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궁상각치우’는 우리 음악의 선법도 음이름도 아니다
잘못된 상식중 단골메뉴가 바로 궁, 상, 각, 치, 우에 관한 내용인데 우리 것으로 알고 있는 궁, 상, 각, 치, 우는 사실은 중국의 음이름과 선법 체계일 뿐 우리의 것이 아니다.
이렇게 철석같이 믿고 있었던 궁상각치우가 우리것이 아니라면 과연 우리음악의 음이름과 선법은 무엇인가?
우리음악에 사용되는 음은 12개이고 이를 12율이라 부르며 12율명은 각각 기본음이면서 가장 낮은 음인 황종(黃鍾)을 처음으로 대려(大呂), 태주(太?), 협종(夾鍾), 고선(姑?), 중려(中呂), 유빈(?賓), 임종(林鍾), 이칙(夷則), 남려(南呂), 무역(無易), 응종(應鍾)이다.
이러한 12율에 각각 삼수변과 사람인변을 하나 둘 추가하며 위 아래 옥타브 음을 구사해 나간다.
이때 홀수 번호에 해당하는 황, 태, 고, 유, 이, 무 이렇게 6개 음을 육율이라 하고
짝수에 해당하는 나머지를 육려라 하며 육율과 육려를 통털어 12율이 되는 것이고 이를 평조와 계면조라는 선법으로 활용하여 우리 음악이 구성되는 것이다.
음악에서 선법이라는 것이 어떤음이 으뜸음이 되더라도 한 옥타브 내의 구성음들이 일정한 간격으로 조직되어 있는 것을 말한다 할 때 평조 선법과 계면조 선법은 확연한 차이를 가지며 존재한다.
우리음악은 12율로 이뤄지며 황, 대, 태, 협, 고, 중, 유, 임, 이, 남, 무, 응 해서 12율의 이름을 12율명이라 부른다.
또 이 12율이 평조 선법과 계면조 선법을 이루며 정간보라는 악보에 담아 사용한다.
by Taboola