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1~33] 다음 글을 읽고 물음에 답하시오.
향단아 그넷줄을 밀어라
머언 바다로
배를 내어 밀듯이,
향단아
이 다소곳이 흔들리는 수양버들나무와
베갯모에 놓이듯 한 풀꽃더미로부터,
자잘한 나비 새끼 꾀꼬리들로부터
아주 내어 밀듯이, 향단아
산호도 섬도 없는 저 하늘로
나를 밀어 올려다오.
채색한 구름같이 나를 밀어 올려다오
이 울렁이는 가슴을 밀어 올려다오!
서으로 가는 달같이는
나는 아무래도 갈 수가 없다.
바람이 파도를 밀어 올리듯이
그렇게 나를 밀어 올려다오
향단아.
서정주, ‘추천사’
31. 윗글의 표현상 특징으로 가장 적절한 것은?
① 동일한 어구를 반복하여 의미를 강화하고 있다.
② 명사형으로 시행을 종결하여 여운을 남기고 있다.
③ 색채의 대비를 통해 대상을 선명하게 드러내고 있다.
④ 음성 상징어를 사용하여 대상을 생생하게 표현하고 있다.
⑤ 감각의 전이를 통해 대상을 새로운 이미지로 표현하고 있다.
32. 윗글의 소통 구조를 다음과 같이 이해할 때, 적절하지 않은 것은?

① ⓐ: 작가는 널리 알려진 ‘춘향전’의 한 장면을 모티프로 삼아 독자에게 친근감을 주고 있다.
② ⓑ: 작가는 화자를 ‘춘향’으로 설정하여 여성의 목소리로 희생적인 사랑의 가치를 구현하고 있다.
③ ⓒ: 화자는 청자인 ‘향단’에게 이야기하는 방식으로 자신의 내면을 자연스럽게 토로하고 있다.
④ ⓒ: 화자는 명령에서 간청으로 청자에 대한 말투를 달리하며 심리의 고조를 드러내고 있다.
⑤ ⓓ: 독자는 청자의 위치에서 화자의 내밀한 고백을 함께 엿듣는 듯한 기분을 느낄 수 있다.
33. 보기를 바탕으로 윗글을 감상한 내용으로 적절하지 않은 것은? (3점)
(보기)
이 작품에서 그네 타기는 자신이 놓인 ‘이곳’을 벗어나 새로운 공간인 ‘저곳’으로 나아가고자 하는 심리적인 행위이다. 이를 위해 화자는 시적 공간의 수평적, 수직적인 확대를 시도한다. 그네는 제자리로 ‘되돌아옴’을 전제하지만 화자는 ‘나아감’만을 재촉함으로써 ‘저곳’을 향한 열망의 최대치를 드러낸다. 그러나 그네가 만들어 내는 한정된 공간은 결국 인간 존재의 한계라는 의미를 동시에 내포하게 된다.
① 그네 타기가 화자의 심리에서 비롯된 행위임을 ‘그넷줄’을 미는 것이 ‘울렁이는 가슴’을 미는 것이라는 점에서 알 수 있군.
② ‘수양버들나무’와 ‘풀꽃더미’, ‘나비 새끼 꾀꼬리들’로부터 ‘아주’ 내어 밀라는 것은 ‘이곳’을 벗어나고 싶은 화자의 심정으로 볼 수 있군.
③ ‘밀어라’와 ‘올려다오’에는 ‘저곳’을 향해 ‘나아감’을 재촉하는 화자의 열망이 표현된 것으로 볼 수 있군.
④ ‘머언 바다’가 수평적인 공간 확대의 지향점이라면, ‘저 하늘’은 수직적인 공간 확대의 지향점으로 볼 수 있군.
⑤ ‘채색한 구름같이’에는 인간 존재의 한계에 대한 화자의 인식이 담겨 있는 것으로 볼 수 있군.
2014년 EBS수능완성국어영역 국어 A형
[수능완성 국어영역 국어 A형 실전편]
실전 모의고사 3회
현대시 (31~33)
서정주, ‘추천사’
지문 이해하기
(해제) 이 작품은 그네의 역동적인 움직임을 통해 이상으로 나아가고자 하는 인간의 욕망과 지상적 힘에 이끌려 되돌아 올 수밖에 없는 현실 사이의 긴장을 보여 주고 있다. 이를 통해 인간은 존재의 한계를 인식하면서도 이상을 향한 갈망을 멈출 수 없는 존재임이 드러난다. 이 시는 그네의 움직임과 화자의 심리뿐 아니라, 시의 형식과 내용이 유기적인 조화를 이루면서 서정시의 아름다움을 잘 구현하고 있다.
(주제) 이상에 대한 인간의 갈망
흐름 파악하기
* 1연: 그네를 통해 이상적 세계로 나아가고자 하는 소망
* 2연: 현실의 구속으로부터 벗어나고자 함.
* 3연: 이상적인 세계를 향한 갈망의 심화
* 4연: 달과는 다른 인간 존재에 대한 자각
* 5연: 이상에 대한 갈망을 멈출 수 없음.
31. 표현상 특징 파악(답) ①
정답이 정답인 이유
① 확인: 동일한 어구를 반복하여 의미를 강화
‘밀어 올려다오’가 반복되며 이상을 향한 화자의 소망을 강화하고 있다.
오답이 오답인 이유
② 확인: 명사형으로 시행을 종결
각 행은 명사형으로 종결되어 있지 않다.
③ 확인: 색채의 대비
시각적 심상이 사용되고 있으나 색채의 대비가 뚜렷이 나타나 있지 않다.
④ 확인: 음성 상징어
의성어,의태어의 사용은 나타나 있지 않다.
⑤ 확인: 감각의 전이
감각의 전이란 한 종류의 감각을 다른 감각으로 옮겨 표현하는 방법을 말하는데 이 작품에는 이러한 표현이 나타나 있지 않다.
32. 감상의 적절성 평가(답) ②
정답이 정답인 이유
② 확인: 여성의 목소리로 희생적인 사랑의 가치를 구현
작가는 화자를 통해 여성의 목소리를 내고 있지만, 화자의 태도를 희생적인 사랑의 모습으로 보기는 어렵다.
오답이 오답인 이유
① 확인 1: ‘춘향전’의 한 장면을 모티프
‘향단아’에서 알 수 있듯이 이 작품은 춘향전에서 춘향이가 그네 타는 장면을 모티프로 하고 있다.
확인 2: 독자에게 친근감
널리 알려진 고전 작품을 변용하여 독자에게 친근감을 줄 수 있다.
③ 확인 1: ‘향단’에게 이야기하는 방식
청자인 ‘향단’을 부르면서 시상을 전개하고 있다.
확인 2: 자신의 내면을 자연스럽게 토로
청자를 내세움으로써 자신의 내면을 자연스럽게 드러낼 수 있는 상황을 설정하고 있다.
④ 확인 1: 명령에서 간청으로
1연의 명령(‘밀어라’)에서 3, 5연의 간청(‘밀어 올려다오’)으로 어조가 변화하고 있다.
확인 2: 심리의 고조
화자의 심리가 더욱 간절해지고 있음을 드러내고 있다.
⑤ 확인: 청자의 위치에서 화자의 내밀한 고백을 함께 엿듣는 듯한 기분
화자는 심리적으로 가까운 대상인 청자에게 자신의 내면을 고백하고 있다. 독자는 마치 자신이 향단이가 되어 춘향이의 속마음을 듣는 듯한 기분을 느낄 수 있다.
33. 외적 준거에 따른 작품 감상(답) ⑤
정답이 정답인 이유
⑤ 확인: 인간 존재의 한계에 대한 화자의 인식
‘채색한 구름같이’는 화자가 지니고 있는 상승 열망의 최대치를 드러내는 표현으로 볼 수 있다.
오답이 오답인 이유
① 확인: 그네 타기는 화자의 심리에서 비롯된 행위
1연의 ‘그넷줄을 밀어라’는 3연에 와서 ‘울렁이는 가슴을 밀어 올려다오’로 전환되고 있다. 이는 그네 타기가 심리적 갈등에 처한 화자의 내면에서 비롯된 행위임을 보여 주는 것이라 할 수 있다.
② 확인: ‘이곳’을 벗어나고 싶은 화자의 심정
‘이곳’은 자신이 놓인 곳으로서, 2연의 ‘~로부터’의 반복을 통해 화자가 이들 사물들로부터 벗어나고 싶은 마음을 지니고 있음을 알 수 있다.
③ 확인: ‘저곳’을 향해 ‘나아감’을 재촉
‘밀어라’와 ‘올려다오’의 반복을 통해, 그네의 하강에도 불구하고 저곳을 향한 나아감과 상승의 욕망을 드러내는 화자의 심리를 알 수 있다.
④ 확인: 공간 확대의 지향점
‘머언 바다’는 지상으로부터의 수평적 확대를 의미하고, ‘저 하늘’은 지상으로부터의 수직적인 확대를 의미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