강낭콩
1. 생물학적 고찰
1) 학 명 : Phaseolus
vulgaris var. humilis
2) 異 名 : 채두(菜豆), 운두(雲豆)
3) 형 태 : 홍색 등의 꽃이 핀다. 열매는 원통형이거나 좀 납작한 원통형의 꼬투리이다.
4) 생 태 : 온도에 대한 적응성은 품종에 따라 다르나
대체로 온난한 기후에서 잘 자라며 추위에 약하다. 기온이 l0℃ 이상, 토양 온도 9℃ 이상이 아니면 정상적인 생육을 하지 못한다. 개화기에 온도가 높으면 꽃이 떨어지고, 고온·건조시에는 콩알이 굵어지지 않는다. 결실기에 비가 자주 오고 다습하면
썩기 쉬우며, 수확 직전에는 꼬투리에서 싹이 터 수량과 품질이 떨어진다. 서리의 염려가 없어지면 왜성형 콩은 이랑 사이 60m, 포기 사이 30cm로, 덩굴콩은 이랑 사이
60∼75cm, 포기 사이 45cm 내외로 심는다. 본래
콩과작물에는 뿌리혹박테리아가 생기므로 비료를 적게 주어도 되나, 강낭콩은 콩과작물 중 가장 비료를 많이
요구한다. 특히 인산 거름의 효과가 크며, 초기에 주는 것이
좋다. 주요 병충해로는 탄저병, 녹병[銹病], 세균성 점무늬병, 모자이크
바이러스 등의 병과 진딧물, 바구미 등의 해충이 있으나, 충해는
쉽게 방제할 수 있다.
5) 설 명 : 줄기잎은 사료로 쓴다. 성분은 녹말 60%, 단백질
20% 정도를 함유한다. 열매는 밥에 넣어서 먹거나 떡이나 과자의 소로, 어린 꼬투리는 채소로 쓰인다. 중남미·인도·아프리카 등지에서는 주식으로 이용된다.
6) 분 포 : 원산지는 멕시코 중앙부에서 과테말라, 온두라스 일대이다. BC 5세기부터 아메리카 대륙의 원주민이 재배하였고
중앙·남아메리카로 보급되었다. 유럽에는 아메리카 대륙 발견
이후 스페인 사람에 의해 전파되었다고 한다. 한국에는 중국 남쪽 지방에서 들어왔다고 하며, 일제강점기에 일본에서 여러 품종을 도입하여 식용으로 재배하였다. 강낭콩은
세계적으로 콩류 중에서 재배 면적이 가장 넓으며, 주요 생산국은 인도,
중국, 브라질 등이다.
7) 품 종 : 초성(草性)에 따라 덩굴형, 왜성형
및 중간형, 그리고 이용면에 따라 종실용(種實用), 청실용(靑實用), 꼬투리용으로
구분된다. 품종으로는 성숙되기 전에 수확하여 식용하는 긴알락콩, 왜성
품종으로 진다홍콩, 종실종에는 핀토(Pinto), 레드멕시칸(Red mexican), 켄터키 원더(Kentucky wonder) 등이
있다. 꼬투리용에는 블루 레이크(Blue lake), 부시
블루 레이크(Bush blue lake), 컨텐더(Contender)
등이 있다.
※ 강낭콩屬의 주요 콩류
◎ 덩굴강낭콩 : Phaseolus vulgaris
1) 異 名 : 채두(菜豆), 운편두(雲扁豆), 강남채두, 돔부
2) 형 태 : 길이는 1.5∼2m이고 잔 털이 있다. 잎은 어긋나고 작은잎이 3장씩 나온 잎이며 잎자루가 길다. 작은잎은 넓은 달걀 모양 또는
사각형 달걀 모양이고 길이 10cm 정도로 가장자리가 밋밋하며 끝이 날카롭다. 꽃은 7∼8월에 흰색 또는 연분홍색으로 피고 잎겨드랑이에서 나온
총상꽃차례에 달린다. 꽃받침은 술잔처럼 생겼고 끝이 5개로
갈라진다. 수술은 10개,
암술은 1개이다. 꼬투리는 길이 10∼20cm이고 다소 굽는다. 열매는 9∼10월에 익으며, 종자는 둥글거나 타원형이고 품종에 따라서 형태와
빛깔이 각각 다르다.
3) 설 명 : 콩은 식용하고 민간에서는
약용하기도 한다. 전국 각 지역에서 재배하는 귀화식물이다. 강낭콩(var. humilis)은 이와 비슷하지만 덩굴성이 아니고 흔히 재배된다.
4) 분 포 : 원산지는 열대 아메리카이고
우리나라에서는 전역에서 재배된다.
◎ 붉은강낭콩 (scarlet runner bean) : Phaseolus multiflorus(coccineus)
1) 형 태 : 잎은 어긋나고 작은잎이 3장씩 나오며 잎자루가 길다. 작은잎은 사각형 넓은 달걀 모양이고
가장자리가 밋밋하며 끝이 뾰족하다. 꽃은 8월에 피고 붉은색이며
총상꽃차례에 달린다. 꽃받침은 깊게 갈라지며 기판(旗瓣)은 서지만 용골판(龍骨瓣)은
꼬인다. 열매는 꼬투리로 줄 모양이고 길이 10cm이며 짧은
털이 있는 것도 있다. 종자에 무늬가 있다. 흰색 꽃이 피는
것을 흰강낭콩(for. albus)이라고 한다.
2) 설 명 : 중남미 원산이며 여러해살이풀이지만
한해살이풀로 재배한다.
○ 미꾸라지강남콩 : 덩굴이 있는 대표종으로 환협. 미꾸라지와
닮은 모양이므로 이렇게 부른다. 켄터키원더라고도 부른다. 연하고
맛이 좋다.
○ 사벨강남콩 : 매우 가늘고 둥근 강낭콩. 어릴
때 채취한 것이나 심줄이 없는 것도 있다. 단맛이 강하고 연하므로 샐러드 등에 최적 비교적 새로운 품종이다.
○ 모르코 강남콩 : 사벨강남콩과 같은 시기에 도입된 평협종.
양질의 단백질과 비타민 무기질이 들어 있고 맛이 좋다. 가정채원에 적합하며 주된 단백질은
글로불린(globulin)이고, 필수 아미노산으로 라이신(lysine)과 류신(leucine), 트립토판(trytophan)이 다량 함유되어있다. 익지 않은 푸른 꼬투리의
경우는 ‘스트링 빈’이라 하여 단백질과 비타민(A, B1, B2. C)등이 풍부하다.
2. 기능성
1) 면역계에 대한 작용 : PHA는 작은 임파세포를 자극해서
유약화시킨다. 반응 초기, PHA와 임파 세포막상의 수용체의
결합이 이루어지면 막전위(膜電位)의 저하가 일어나서, 막상(膜上)의 cAMP가 활성화되고, 막(膜)호스파미드의 대사가 증강되어 아미노산과 Ca이온 등의 대사를 증가시킨다. 후기에는 핵산 및 단백질 합성이 상승되고, 임파구는 계속 분열 증식되어
가고 동시에 lymphokine이 방출된다. 항체 생산에
대해서는 여러 가지 의견이 있다. 하나는 생쥐의 항BSA항체
생산에 대해서 촉진 작용이 있다고 하는 관찰이고, 또 하나는 IgG의
생산을 억제하지만 역으로 IgM의 생산은 촉진시킨다고 하는 발견으로서,
이에 따라 표적 종양세포 장애성 항체를 증가시킨다고 생각된다.
2) 조혈기능 촉진작용 : PHA는 골수의 조혈 기능을 자극하여 백혈구를 보호 또는 향상시킨다. 따라서
종양 환자의 화학요법 과 방사선 치료에 의해 일어난 골수 억제와 백혈구 감소를 예방 치료할 수 있다. 이외에
화학요법, 방사선 치료, 수술 등의 처치에 대해서도 보조작용을
가지며 전체의 치료 성적을 높인다.
3) 감염 억제작용 : PHA는 대식세포의 탐식 기능을 높일 수 있다. 그리고 MIF(백혈구 유주[遊走] 저지
인자), interferon을 유발 생산 하고, 바이러스의
정상세포에 대한 감염을 저지하며 나아가 바이러스에 침식당한 세포를 살상(殺傷)한다.
4) 항종양작용 : PHA는 체내외에서 여러 종류의 종양에 대해 일정한 억제작용을 가지고 있다.
항종양 작용의 생산이란, 한편으로는 직접 작용이며 또 한편으로는 생체의 면역 기능 향상의
결과로 발휘되는 것이다.
5) 항알레르기작용 : PHA를 모르모트에 투여하고 2주일 지난 후에 다시 2차 주사를 놓았는데 알레르기 반응이 보이지 않았다. 임상에서 연속 50일간 시험해 본 결과, 소수의 증례에서 일과성의 알레르기 반응이
나타났다.
6) 변비개선작용 : 강낭 콩에는 섬유질이 많아 변비 예방이나 치료에 좋다.
7) 빈혈치료작용 : 강낭콩을 삶으면 그 물이 검은 색인데 이것을 마시면 빈혈치료제가 된다.
3. 구성성분
1) 기능성을 나타내는
주성분은 PHA(식물성 혈구응집소), 비타민류(비타민B1, B2, B6), Globulin, 아미노산류(lysine, leucine, tryptophan, threonine), Lecithin 등이다.
2) 녹말 60%, 단백질 20% 정도를 함유한다 식물성 섬유는 100g당 19.3g으로 섬유질이 풍부한 콩류 중에서도 가장 많다. 따라서 변비
개선이나 대장암 예방, 동맥경화 개선 등에 효과가 있다
3) 강낭콩에는 특히 비타민B1, B2, B6가
많아 쌀밥을 주식으로 하고 있는 한국인에게는 탄수화물 대사를 순조롭게 하는 식품으로 아주 좋다. 비타민 B1이 부족하면 각기병(脚氣病)에
걸린다는 것은 잘 알려진 사실이지만 각기병(영양 결핍증의 하나로 다리가 붓고 맥박이 빨라짐)에 안 걸린다 하더라도 가벼운 증세로는 식욕 부진, 변비, 피로, 신경염, 심장
장해, 부종(浮腫)등이
일어나기 때문에 평소에 강낭콩을 많이 섞어 먹으면 싼값에 양질의 영양을 고루 얻을 수 있는 장점이 있다.
4. 독성 및 부작용
강낭콩의 종류 에는
일종의 청산배당체가 들어 있어 이것이 분해되면 청산(HCN)이 생성된다. 이 청산은 맹독 성분인데 라이마콩이나 버어마콩에는 많기 때문에 제독하지 않고 먹으면 식중독을 일으키게 된다.
5. 민간 요법
1) 설사, 만성위장병에 좋다.
2) 장기적으로 먹으면
머리가 세는 것을 예방할 수 있다.
3) 강낭콩의 꽃은 보라색과
흰색이 있는데 한방에서는 꽃과 잎 모두를 약으로 이용하며 꽃은 콩과 마찬가지로 여성의 대하(帶下)와 독에 중독되어 죽어 가는 사람에게 구급약으로 마시게 하면 좋다.
4) 한방에서는 대하증이
있는 여성이 강낭콩 꽃을 볶아서 가루로 만든 것을 복용하면 좋다고 한다. 이는 꽃에 tannin 성분이 들어 있기 때문에 그것이 자궁점막의 수렴작용을 한다.
5) 여름에 더위에 지쳐서
기운이 빠질 때 강낭콩을 팥처럼 삶아서 설탕을 치고 깨끗한 연(蓮) 잎사귀를
같이 넣고 끓인 것을 먹으면 기운이 난다고 한다.
6. 고전 문헌
1) 1978년, 전국적으로 PHA요법과 화학요법을 조합해서 여러 종류의 종양 403례의 치료
성적이 정리되었다. 예를 들면, 백혈병 80차례 치료 가운데 유효가 53건으로 66.3%(대조군은 32례로 유효율
43.7%)를 차지하였으며, 그 가운데 난치증례가 21건인데
유효가 15건이었다. 비인경암(鼻咽頸癌) 40건에서
PPF(PHA, chloramin, 5-fluorouracil)를 사용하면 유효율 97.5%, 현저효율 50%(대조군은 16건에서 유효율
93.7%, 현저효율 31.2%)였다. 말기
소화관 종양 8건 가운데 현저한 효과 4건, 유효 2건이었다. 그
외 종양(위암, 직장암 등)
52건 가운데 유효가 31건으로 59.6%를
차지하였다.
2) 각종 유형의 간염 및 간경변 에 대하여 일정한 효과를 가지고 있다. 중국 운관시(韻關市)의
두 개 병원에서는 PHA(한약과 서양의 양약에 의한 대중 치료를 병 용)로 만성 지속성 간염 50건을 치료,
유효율 84%였다. 대조된 중서의(中西醫) 치료군 20개
군의 유효율은 50%로서, 두 군의 비교차는 아주 현저하였다. 한단시(邯鄲市) 전염
병원은 PHA로 50례를 치료(급성 15건, 만성 32건, 중증 3건)하였는데 유효율이 68%였고, 그
가운데 급성 15건은 전부 유효하였다.
3) 백혈구 감소증, 류마티스 관절염, 소아 바이러스성 폐렴 등 면역성 질환 및 면역 기능 의 변화와 관계되는 질병은 단독이나, 혹은 그 외의 약과 배합해서 사용한다. 이 밖에 면역기능의 측정에도
쓰인다.
4) 강낭콩은 소염, 지양(止痒: 가려움증을 멎게 한다), 해독, 정장(整腸)작용이 있고
설사 와 만성 위장병에 좋다.
5) 오장(五臟)을
보호하는 작용이 있고 오래 복용하면 머리카락이 세지 않는다. 대하(帶下)가 있는 여성에게 좋고 주독, 복어의 독 등을 없애준다. 설사를 멎게 하고 더위와 입안의 갈증을 해소하며 위장을 따뜻하게 하여 열을 내리게 한다(본초강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