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진수 교수님께서 사비로 선배님 초청 특강을 마련해주셔서 대목수 시험 준비에 많은 도움을 받았습니다. 김진수 교수님과 김진모 선배님께 감사드립니다.
제가 필기한 내용을 정리해서 올립니다. 제가 빠트린 내용이 있다면 댓글로 남겨주시면 좋겠습니다.
1. 부여 전통대학교 근처에 숙소를 잡거나 최대한 일찍 시험장에 도착해서 자리를 선점한다. 이때 면접을 먼저 볼 것인지 뒤에 볼 것인지를 결정해서 앞쪽이나 뒤쪽에 자리를 잡으면 된다. 단, 뒤쪽에 자리잡는 경우에 결시생이 있으면 앞으로 당기게 되므로 잘 생각해서 자리를 잡아야 한다. 선점한 자리의 순서대로 번호표를 받아서 시험을 보게 된다. 수험표에 나온 수험번호는 아무런 의미가 없다. 철심을 박아서 모탕을 고정하려고 할때 시험장소가 자갈이 깔린 주차장이라 흙이 단단하게 다져져서 철심박느라 기운빠져서 시험보기 힘들 수도 있다는 점을 생각해서 모탕을 최대한 흔들리지 않게 준비하거나 바이스겸용 작업대를 구하는 것이 좋다. 클램프를 준비해서 부재가 흔들리지 않도록 고정하는 방법을 써도 좋다.(클램프 사용에 따른 감점은 의견이 분분하니 각자가 판단하면 됩니다. 2023년 시험의 경우 많은 사람들이 클램프를 사용했다고 하는 걸 보면 클램프 사용 감점이 없어졌거나 있어도 아주 적은 감점이 아닐까 생각됩니다.)
2. 큐넷 홈페이지나 앱에서 수험표를 인쇄할 수 있다. A, B, C, D 등 각자의 수험표에 나온 장소를 미리 확인해 두어야 한다.
3. A, B, C, D 등 각 구역별로 3줄로 금이 그어져 있는데 중간 줄을 잡으면 모탕과 작업대를 놓고 나면 장소가 협소해서 작업에 불편할 수 있으니 각 구역별로 바깥쪽에 구성된 곳을 선점해서 조금이라도 넓게 작업할 수 있도록 한다.
4. 주민등록증, 운전면허증, 여권 등 신분증 인정범위에 해당하는 신분증을 준비한다.
5. 핸드폰은 감독관의 지시에 따라 전원을 꺼야 하니 손목시계나 탁상시계 등 시계를 준비한다.
6. 당일 점심으로 빵이나 김밥 등 간단히 먹을 수 있는 음식과 음료수, 물을 준비해 가는 것이 좋다. 식당에 가거나 사러갈 시간에 오후 작업을 위한 휴식을 취하는 것이 좋다.
7. 비예보가 있다면 비를 피할 수 있는 모자나 모자가 달린 옷을 준비해서 작업한다. 파라솔을 준비했다가 파라솔이 비바람에 넘어져서 다른 사람에게까지 피해를 주는 경우가 생기면 치우느라 시간이 걸리고 당황해서 시험에 방해가 될 수 있다.
8. 수험자지참도구에 나온 준비물과 큐넷의 수험자 안내에서 강력하게!! 사용이 권고된 마스크를 준비한다.
첫댓글 첫째도 안전! 둘째도 안전! 언제나 안전이 제일입니다!
검은색 목장갑 사용해도 문제가 없으니, 사용하실 분들은 목장갑 쓰고 하세요!
끌질, 망치질 할 때 손 안다치게 언제나 조심하시길 바랍니다!!!
오늘 실기 연습하면서 망치로 왼손을 2번이나 쳤습니다. 안전 유의해서 연습하고 시험때도 주의하도록 하겠습니다.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