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보통신의 기술은 하루가 다르게 급속하게 변화되고 발전되고 있다.
1976년 HM5LH Call Sign으로 아마추어무선국을 개국하였으나, 당시에는 Analog시대라
모든 무선기기는 요즘 세상과는 달리 개인용 PC가 아예 없었고, 각종 물자가 부족한
세상이었기 때문에 100% Home Made 무선기기로 개국하였다.
당시에는 30대의 젊은 나이라 아마추어무선이라는 취미생활에만 몰두할 수 있었지만,
그것도 단위기관의 책임자가 되면서 점차 업무부담이 늘어나게 되자 취미생활에만 집착할 수 없었으나,
다행스럽게도 업무와 취미생활을 연계할 수 있는 직책이었기 때문에 근무지를 옮길때 마다
단체아마추어무선국을 만들어서 아마추어무선의 홍보와 보급에 많은 정성을 쏟았다.
- 삼락중학교, 부산전자공업고등학교(HL0WB), 부산과학교육원(HL0BTW),
부산교육연구정보원(6L0WB) 단체아마추어무선국 개설 및 운영 -


- 부산전자공업고등학교 QSL 카드 - - 부산과학교육원, (전)부산학생과학관 아마추어무선국 -
이제 40여년의 교직생활을 끝으로 제2의 인생인 은퇴생활을 시작하자 갑자기
남아도는 시간을 활용할 방법을 생각하다가 옛날에 열심히 하던 아마추어무선을 떠 올렸다.
그렇지! 지금부터 새롭게 아마추어무선을 시작하자 생각하고 30년 가깝게 묵혀 두었던
JRC HF무전기를 상자에서 꺼집어 내어 전원을 다시 연결하고, 20층 아파트에 Long Wire 안테나를
어렵게 설치하여 마이크를 잡았으나, 안테나의 효율이 떨어져 만나는 무선국 마다
신호가 약하다는 Report 밖에 받을 수 없어 계속 QSO하고 싶은 마음이 없어졌다.
새로운 방법이 없을까 하고 생각하다가 묵혀두었던 V.UHF Rig를 끄집어 내어
간단한 안테나를 설치하고 CQ를 내었으나, Local에서는 아무런 응답도 없었고 조용하기만 했다.
곰곰히 생각하다가 몇년전에 Single User로 교신하였던 Echolink가
생각이 나서 핸드폰과 아이패드에 프로그램을 설치하고 자주 다니던 해운대의 장산에 올라 CQ를 외쳤더니
미국의 LA, 호주의 시드니, 그리고 많은 국내의 Echolink 무선국이 호출에 응답을 해 오고
기분좋은 신호 Report를 보내주어 모처럼 옛날 기분을 내며 교신에 열을 올렸다.
- 스마트폰, 아이패드 Echolink 어플 -

그러나 휴대폰과 아이패드를 이용한 교신은 불편하기 짝이 없었다.
한참 교신하다보면 화면이 사라지고, 밧테리 전원이 꺼지고 하다가 교신하던 무선국과 인사도
못한채 끊겨져 있어 무언가 새롭운 방법을 찾아야 겠다고 생각하였다.
물론 휴대폰과 아이패드를 이용한 교신도 휴대용마이크와 리시버를
이용하면 이러한 불편도 사라지겼지만, 근본적인 해결방법이 필요할것 같았다.
이렇게 하여 생각한 것이 Echolink 의 Single User운영에서 Sysop Mode로
운영하여 인터넷이 연결된 컴퓨터와 Base 장비를 인터페이스로 연결하여 Repeater국을
개설하기로 하였다. 이렇게 하면 앞에서와 같은 불편도 없어지고 항상 부피가
작은 소형의 핸디 무전기로 전 세계와 교신할 수 있기 때문이다.

Echolink는 위와같이 V.UHF Rig와 인터넷이 연결된 겸퓨터를 결합하여
PC-> 인터넷 -> V.UHF 연결, V.UHF -> PC-> 인터냇 -> PC -> V.UHF연결 등
다양한 경로로 인터넷을 매개로하여 V.UHF의 한계인 교신 거리를
인터넷을 이용하여 무한대로 넓힐 수 있는 효율적인 방법이다.
이 방법은 V.UHF의 FM Mode를 이용하여 맑고 깨끗하고 음질과
강한 신호강도를 유지할 수 있음은 물론, 인터넷을 중계로 하여 그 교신 영역을 전 세계로 넓힐 수
있는 매력적인 통신 방법이나, 이 방식이 처음 우리나라에 들어왔을때는 많은 괸심이
있었으나 시간이 흐를수록 인기가 시들고 많은 User가 없는것은 안타까운 일이다.
고층아파트에서 안테나 문제로 시원스러운 교신을 즐길 수 없었던 나는 Echolink
통신방법을 이용해야 겠다고 생각하고 개인 Repeater국을 직접 만들어 개설하기로 결심하였다.
다음은 Echolink Repeater국을 설치하기 까지 2차에 걸친 경험담을 소개하고자 한다.
Windows 7 O/S를 이용한 Link 무선국
Echolink Link국을 운영하기 위해서는 우선 Sysop Mode 운영을 위한 Call Sign,
HL5LH-L와 HL5LH-R국을 부여받아야 한다. 따라서 Echolink 운영국에 다음과 같이
같이 On-Line으로 근거서류와 함께 신청을 해서 미리 등록해 특별한
문제가 없다면 1개월 이내로 등록여부를 e-Mail로 받아볼 수 있다.
- Echolink Call sign 등록하는 방법 -
에코링크_승인.doc
다음으로 Repeater 국에서 필수적인 Computer를 준비해야 하는데,
이는 Repeater국 전용으로 사용하기 때문에 고급 사양일 필요는 없으므로,
마침 폐기직전의 컴퓨터에 Winds 7 O/S를 아들에게 부탁하여 깔고 Echolink소프트웨어를
다시 설치하였는데, 수신은 되었으나, 송신이 되지 않았으며,
RS-232 직렬 포트가 인식이 되지 않아 고생하였다.
본래 무전기와 컴퓨터를 연결하기 위해서는 Serial Port인 Com1을 이용하는것이
가장 좋은 방법이나, 지금의 컴퓨터는 Serial Port가 점차 사라지고 USB가 대부분 장착 되어있다.
그런데 통신용 S/W는 최근의 특별한 것을 제외하고는 대부분 Serial Port로 인식하므로
Serial Port가 없는 컴퓨터에는 Serial -> USB로 변한하는 ESB 젠더를 이용해야 한다.
여러번의 시행착오 끝에 USB를 RS-232로 변환하는 젠더를 설치하고 드라이버
소프트웨어를 설치하여 확인하니 다행히 COM Port3로 인식은되었으나, Echolink는 여전히 정상적인
교신이 되지 않아 Tool Mode에서 방화벽 테스트를 하였더니 'Fail'이라는 최종적인 확인을 하였다.

이유는 TCP Port는 열려있으나, 5198, 5199의 UDP Port가 잠겨있어
Echolink가 방화벽을 통과할 수 없는 것이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두가지 문제를
해결해야 한는데, 첫째, 컴퓨터에서 해당 TCP와 UDP Port가 방화벽을 통과할 수 있도록
하고, 둘째로 인터넷 공유기의 DMZ에서 Echolink가 사용하는 유동 IP를
그때 그때 변화하는 범위에 맞도록 열어 주어야 한다.
그리고 Windows 7 의 방화벽 에 인바운드 규칙과 아웃바운드
규칙 모두에 Echolink의 TCP, UDP Port를 사용할 수 있도록 한다.
그리고 다음의 인터넷 공유기의 DMZ 설정을 한다.여기서는
Echolink의 유동 IP를 지원할 수 있도록 공유기의 포트토워드 또는 포트트래킹에서
UDP5198, 5199를 풀어 주어야 한다고 한다. 이는 공유기에 따라서 설정방법이 다르다고 한다.

컴퓨터와 씨름을 하다가 첫번째 방화벽 문제는 혼자서 해결할 수 있었으나,
두번째 인터넷 공유기에서 Echolink의 유동 IP를 지원하는 문제는 나의 능력으로 불가능하여 백방으로 해결할 방법을 찾았드니, Echolink에서 만나 교신했던 원주에 계시는DS2UAT'최재성'
OM의 도움으로 인터넷을 이용한 원격지원으로 해결할 수 있었다.
다음으로 컴퓨터와 무전기를 연결하기 위해 인터페이스를 제작해야한다.
컴퓨터의 사운드카드 출력을 무전기의 마이크단자로, 무전기의 스피커 출력을 컴퓨터의 마이크단자로
연결하는 케이블을 제작하고, Echolink의 VOX기능을 활성화 하여 인터넷을 통해 교신 상대국의
음성신호에 의해 VOX가 작동하여 RS-232의에서 DCT, DTR출력되어 무전기의 PTT 작동하도록 한다.

인터페이스 카드를 다음과 같이 제작하였다.


그런데 무전기와 컴퓨터를 케이블로 직접 연결하였더니 Side에 White Nose라고 하는
잡음이 발생하여 대단히 귀에 거슬렸기 때문에 많은 자료와 여러 OM님들의 의견을 들어보니, 그것은
무전기와 컴퓨터를 직접 연결했기 때문에 일어나는 잡음이기 때문에
이 두가지 시스템을 Isolation(절연)해야 한다는 의견이었다.
그래서 다음과 같이 무전기와 컴퓨터가 완전히 절연이 될 수 있는 다음과 같은
인터페이스 카드를 만들어 사용했는데, 사용한 절연 트랜스는 600:600옴 트랜스 였다.

이렇게 직접 Computer를 무팅하여 Echolink를 실행하면 국내의 많은 Echolink
국을 만날 수 있다. 그런데 최근에는 Conferance(동호회)국들이 많아 대부분의 운영은
이같은 Conferance국을 중심으로 운영되는데, 특별한 동호회에 가입할
의사가 없는 국들은 KARL(HQ)에서 운영하는 Echolink Conferance에
접속하여 운영할 수 있다.

출처 : 6K2DPT OM, Korea 에코링크클럽 D90IU
Link 국으로 Echolink국에 접속한 모습이다.
왼쪽편에 전세계의 국가에서 Echolink에 접속한 무선국의 숫자가 있다.
이 숫자가 의미하는 바가 크다고 보는데, 그것은 그 나라의 국력과
과학취미 활동을 즐기는 인구라고 본다면 일본이 388국,
우리나라는 91국, 보다 더 분발해야 하겠다고 생각한다.

이렇게 우여곡절을 겪고 매일 수동으로 부팅을 하여 Echolink를 Sysop Mode로 운영했더니,
다음과 같은 또다른 불편한 점도 발견할 수 있었는데, 이는 Hardware로 해결해야 겠다고 생각했다.
다음 사진은 우리잡 거실에 성치된 Echolink Link국 1차 직품이다.

Echolink의 Sysop Mode로 운영하면서 집에서 감청하기 위해서는 항상
핸디 무전기를 켜 두어야 하는데, 이때 핸디 무전기는 하루종일 밧테리가 소모됨은 물론,
컴퓨터와 연결된 무전기 곁에 또다른 무전기를 곁에서 조작하는 것은 또 다른 문제가 있을 수 있으므로,
컴퓨터의 사운드 출력과 무전기의 사운드 출력을 분기하여 별도의 스테레오 Audio Amp로 입력하여
송.수신을 감청하면 핸디 무전기의 밧테리 소모를도방지할 수 있고 효율적인 감청을 할 수 있다.
이렇게 하여 어렵게 탄생한 HL5LH의 Echolink국은 아직도 해결해야 할 다양한
문제들이 있으나, 그 뮨제점을 하루빨리 해소할 것으로 기대한다.
o 주파수 : UHF 433.520 Mhz
o 공중선 출력 : 5W
o 서비스 지역 : 부산 해운대 일원
o 컴퓨터 O/S : Windows 7
다음은 Windows XT O/S를 이용한 제 2차 작품을 소개할 예정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