옛날 중국(中國)의 북쪽 변방(邊方) 지역에 한 노인(老人)이 살고 있었다. 어느 날 이 노인(老人)이 기르던 말이 멀리 달아나 버렸다. 마을 사람들이 이를 위로(慰勞)하자 노인(老人)은 오히려 이 일이 복이 될지 누가 알겠소? 라고 말했다. 몇 달이 지난 어느 날 그 말이 한 필의 준마(駿馬)를 데리고 돌아왔다. 마을 사람들이 이를 축하하자 노인(老人)은 도리어 이 일이 화가 될는지 누가 알겠소? 라며 불안해 했다. 그런데 어느 날 말타기를 좋아하는 노인(老人)의 아들이 그 준마를 타다가 떨어져 다리가 부러졌다. 마을 사람들이 이를 걱정하며 위로(慰勞)하자 노인(老人)은 이것이 또 복이 될지 누가 알겠소? 라며 태연(泰然)하게 받아들이는 것이었다. 그로부터 1년이 지난 어느 날 이웃 나라와 전쟁이 일어나 마을 젊은이들은 싸움터로 불려 나가 대부분(大部分) 죽었으나, 노인(老人)의 아들은 말에서 떨어진 후 절름발이였기 때문에 전쟁(戰爭)에 나가지 않아 죽음에서 벗어나게 되었다.
우리는 대화를 하다가 “세상만사 세옹지마”라는 말을 가끔 쓰는 사람들을 보곤 한다. 세상의 변화는 그 누구도 알 수 없고 예측할 수 없는 것이니, 나에게 복이 들어 오고, 좋은 일이 있다 하여 그렇게 기뻐할 일도 없고, 반대로 재앙이 온다 해도 슬퍼하거나 괴로워 할 일이 아님을 알고 세상 흐름에 유유자적하게 살아야 함을 알리는 문구이다. 세상을 어떻게 사는 것이 정답인지는 정해지지 않았다. 그러나 이왕이면 남에게, 이웃에게, 사회와 국가에 좋은 일을 하며 살아야 한다. 좋은 일이라는 것이 많은 금액으로 보시를 하라는 것이 아니다. 말 한마디, 사소한 행동 하나라도 좋은 말과 행동을 하여 모범을 보일 수 있도록 하면 된다. 가장 중요한 것은 올바른 마음을 가져야 하고, 올바르게 행동해야 한다는 것이다. 그 첫 걸음은 바로 남이 아닌 나부터 모범을 보이라는 것이다. 隨邪에 心不定(수사에 심부정)이란 말이 있다. 즉 마음이 올바르지 못하여 삿된 것을 따르게 되면 마음이 안정이 안 되고 늘 불안하다는 말이다. 마음이 불안하게 되면 그것이 바로 병이 생기는 원인이 된다. 몸에 병이 생기는 것은 마음에서 온다는 말이 있다. 그래서 마음을 늘 올바르게 가져야 하고, 복을 짓는 삶을 살아야 마음이 평안하고 행복해 질 수 있기 때문이다. 1년 동안 폐지를 모아 팔아 모아둔 돈을 불우 이웃을 위해 써 달라며 이름을 밝히지 않고 기부하는 어느 어르신의 선행은 우리 사회를 아름답게 만든다. 각자의 위치에서 맡은 바 일을 열심히 하는 지극히 평범한 사람들이 있기에 우리 나라를 밝고 한층 더 성장하게 만든다. 나라를 발전시키는 원동력은 무책임한 정치인들이 아니라 사회 곳곳에서 말없이 성실히 일하는 지극히 평범한 사람들이라는 것을 알아야 한다.
주) 塞 : 변방 새 , 翁 : 늙은이 옹
塞翁之馬(새옹지마) : 변방에 사는 노인의 말이라는 뜻으로, 인생의 길흉화복은 변화가 많아 예측하기 어렵다는 뜻으로 이르는 말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