치료가 필요한 사람 또는 18세 미만 아동 중 세대의 소득인정액이 기준 중위소득의 50% 이하이고, 부양요건을 충족하는 사람에 대해 요양급여비용 중 본인이 부담하는 본인부담금을 경감 받는 사람 債權 채권자가 채무자에게 일정한 급부를 청구할 수 있는 권리. 국세징수법에서는 금전 또는 매각할 수 있는 재산의 급부를 목적으로 하는 채권을 의미함. 債權押留 채권자의 신청에 따라 채무자나 제삼자가 가진 채권에 대하여 법원 또는 집달관이 강제 집행을 하는 일. 압류된 채권은 추심 명령, 전부 명령과 같은 환가 명령에 따라 환가되어 채권자에게 지급된다. 債權者 채권을 보유한 자, 즉 다른 사람에게 일정한 급부를 청구할 수 있는 자를 의미함. 處分 행정 주체가 구체적 사실에 관한 법 집행으로서 행하는 공법 행위 가운데 권력적 단독 행위. [법률정의] (행정심판법) 행정청이 행하는 구체적 사실에 관한 법집행으로서의 공권력의 행사 또는 그 거부와 그 밖에 이에 준하는 행정작용. (행정절차법) 행정청이 행하는 구체적 사실에 관한 법집행으로서의 공권력의 행사 또는 그 거부와 기타 이에 준하는 행정작용. 處分變更 처분청이 기존의 처분(원처분)을 새로운 처분으로 바꾸는 행위. 請求書 청구하는 내용이 적힌 문서나 쪽지 [국민건강보험공단 정의] 요양기관이 요양급여비용을 청구하고자 하는 때에 명세서와 기타 필요한 서류룰 첨부하여 건강보험심사평가원에 제출하는 서류 청구와 심사 및 지급의 구분을 나누기 위해 사용함. 滯納 세금 따위를 기한까지 내지 못하여 밀림. 체납된 보험료를 의미한다. 하나의 단어처럼 자주 사용된다 滯納處分 국민이 국가 또는 지방자치단체에 대하여 부담하고 있는 공법상의 금전급부의무를 이행하지 아니하는 경우에 행정청이 강제적으로 의무가 이행된 것과 같은 상태를 실현하는 처분 및 그 집행. [국민건강보험공단 정의] 고지된 보험료 등이 미납되어 법 제81조제1항에 따라 독촉을 하고 독촉기한까지 납부하지 않을 경우 법 제81조제3항에 의거 보건복지부장관의 승인을 얻어 체납자의 재산을 압류, 환가, 청산하여 보험료 등의 채권에 충당하는 일련의 강제징수 절차. 滯納處分費 [법률정의] (국세기본법) 국세징수법중 체납처분에 관한 규정에 의한 재산의 압류·보관·운반과 매각에 소요된 비용(매각을 대행시키는 경우 그 수수료를 포함한다). 體成分 몸을 이루고 있는 성분 일반적으로 비만 판정을 위해 주로 이용하는 방법으로 키와 몸무게를 이용해 지방의 양을 추정하는 비만측정법으로 자신의 몸무게(kg)를 키(㎡)의 제곱으로 나눈 값 初審 애벌로 심의함. 또는 그런 심의. 『법』=제일심. [국민건강보험공단 정의] 요양급여비용 청구에 대한 건강보험심사평가원의 첫번째 심사 행위 初審 + 還收 애벌로 심의함. 또는 그런 심의. 『법』=제일심. 법률상 도로 거두어들임 의료급여법에 따라 생활이 어려운 자에게 실시하는 급여 비용 전체 (연말정산시 등의 업무에서) 추가된 보험료 推尋 은행이 소지인의 의뢰를 받아 수표나 어음을 지급인에게 제시하여 지급하게 하는 일. 追徵 형법상 몰수하여야 할 물건을 몰수할 수 없을 때에 몰수할 수 없는 부분에 해당하는 값의 금전을 징수하는 일. 아이를 낳는데 드는 돈 [국민건강보험공단 정의] . 가입자(피부양자)가 요양기관 이외의 장소에서 출산(사산인 경우는 임신16주 이상)을 한 경우 출산비로 지급한다. 다만, 해외에서 출산한 경우 등 법 제54조(급여의 정지)에 해당하는 경우에는 그러하지 아니한다. 출연한 돈 징수업무 위탁에 따른 비용지원 근거에 의거 국민연금ㆍ고용ㆍ산재 각 기금에서 보험료 징수에 소요되는 비용을 금전적으로 행하는 출연 取得 자기의 것으로 함. 손안에 넣어 가짐 取下 신청하였던 일이나 서류 따위를 취소함. [합성어] 취득 + 신고 취득 取得 Acquisition 자기의 것으로 함. 손안에 넣어 가짐 + 신고 申告 Declaration 국민이 법령의 규정에 따라 행정 관청에 일정한 사실을 진술/보고함. 건강보험 적용대상자의 진료에 사용되는 소모성 재료로서, 관련규정과 절차에 따라 보건복지부 장관이 인정 및 고시한 품목 정상적인 정신 능력을 잃어버린 상태. 대뇌 신경 세포의 손상 따위로 말미암아 지능, 의지, 기억 따위가 지속적·본질적으로 상실된 경우이다.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