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퀸 (Queen) :
프레디 머큐리 (Freddie Mercury, 보컬) : 1946년 9월 5일 탄자니아 출생, 1991년 11월 24일 사망
브라이언 메이 (Brian May, 기타) : 1947년 7월 19일 영국 런던 출생
존 디콘 (John Deacon, 베이스) : 1951년 8월 19일 영국 레스터셔 출생
로저 테일러 (Roger Taylor, 드럼) : 1960년 4월 26일 영국 더싱햄 출생
영국 런던에서 1971년에 결성된 록 밴드 '퀸'은 밴드의 기타리스트인 '브라이언 메이'로 부터 시작되었다.
영국 런던시 남서쪽 템스 강 부근의 햄프턴(Hampton)에서 태어난 브라이언 메이는
'햄프턴 그래머 고교(Hampton Grammar School)' 재학 시절에 처음으로 밴드를 결성하여 음악 활동을 시작하였다.
학교 친구인 '팀 스타펠(Tim Staffell, 베이스, 보컬)'과 밴드를 결성하고
밴드 이름을 '나인틴 에이티 포(Nineteen Eighty-Four)'로 지었는데, 이는 '조지 오웰(George Orwell)'의 소설인
'1984'를 읽고 깊은 감명을 받았던 브라이언 메이가 소설의 제목을 그대로 밴드의 이름으로 사용하게 된 것이다.
우수한 성적으로 고등학교를 졸업한 브라이언 메이와 팀 스타펠은 런던에 있는
임페리얼 대학교(Imperial College)에 같이 입학하게 된다.
두 사람은 가끔씩 함께 연주를 하며 잠시 눌러 놓았던 음악을 향한 열정을 표출하기도 하면서 대학 생활을 보내고 있었다.
그러던 어느 날 두사람은 더 늦기 전에 새로운 밴드를 결성하여 본격적인 활동을 해보자는데 의견을 모으게 된다.
이렇게 하여 학교 게시판에 밴드를 함께 할 드러머를 모집한다는 광고를 내게 되는데
이 광고를 보고 찾아온 사람이 바로 '로저 테일러'였다.
노퍽(Norfolk)주 더싱햄(Dersingham)에서 태어난 로저 테일러와 함께 브라이언 메이와 팀 스타펠은
1968년에 트리오 밴드를 결성하고 밴드 이름을 '스마일(Smile)'로 정하게 된다.
스마일이 결성될 당시 팀 스타펠의 친구로 런던의 '일링 예술 대학(Ealing Art College)'에 다니고 있던
'파로크 불사라(Farrokh Bulsara)'는 친구인 팀 스타펠이 밴드를 결성했다는 소식을 듣고
한달음에 달려와 축하해 주었으며 밴드의 열렬한 지지자가 되었다.
1963년에 영국으로부터 독립한 '탄자니아(United Republic of Tanzania)'의 항구 도시 잔지바르(Zanzibar)
스톤타운(Stone Town)에서 태어난 파로크 불사라는 스마일의 멤버들과 자주 어울려 다녔는데
이때 부터 자신의 이름을 영어식인 '프레디(Freddie)'로 바꾸게 된다.
스마일이 결성되고 2년이 흐른 1970년에 팀 스타펠이 막 결성한 밴드인 '험피 봉(Humpy Bong)'으로 옮겨가게 되자
스마일의 두 멤버들은 자연스레 프레디를 밴드의 일원으로 받아들이고
밴드의 이름도 프레디가 제안한 퀸으로 바꾸게 된다.
프레디가 밴드의 이름을 퀸으로 정한 이유는 퀸이라는 단어가 대단히 보편적이고 발음하기도 쉬워서라고
밝혔었는데 거기에는 자신이 게이(Gay)라는 성적 취향의 의미도 포함되어 있었을 것으로 추측된다.
하여간 새출발 하게 된 퀸은 밴드의 새로운 베이스 주자를 찾아야 했는데 몇명의 베이스 연주자를 거쳐
1971년 2월에 레스터셔(Leicestershire) 출신의 '존 디콘'을 맞아 들여 4인 체제의 밴드 구성을 마무리 짓게 된다.
퀸은 음반 데뷔를 위해 '드 레인 레아 녹음실(De Lane Lea Studios)'에서 'Liar',
'Keep Yourself Alive', 'The Night Comes Down', 'Jesus'의 네곡을 녹음하여 데모 테이프를 제작하였다.
또한 프레디는 음반사에 보낼 신상명세서의 이름을 적는 칸에 자신의 이름을 프레디 머큐리라고 적어 넣으면서
우리가 알고 있는 퀸의 보컬리스트 프레디 머큐리가 탄생하게 된다.
머큐리라는 성은 프레디 머큐리가 'My Fairy King'이라는 노래를 만들다가 노래에 등장하는
가사 'Mother Mercury, look what they've done to me'에서 영감을 얻어 자신의 이름을 바꾸게 되었던 것으로
이 곡은 퀸의 데뷔 음반에 수록하게 된다. 프레디 머큐리가 고안한 퀸의 로고를 새겨 넣은
데뷔 음반 'Queen'은 'EMI'를 통해서 1973년 7월 13일에 발표되었다.
Somebody To Love(1976)
Can anybody find me somebody to love
날 사랑해줄 누군가가 없을까요?
Ooh, each morning I get up I die a little
매일 아침 일어날때마다 난 조금씩 죽어가요
Can barely stand on my feet
겨우 두발로 설 수 있을 뿐이죠
(Take a look at yourself)
(너 스스로를 봐)
Take a look in the mirror and cry (and cry)
거울 속의 나를 보고 울어요 (그리고 울어)
Lord, what you're doing to me (yeah yeah)
하느님, 대체 나에게 무슨짓을 한건가요
I have spent all my years in believing you
난 평생동안 당신을 믿었어요
But I just can't get no relief, Lord!
하지만 하느님, 난 위안받지 않고는 믿을 수 없어요!
Somebody (somebody)
누군가
ooh somebody (somebody)
오, 누군가
Can anybody find me somebody to love?
날 사랑해줄 누군가가 없을까요?
I work hard (he works hard)
난 열심히 일해요(그는 열심히 일하죠)
every day of my life
평생동안요
I work 'til I ache in my bones
난 뼈가 부서져라 일해요
At the end (at the end of the day)
마지막에는 (하루의 끝에는)
I take home my hard earned pay
all on my own
내가 힘들게 번 돈을 집으로 가져가요
I get down (down) on my knees (knees)
난 무릎꿇어요
And I start to pray
그리고 기도하기 시작하죠
'Til the tears run down from my eyes
눈에서 눈물이 흘러내릴 때까지
Lord, somebody (somebody)
하느님, 누군가 (누군가)
ooh somebody
오 누군가
(Please)
(제발)
can anybody find me somebody to love?
날 사랑해줄 누군가가 없을까요?
Everyday (everyday) I try and I try and I try
매일 (매일 ) 난 시도하고 또 시도하고 또 시도하죠
But everybody wants to put me down
하지만 세상 사람들은 모두 날 깔아 뭉개길 원해요
They say I'm going crazy
사람들은 내가 미쳐 간데요
They say I got a lot of water in my brain
뇌가 물로만 가득 차 있데요
I got no common sense
상식이 없데요
I got nobody left to believe in
날 믿을 사람이 없데요
Yeah yeah yeah yeah
Oh, Lord
오, 신이여
Ooh somebody, ooh somebody
오 누군가, 오 누군가
Can anybody find me somebody to love?
날 사랑해줄 누군가가 없을까요?
(Can anybody find me someone to love)
날 사랑해줄 누군가가 없을까요?
Got no feel, I got no rhythm
느낌이 없어요, 리듬도 없죠
I just keep losing my beat
그저 계속해서 박자를 놓치고 있어요
(you just keep losing and losing)
(넌 계속해서 놓치고 놓치지)
I'm OK, I'm alright
전 괜찮아요, 괜찮아요
(he's alright, he's alright)
(그는 괜찮아, 괜찮아)
I ain't gonna face no defeat (yeah yeah)
전 좌절하지 않을거예요
I just gotta get out of this prison cell
이 감방에서 탈출하고 말거예요
One day (someday) I'm gonna be free, Lord!
하느님, 언젠가 전 자유의 몸이 될거예요
Find me somebody to love
나를 사랑할 사람을 찾아
Somebody somebody somebody somebody
누군가 누군가 누군가 누군가 누군가
Somebody find me
누군가가 나를 찾아
Somebody find me somebody to love
누군가가 나를 찾아, 사랑할 사람을
Can anybody find me somebody to love?
날 사랑해줄 누군가가 없을까요?
(Find me somebody to love)
(나를 사랑할 사람을 찾아)
Ooh
(Find me somebody to love)
(나를 사랑할 사람을 찾아)
Find me somebody, somebody
(find me somebody to love)
somebody, somebody to love
Find me, find me, find me, find me, find me
Ooh, somebody to love
(Find me somebody to love)
Ooh (find me somebody to love)
Find me, find me
find me somebody to love
(find me somebody to love)
Anybody, anywhere,
anybody find me somebody to love love love!
Somebody find me, find me lov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