불교신앙
2. 수행에 의한 구제 방법 (自力門)- 불교의 수행법 종류 : 참선, 간경, 사경, 염불, 주력, 정근, 기도, 자자와 포살 등
* 참선(參禪) ㄱ. 위빠사나(Vipassana) : 동남아시아의 남방불교권에서 행해지고 있는 수행법 ㄴ. 간화선(看話禪) : 북방아시아권에서 행해지며, 화두(話頭)를 참구하는 수행법
* 참선할때의 3요소 ㄱ. 조신(調身) : 참선의 몸자세 ㄴ. 조식(調息) : 참선시의 호흡법 - 수식관 ㄷ. 조심(調心) : 화두드는 방법
* 수식관(數息觀) : 참선시 호흡을 관찰하며 공부하는 법
* 부정관(不淨觀 ) : 육체의 부정한 모습을 떠올리며 탐욕과 애욕을 조절하도록 하는 수행법
* 간경(看經) : 경전을 보고 읽는 수행법
* 사경(寫經) : 경전을 정성들여 쓰면서 이해하고 외우면서 세상에 전하는 일 (현대적 의미 : 과거에는 경전의 유통보급을 중시했으나, 현대는 서사(書寫)의 공덕을 강조한 신앙적인 면을 더 중시여김) -
사경의 종류 : ㄱ. 묵서경(墨書經) - 먹으로 쓴 경전 ㄴ. 금자경(金字經) - 금가루로 쓴 경전 ㄷ. 은자경(銀字經) - 은가루로 쓴 경전 ㄹ. 수예경(手藝經) - 바늘로 수를 놓아 쓴 경전 -
제본형태에 따라 : ㄱ. 권자본(卷子本) - 두루마리 형태 ㄴ. 절첩본(=첩장본) - 병풍 형태 ㄷ. 선장본 - 족보책 형태
* 염불(念佛) : 부처님(또는 보살님)을 마음속으로 항상 생각하는 수행법 예) 나무아미타불 ㄱ. 법신염불 : 부처님이 깨달으신 진리를 생각하는 염불 ㄴ. 관념염불 : 부처님의 공덕이나 모습을 마음에 그려보는 염불 ㄷ. 칭명염불 : 부처님의 명호를 부르는 염불 --> 흔히 쓰이는 염불임
* 주력(呪力) : 주문의 힘, 즉 주문을 한 수행법 ㄱ. 다라니(陀羅尼) : 긴 주문 =총지 ㄴ. 진언(眞言) : 짧은 주문 =만트라
* 정근(正勤) : 선법(善法)을 더욱 자라게 하고 악법을 멀리 여의려고 부지런히 수행하는 정진
* 기도 : 불보살님의 위신력을 찬탄하고 다생에 지은 모든 업장을 참회하며 감사하는 마음으로 일체중생과 함께 하기를 발원하고 회향하는 수행
* 자자와 포살 (1) 자자(自恣) : 스님들이 안거를 끝내는 마지막날, 함께 공부하던 대중들이 모인가운데 자신의 죄를 고백하고 참회하여 꾸중듣기를 청하는 것 (2) 포살(布薩) : 보름과 그믐에 대중들이 한곳에 모여 계경(戒經)을 다시한번 들어가며 잘 지켰는가를 대중앞에서 고백하는 의식
* 불교에서 절(拜)을 하는 의미 (1) 삼보에 대한 예경과 상대방에 대한 존경을 표하고자 (2) 하심(下心 : 자신을 낮추는 마음)을 하고자 (3) 참회하고자 (4) 기도발원하고자 (5) 무아(無我)의 경지에 들고자
* 절의 공덕 (1) 절을 많이하면 아름답고 건강한 신체를 얻는다. (2) 남들로부터 신뢰를 받는다. (3) 스스로 두려움이 없어진다. (4) 불보살님이 항상 보호해주신다. (5) 훌륭한 위엄을 갖추게 된다. (6) 모든 사람에게 호감을 주게 된다. (7) 죽어서는 극락에 태어난다. (8) 마침내는 깨달음을 얻는다.
* 오체투지(五體投地) : 양팔꿈치, 양무릎, 이마의 5부분이 땅에 닿게 하여 자신을 무한히 낮추면서 상대방에게 최대의 존경을 표하는 가장 경건한 예법.
* 고두례(叩頭禮 =유원반배) : 세 번째 절을 하고 일어서기전에 한다. 부처님에 대해 무수히 예경하고픈 간절한 마음을 여기서 마치게 되는 아쉬움을 표하는 방법으로, 이 순간 발원을 한다. * 우슬착지법 : 법당밖이나 야외에서의 예배법
* 합장(合掌) : 두 손바닥을 마주 합치는 불교의 예법 두손을 통해서 나의 마음을 모으고 나아가서 나와 남이 둘이 아니라 하나의 진리위에 합쳐진 동일한 생명이라는 의미.
* 차수(叉手) : 도량에서 평상시 손을 쓰지 않을 때 하는 자세. '손을 교차한다'라는 뜻.
* 사찰내 예절, 법당내 예절, 식사예절, 공양의 예절, 재가불자 상호간의 예절 --'불교청년회입문안내서' 109p참조
* 불교의 삼종가피 (1) 현증가피 (2) 몽중가피 (3) 명훈가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