題驄馬契軸(제총마계축)二首 총마(驄馬는御史)
①
頭上峩峩柱後冠 두상아아주후관 두상에 높고높게 법관(法冠)을 쓰고나서
南臺深處共盤桓 남대심처공반환 남대의 깊은곳에 다같이 머무노라
直敎松柏風霜老 직교송백풍상노 송백은 풍상에도 겪어남을 가르치고
須信肝腸鐵石寒 수신간장철석한 간장은 철석처럼 차가웁게 해야한다
公事有嚴三尺法 공사유엄삼척법 공사에도 엄정(嚴正)하게 삼척의 법이있고
交情無忝一罇懽 교정무첨일준환 교정에는 욕(辱)됨없이 일배주(一杯酒)즐기도다
他年榮落參商日 타년영락참상일 후일(後日)에 퇴관(退官)하여 서로들 갈렸을때
好把題名指點看 호파제명지점간 명단(名單)을 가지고 지점해 보리로다
안(按)컨대 이 시편(詩篇)은 점필재집(佔畢齋集)속에 있으나 선생의 본손(本孫)집에 소장(所藏)한 계축(契軸)의
상면(上面)에도 또 이 시(詩)를 기록(記錄)하여 선생이 쓰신 유고(遺稿)라고 전해 있으며 또한 하편(下篇)에
면계(勉戒)하는 뜻과 동일인의 손으로 되였으니 그 점필재유집(佔畢齋遺集)에 있는 것을 보면 이것이 심히
의심(疑心)나는 것이다.
주자대전(朱子大全)에「삼선생논서록(三先生論事錄)」서(序)가 또한 잔동교문집(陳同交文集)중에도 있고
이정전서(二程全書)의「논한퇴지(論韓退之)」일관(一款)도 또한「동파문집(東坡文集)」에 나오니
무릇 문집(文集)에 혼록(渾錄)이 되였음이 이러한 종유(種類)가 허다(許多)하기 때문에 본사(本家)의
소장본(所藏本)에 의해서 수록(收錄)하는 바이다.
②
纔罷輸心便背馳 재파수심편배치 겨우 정을 나누다간 문득 서로 배치하니
人間相許半相欺 인간상허반상기 인간 서로 허교(許交)함이 반은서로 속인거다
張陳樂死還忘信 장진락사환망신 장과 진이 결사(決死)하다 신의(信誼)도로 잊었부고
管鮑云亡盡賣知 관포운망진매지 관중(管仲)포숙(鮑叔)죽었다고 지구(知舊)서로 다팔았다
雲雨難憑翻覆熊 운우난빙번복웅 운우가 변해감은 신빙(信憑)하기 어려우나
蚷蛰惟保始終期 거첩유보시종기 거첩은 시종같이 보전(保全)해만 가는거다
從今共把歲寒節 종금공파세한절 금후(今後)로는 모두 서로 송죽(松竹)같은 절조(節操)갖고
走向風塵任險夷 주향풍진임험이 풍진계(風塵界)로 나가는데 안위(安危)에다 일관(一貫)하라
<苟全公 14世孫 金台東 옮겨씀>
[註]
남대(南臺)=조선때 학행(學行)이 높아 사헌부(司憲府)의 장령(掌令)지평(持平)의 관직에 추천된 사람.
주자대전(朱子大全)=주희(朱熹)의 글을 죄다 합쳐서 엮은 책.
이정전서(二程全書)=명도 정호(明道 程顥),이천 정호(伊川 程頣)의 전서(全書).
한퇴지(韓退之)=당 나라때의 문장가(768~842)唐,宋 팔대가의 한 사람.이름은 유(愈)자는 퇴지(退之),호는 창려(昌黎).
관중(管仲)=춘추시대(春秋時代) 제(薺)나라의 현상(賢相),관자(管子) 총86편의 저서중 현재76편이 남아있음.
辭都承旨疏(사도승지소) 도승지를 사임하는 소
신(臣)은 학문(學問)이 바르게 통하지 못하여 재능(才能)이 등용(登用)에는 맞지 아니하고 더구나 나이로
쇠모(衰耗)하여 질병(疾病)이 잇따르니 지식(知識)이 혼매(昏昧)하여 일손마다 방향(方向)을 가늠키 어렵사옵니다.
성종조(成宗朝)에 신임을 받사옴도 성은(聖恩)이 지나침에 힘입어 청현(淸顯)의 자리를 역임(歷任)하면서
조열(朝列)에 끼친 누(累)가 이미 그 한도(限度)를 넘었사옵기에 하늘에 우러러 부끄럽사옵고 세상을 대할날
또한 같사와 이몸 분발하고저 스스로에 힘써봅니다.
재량(才量)이 천박(淺薄)하고 편히 물러나고저 분수(分數)에 지절(至切)해 봄인즉 은고(恩顧)가 더욱 더하시니
신(臣)의 진퇴(進退)가 실로 낭패(狼狽)로소이다.
옛적의 군자(君子)에 보잘것 는 벼슬 자리라도 혹은 해를 채워가며 굳이 사양(謝讓)했다 하고 죽음을 결의(決意)하고
자리(취임(就任)하지 않는 자가 그 형세(形勢)가 몹시 불편(不便)하다 하더래도 므릅써서 어려윘다 하옵니다.
전하(殿下)께옵서서는 왕위(王位)를 이으신지 아직 얼마 아니되옵고 인재(人才)를 추천(推薦)하고 기용(起用)함에
관계(關係)하는 바가 가벼이 해서 아니되온데 어찌 신과같이 졸열(拙劣)한 것을 오래 청반(淸斑)의 자리에 므릅써
있게해서 해로 지인지명철(知人之明哲)에 누(累)를 끼치게 하고 아래로 지기지의리(知己之義理)에 어긋나게 하여
새로운 정사(政事)에 유익(有益)은 없고현재(賢才)의 앞길에 방해(妨害)만 읶게 하옵나이까?
하물며 이제 산릉(山陵)도 이미 이루었으며 영례(襄례)도 잘 치렀으니 노신(老臣)의 정성(精誠)은 이에서 마쳐야만
하옵니다.
신(臣)은 또한 마땅히 농토(農土)로 되돌아가 그 세상에서 묻혀야만 하오니 굽어 살피시와 특별(特別)히 허체(許遞)해
주심인즉 신에게 있어서는 다시없는 영광(榮光)이 되옵고 또한 다행(多幸)한 일이 옵나이다.
<苟全公 14世孫 金台東 옮겨씀.>
[註]
청현(淸顯)=청환(淸宦)과 현직(顯職).
조열(朝列)=조반(朝班),조회에 참여하는 관원의 차례.
은고(恩顧)=은혜(恩惠)를 베풀어서 보살펴 줌.
청반(淸班)=삼사(三司)의 관직, 대각(臺閣), 홍문관(弘文館)등.
허체(許遞)=특지(特旨)를 내려서 벼슬을 갈아주는 것.
총마계전첩(騘馬契前帖) 총마계의 전첩
중직대부 행사헌부감찰(中直大夫 行司憲府監察)에 어맹순(魚孟淳), 자(子)는 호연(浩然)이고 본(本)은 함종(咸從)이며
부(父)는 정충출기적개공신 자헌대부 한성판윤 아성군(精忠出氣敵愾功臣 資憲大夫 漢城判尹 牙城君) 세공(世恭)이다.
봉정대부 행사헌부감찰(奉正大夫 行司憲府監察)에 김간손(金艮孫), 자(子)는 지지(知止)이고 본(本)은 광주(光州)이며
부(父)는 봉훈랑 전주판관(奉訓郞 全州判官)에 승평(昇平)이다.
봉정대부 행사헌부감찰(奉正大夫 行司憲府監察)에 허암(許巖), 자(子)는 자견(子堅)이고 본(本)은 양주(楊州)이며
부(父)는 수의부위 전행용양위 좌부사용(修義副尉 前行龍驤尉 左部司勇)에 경(逕)이다.
봉정대부 행사헌부감찰(奉正大夫 行司憲府監察)에 김숙손(金叔孫),자(子)는 자청(子淸)이고 본(本)은 부안(扶安)이며
부(父)는 절충장군 행용양위사직(折衝將軍 行龍驤衛司直)에 보口(甫口)이다
조산대부 행사헌부감찰(朝散大夫 行司憲府監察)에 윤흥상(尹興商),자(子)는 신옹(莘翁) 이고 본(本)은 파평(坡平)이며
부(父)는 증순충적덕병의보조공신 대광보국숭록대부 의정부 좌의정행중직대부 백천군사
(贈純忠積德秉義補祚功臣 大匡補國崇祿大夫 議政府 左議政行中直大夫 白川郡事)에 경(坰)이다.
조봉대부 행사헌부감찰(朝奉大夫 行司憲府監察)에 심순로(沈順路),자(子)는 자유(子由)이고 본(本)은 청송(靑松)이며
부(父)는 절충장군 행호분위부호군(折衝將軍 行虎賁衛副護軍)에 린(潾)이다.
조봉대부 행사헌부감찰(朝奉大夫 行司憲府監察)에 박원효(朴元孝),자(子)는 백원(百源)이고 본(本)은 창원(昌原)이며
부(父)는 학생(學生)에 소(紹)다.
통덕랑 행사헌부감찰(通德郞 行司憲府監察)에 조호문(趙好問),자(子)는 지경(智卿)이고 본(本)은 주천(酒泉)이며
부(父)는 통사랑 행영월유학훈도(通仕郞 行寧越儒學訓導)에 발(發)이다.
통덕랑 행사헌부감찰(通德郞 行司憲府監察)에 송환은(宋環殷),자(子)는 치지(徵之)이고 진천(鎭川)이며
부(父)는 통정대부 회양진병마절제사 행회양도호부사(通正大夫 淮陽鎭兵馬節制使 行淮陽都護府使) 반(盤)이다.
통선대부 행사헌부감찰(通善大夫 行司憲府監察)에 한만령(韓萬齡),자(子)는 인수(仁叜)이고 본(本)은 한양(漢陽)이며
부(父)는 통선랑 행장연현감(通善郞 行長淵縣監)에 호생(虎生)이다.
봉직랑 행사헌부감찰(奉直郞 行司憲府監察)에 박경(朴璟),자(子)는 가완(可翫)이고 본(本)은 창원(昌原)이며
부(父)는 통훈대부 전행철산군수(通訓大夫 前行鐵山郡守)에 공신(恭信)이다.
봉직랑 행사헌부감찰(奉直郞 行司憲府監察)에 최자추(崔自丑),자(子)는 자두(子斗)이고 본(本)은 전주(全州)이며
부(父)는 학생(學生)에 저정(貯精)이다.
봉훈랑 행사헌부감찰(奉訓郞 行司憲府監察)에 강응형(姜應亨),자(子)는 통지(通之)이고 본(本)은 진주(晋州)이메
부(父)는 가선대부 검교중추원부사(嘉善大夫 檢校中樞院副使)에 의(毅)다.
승의랑 사헌부감찰(承議郞 司憲府監察)에 김극회(金克恢),자(子)는 자관(子寬)이고 본(本)은 광주(廣州)이며
부(父)는 순성명양 좌리공신 자헌대부 지중추부사 겸지의금부사 광성군
(純誠明亮 佐理功臣 資憲大夫 知中樞府事 兼知義禁府事 光城君)에 겸광(謙光)이다.
승의랑 사헌부감찰(承議郞 司憲府監察)에 김계행(金係行),자(子)는 취사(取斯)이고 본(本)은 안동(安東)이며
부(父)는 선교랑 행비안현감(宣敎郞 行比安縣監)에 삼근(三近)이다.
승의랑 사헌부감찰(承議郞 司憲府監察)에 박숭지(朴崇之),자(子)는 가앙(可仰)이고 본(本)은 당성(唐城)이며
부(父)는 학생(學生)에 수(秀)다.
승의랑 사헌부감찰(承議郞 司憲府監察)에 안림(安琳),자(子)는 공염(公琰)이고 본(本)은 순흥(順興)이며
부(父)는 선교랑 송화현감(宣敎郞 松禾縣監)에 근후(謹厚)이다.
승훈랑 사헌부감찰(承訓郞 司憲府監察)에 유호(柳壕),자(子)는 자봉(子封)이고 본(本)은 문화(文化)이며
부(父)는 수의교위 행중군부사정(修義校尉 行中軍副司正)에 원문(原汶)이다.
승훈랑 사헌부감찰(承訓郞 司憲府監察)에 허연(許衍),자(子)는 자약(子約)이고 본(本)은 양천(陽川)이며
부(父)는 어모장군(禦侮將軍)에 칭(偁)이다.
승훈랑 사헌부감찰(承訓郞 司憲府監察)에 김윤신(金潤身),자(子)는 덕수(德叜)이고 본(本)은 강릉(江陵)이며
부(父)는 수의교위 행의흥위 전부사정(修義校尉 行義興衛 前部司正)에 여명(汝明)이다.
선교랑 사헌부감찰(宣敎郞 司憲府監察)에 윤구(尹遘),자(子)는 경회(慶會)이고 본(本)은 함안(咸安)이며
부(父)는 통훈대부 판봉상시(通訓大夫 判奉常寺)에 기견(起畎)이다.
선교랑 수사헌부감찰(宣敎郞 守司憲府監察)에 정수강(丁壽岡),자(子)는 불붕(不崩)이고 본(本)은 나주(羅州)이며
부(父)는 통훈대부 행목천현감(通訓大夫 行木川縣監)에 자급(子伋)이다.
선교랑 수사헌부감찰(宣敎郞 守司憲府監察)에 황린(黃璘),자(子)는 자온(子昷)이고 본(本)은 덕산(德山)이며
부(父)는 수의부위(修義副尉) 귀수(龜壽)이다.
선교랑 수사헌부감찰(宣敎郞 守司憲府監察)에 홍동(洪洞),자(子)는 자연(子淵)이고 본(本)은 남양(南陽)이며
부(父)는 절충장군 경상좌도 수군절제사(折忠將軍 慶尙左道 水軍節制使)에 귀해(貴海)이다.
<苟全公 14世孫 金台東 옮겨씀.>
驄馬契後帖(총마계후첩)
통훈대부 행사헌부감찰(通訓大夫 行司憲府監察)에 최진(崔鎭),자(子)는 정보(鼎甫)이고 본(本)은 경주(慶州)이며
부(父)는 선략장군 용양시위사 중영호군(宣略將軍 龍驤侍衛使 中領護軍)에 사온(思溫)이다.
중직대부 행사헌부감찰(中直大夫 行司憲府監察)에 장효(張孝),자(子)는 인원(仁元)이고 본(本)은 수원(水原)이며
부(父)는 통훈대부 행옹진현령(通訓大夫 行瓮津縣令)에 희준(希俊)이다.
중훈대부 행사헌부감찰(中訓大夫 行司憲府監察)에 어맹순(魚孟淳),자(子)는 호연(浩然)이고 본(本)은 함종(咸從)이며
부(父)는 정충출기 적개공신 자헌대부 한성부판관 아성군
(精忠出氣 敵愾功臣 資憲大夫 漢城副判官 牙城君)에 세공(世恭)이다.
봉정대부 행사헌부감찰(奉正大夫 行司憲府監察)에 조연하(曺兗河),자(子)는 우치(禹治)이고 본(本)은 단양(丹陽)이며
부(父)는 수의부위 응양위전영산원(修義副尉 鷹揚衛前領散員)에 득현(得賢)이다.
봉정대부 행사헌부감찰(奉正大夫 行司憲府監察)에 김숙손(金淑孫),자(子)는 자청(子淸)이고 본(本)은 부안(扶安)이며
부(父)는 통정대부 풍천도호부사(通正大夫 豊川都護府使)에 보口(甫口)이다.
봉정대부 행사헌부감찰(奉正大夫 行司憲府監察)에 최기(崔淇),자(子)는 자심(子深) 본(本)은 경주(慶州)이며
부(父)는 창신교위 전의흥위부사직(彰信校尉 前義興衛副司直)에 한지(漢止)이다.
조산대부 행사헌부감찰(朝散大夫 行司憲府監察)에 윤흥상(尹興商),자(子)는 신옹(莘翁) 본(本)은 파평(坡平)이며
부(父)는 증순성적덕 병의보조공신 대광보국 숭록대부 의정부 영의정 성평부원군 중직대부 행백천군사
(贈純誠積德 秉義補祚功臣 大匡輔國 崇祿大夫 議政府 領議政 城平府院君 中直大夫 行白川郡事)에 동(垌)이다.
조산대부 행사헌부감찰(朝散大夫 行司憲府監察)에 문구민(文具敏),자(子)는 자납(子納) 본(本)은 곤양(昆陽)이며
부(父)는 창신교위(彰信校尉)에 성예(成禮)이다.
조봉대부 행사헌부감찰(朝奉大夫 行司憲府監察)에 심순로(沈順路),자(子)는 자유(子由) 본(本)은 청송(靑松)이며
부(父)는 절충장군 행호분위부호군(折衝將軍 行虎賁衛副護軍)에 린(潾)이다.
통선랑 행사헌부감찰(通善郞 行司憲府監察)에 박소정(朴紹禎),자(子)는 원보(元甫)이고 본(本)은 함양(咸陽)이며
부(父)는 봉열대부 행울진현령(奉列大夫 行蔚珍縣令)에 이경(而敬)이다.
봉훈랑 행사헌부감찰(奉訓郞 行司憲府監察)에 김계행(金係行),자(子)는 취사(取斯) 본(本)은 안동(安東)이며
부(父)는 선교랑 비안현감(宣敎郞 比安縣監)에 삼근(三近)이다.
승의랑 사헌부감찰(承議郞 司憲府監察)에 김극회(金克恢),자(子)는 자관(子寬)이고 본(本)은 광주(光州)이며
부(父)는 순성명양 좌리공신 자헌대부 광성군(純誠明亮 佐理功臣 資憲大夫 光城君)에 겸광(謙光)이다.
승의랑 사헌부감찰(承議郞 司憲府監察)에 박숭지(朴崇之),자(子)는 가앙(可仰)이고 본(本)은 당성(唐城)이며
부(父)는 학생(學生)에 수(秀)다.
승의랑 사헌부감찰(承議郞 司憲府監察)에 안림(安琳),자(子)는 공염(公琰)이고 본(本)은 순흥(順興)이며
부(父)는 선교랑 송화현감(宣敎郞 松禾縣監)에 근후(謹厚)이다.
승의랑 사헌부감찰(承議郞 司憲府監察)에 손상장(孫尙長),자(子)는 유구(攸久)이고 본(本)은 밀양(密陽)이며
부(父)는 승훈랑 곡성현감(承訓郞 谷成縣監)에 민(敏)이다.
승의랑 사헌부감찰(承議郞 司憲府監察)에 이인우(李仁佑),자(子)는 공보(公輔)이고 본(本)은 청안(淸安)이며
부(父)는 학생(學生)에 척(膌)이다.
승의랑 사헌부감찰(承議郞 司憲府監察)에 송돌(宋돌),자(子)는 가헌(可獻)이고 본(本)은 연안(延安)이며
부(父)는 창신교위 좌군사직(彰信校尉 左軍司直)에 사경(思瓊)이다.
승의랑 사헌부감찰(承議郞 司憲府監察)에 심가보(沈家甫),자(子)는 세신(世臣)이고 본(本)은 삼척(三陟)이며
부(父)는 무공랑 창성유학교도(務功郞 昌城儒學敎導)에 맹사(孟思)이다.
승훈랑 사헌부감찰(承訓郞 司憲府監察)에 유호(柳壕),자(子)는 자봉(子封)이고 본(本)은 문화(文化)이며
부(父)는 수의부위 중군부사정(修義副尉 中軍副司正)에 원문(原汶)이다.
선교랑 수사헌부감찰(宣敎郞 守司憲府監察)에 정수강(丁壽岡),자(子)는 불붕(不崩)이고 본(本)은 나주(羅州)이며
부(父)는 통훈랑 행목천현감(通訓郞 行木川縣監)에 자급(子伋)이다.
선교랑 수사헌부감찰(宣敎郞 守司憲府監察)에 강백진(康伯珍),자(子)는 자온(子韞)이고 본(本)은 신천(信川)이며
부(父)는 창신교위(彰信校尉)에 척(惕)이다.
선무랑 수사헌부감찰(선무랑 守司憲府監察)에 권인손(權仁孫),자(子)는 지복(子復)이고 본(本)은 안동(安東)이며
부(父)는 통훈대부 전청송도호부사(通訓大夫 前靑松都護府使)에 치중(致中)이다.
선무랑 수사헌부감찰(宣務郞 守司憲府監察)에 강경서(姜景叙),자(子)는 자문(子文)이고 본(本)은 미상
부(父)는 생원(生員)에 순양(舜良)이다.
<苟全公 14世孫 金台東 옮겨씀.>
[註]
동반(東班)=문관(文官),
서반(西班)=무관(武官),
양반(兩班)=동반(東班)문관(文官),서반(西班)무관(武官), 합처서 얀반이라고 함.
중직대부(中直大夫)=조선조에 동반(東班),문반(文班)에게 주던 종3품 관계(官階)말기에는 종친(宗親),의빈(儀賓)도 줌.
적개공신(敵愾功臣)=세조13년 이시애(李施愛)의난(亂)을 평정한 공신에게준 훈호(勳號) 44명을선발 함.
일등공신,정충출기포의(精忠出氣布儀),적개공신.
이등공신,정충포의(精忠布儀),적개공신.
삼등공신,정충(精忠),적개공싱. 이라하여 토지(토지)등을 하사 하였다.
자헌대부(資憲大夫)=초기에는 정2품의 동반(東班),서반(西班)에만 주었으나 말기에는 종친(宗親),의빈(儀賓)도 줌.
봉정대부(奉正大夫)=초기에는 정4품의 동반(東班),문관(文官)에만 주었으나 후기에는 정4품 종친(宗親)에도 주었음.
봉훈랑(奉訓郞)=정5품의 동반(東班),문관(文官)에만 주고 종친에는 신절랑(愼節郞)을줌,후에 종친도 봉훈랑을 주었음.
용양위(龍驤衛)=오위중의 좌위(左衛), 문종1년에설치 별시위 천오백명,대졸(隊卒)삼천명,용양위는 다시 오위로 갈라짐.
절충장군(折衝將軍)=조선시대의 서반(西班)의 정3품 당상관(堂上官).
조산대부(朝散大夫)=고려때의 문관(文官)문종때에 둔 종5품 하,폐지,부활을 거듭하다 조선때 종4품 문관 으로 부활.
순충적덕병의보조공신(純忠積德秉義補祚功臣)=일등공신의 아버지 에게만 내리던 추증(追贈)하는 훈호.
대광보국숭록대부(大匡輔國崇祿大夫)=조선때 관계(官階)의 최고관. 정1품의 종친,의빈,문(文),무관(武官)에 주던 벼슬.
조봉대부(朝奉大夫)=동반(東班)의 종4품의 하.
도호부사(都護府使)=종3품 벼슬. 지방관청의 하나로 모두 75개가 있었다.
통선랑(通善郞)=조선시대 정5품의 동반(東班)의 계급.
봉직랑(奉直郞)=조선시대 종5품의 동반(東班)의 문관에게만 주다가 종친(宗親)에게도 주었음.
통훈대부(通訓大夫)=조선시대 문관(文官)의 정3품의 품계(品階).
가선대부(嘉善大夫)=종2품으로 초기에는 문,무반(文,武班)에 한해서 주다가 후에는 종친과 의빈에게도 주었음.
승의랑(承議郞)=동반의 정6품 문관에만 주다가 후에는 후에는 종친과 의빈에게도 주었음.
지중추부사(知中樞府使)=중추부의 正二品 벼슬.
선교랑(宣敎郞)=조선시대 동반(東班),문관(文官), 종6푼인 종친,의빈에게 주던 선무랑(宣務郞)과 같은 직급.
승훈랑(承訓郞)=조선시대 동반(東班),문관(文官), 정6품 벼슬.
사정(司正)=조선시대 오위(五衛)의 한 군직(軍職),현직에 있지 않는 정7품의 문,무관, 음관(蔭官)으로 채웠음.
부사정(副司正)=오위(五衛)에 속해있던 사정(司正)다음가는 벼슬,종7품.
어모장군(御侮장군)=조선시대 무관(武官), 정3품 벼슬.
의흥위(義興衛)=조선시대 오위(五衛)의 중위(中衛)로 태조(太祖) 때의 의흥친군좌위(義興親軍左衛)를 개칭한 것임.
행,수(行,守)=품계와 관직이 상응(相應)하지 않는 관원(官員)에게 주던 칭호,
곧 품계는 낮으나 관직이 높으면 수(守)라 칭하고,
품계는 높으나 관직이 낮으면 행(行)이라 하였는데, 행(行),수(守)자는 관청의 명칭 앞에 적기로 되었음.
절제사(節制使)=조선시대 무관직(武官職)정3품으로 병마절제사(兵馬節制使),수군절제사(水軍節制使)의 구분이 있다.
거진(巨鎭)을 맡아 다스렸고,대전회통(大典會通)에 따르면
병마절제사는 경기도,경상도,전라도에 각1명, 수군절제사는 전라도에 1명이 있었다.
호군(護軍)=고구려의 무관직(武官職),공민왕때의 장군(將軍)으로 개칭 정4품,
조선시대 오위에 속한 정4품 무관직 후에 무관,문관,음관에서 임명하고 봉록만 지급,실제 직무는 없음.
중훈대부(中訓大夫)=조선시대 동반(東班),문관(文官)의 종3품 관직.
어세공(魚世恭)=조선 초기의 명신(名臣),자 자경(子敬)시호(諡號)양숙(襄肅),세조2년에 형 세겸(世謙)과 문과에 급제.
이시애(李施愛)의 난(亂)을 평정 함길도의 관찰사로 치적을 올려 공신이 되어 아성군(牙城君)에 봉함.
응양위(鷹揚衛)=조선시대 태조(太祖)4년에 종정 군제를 개편한 십사(十司)의 웅무시사위(雄武侍司衛)와 같음.
산원(散員)=조선시대 군관 계급, 정8품으로 별장(別將)다음가는 벼슬.
창신교위(彰信校尉)=서반(西班)의 무관(武官), 종5품직.
부사직(副司職)=조선시대 오위에 속한 무관직 음관의 미보직 중에서 임명했으나 실무는 없음.
숭록대부(崇祿大夫)=고려 충열왕 24년에 제정, 한때 폐지했다가 공민왕18년에 정2품 하로 제정 되었다가
조선조 초기부터 동반(東班)에게 주던 종1품의 벼슬).
부원군(府院君)=조선시대 임금의 장인 또는 정1품 공신에게 주던 칭호,
받는 사람의 본관을 앞에 붙이나 같은 부원군이 생길때는 옛낭의 지명이나
혹은 다른 글자를 넣어 이름을 붙인다.
초기에는 국구(國舅)는 정치에 참여치 못하였으나 후에 참여하여 많은 폐단이 생겼다.
봉열대부(奉列大夫)=조선시대 정4품의 벼슬, 동반(東班) 문관(文官)에게 주었다.
무공랑(務功郞)=조선시대 정7품의 동반(東班)의 관직, 종친(宗親),의빈(儀賓)에게 주는 것으로
각 관아의 주서(注書),참군(參軍),박사(博士),봉교가사관(奉敎記事館),설서(說書),사경(司經),등이 있다.
선무랑(宣務郞)=동반(東班)의 종6품 관직,
원문(原文) 題驄馬契軸(제총마계축)二首 一 頭上峩峩柱後冠 두상아아주후관 南臺深處共盤桓 남대심처공반환 直敎松柏風霜老 직교송백풍상노 須信肝腸鐵石寒 수신간장철석한 公事有嚴三尺法 공사유엄삼척법 交情無忝一罇懽 교정무첨일준환 他年榮落參商日 타년영락참상일 好把題名指點看 호파제명지점간 按此篇 載在佔畢齋集中而先生本孫家所藏 先生契軸上面 亦錄此詩 相傳爲先生手稿 且與下篇勉戒之意 同爲一手 안차편 재재점필재집중이선생본손가소장 선생계축상면 역록차시 상전위선생수고 차여하편면계지의 동위일수 其見在於畢翁遺集 是甚可疑 朱子大全中三先生論事錄序 亦見於陳同父集中 二程全書論韓退之一款 又出於東坡集 기견재어필옹유집 시심가의 주자대전중삼선생논사록서 역견어진동부집중 이정전서논한퇴지일관 우출어동파집 大凡文集之渾錄 類多如此故 依本家所藏本 載錄 대범문집지혼록 류다여차고 의본가소장본 재록 二 纔罷輸心便背馳 재파수심편배치 人間相許半相欺 인간상허반상기 張陳樂死還忘信 장진락사환망신 管鮑云亡盡賣知 관포운망진매지 雲雨難憑翻覆熊 운우난빙번복웅 蚷蛰惟保始終期 거첩유보시종기 從今共把歲寒節 종금공파세한절 走向風塵任險夷 주향풍진임험이 <苟全公 14世孫 金台東 옮겨씀> |
원문(原文) 사도승지소(辭都承旨疏) 臣 學不通方 才不適用 加以年紀衰耗 疾病纏身 識量昏淺 觸事迷方 而遭遇 先朝濫被 誤恩歷敭淸顯 玷累朝列 涯分巳踰 신 학불통방 재불적용 가이년기쇠모 질병전신 식량혼천 촉사미방 이조우 선조람피 오은역양청현 점누조열 애분사유 俯仰慚靦 欲奮身自厲則 才力淺薄 欲退安遇分則 天眷愈厚 臣 之進退實爲狼狽 古之君子於一 資半級之除 或有終歲力辭 부앙참전 욕분신자려칙 재력천박 욕퇴안우분칙 천권유후 신 지진퇴실위랑패 고지군자어일 자반급지제 혹유종세력사 抵死不居者 其勢必有大不便者而難於冒昧耳 殿下嗣服之初 薦引人才 所係非輕 如臣薄劣 豈可久冒淸班 上累知人之哲 저사불거자 기세필유대불편자이난어모매이 전하사복지초 천인인재 소계비경 여신박열 기가구모청반 상누지인지철 下乖量巳之義 無補 新政 有妨賢路 況今山陵已成 克襄大禮 老臣丹悃 至此畢矣 臣當退伏田畝 以沒其世 如蒙俯察 하괴양사지의 무보 신정 유방현로 황금산능이성 극양대례 노신단곤 지차필의 신당퇴복전무 이몰기세 여몽부찰 特許鐫改則其在臣身 至榮且幸 특허전개칙기재신신 지영차행 <苟全公 14世孫 金台東 옮겨씀> |
원문(原文) 총마계전첩(騘馬契前帖) 中直大夫 行司憲府監察魚孟淳 字浩然 本咸從 父 精忠出氣敵愾功臣 資憲大夫 漢城判尹 牙城君 世恭 중직대부 행사헌부감찰어맹순 자호연 본함종 부 정충출기적개공신 자헌대부 한성판윤 아성군 세공 奉正大夫 行司憲府監察 金艮孫 字知止 本光州 父 奉訓郞 全州判官 昇平 봉정대부 행사헌부감찰 김간손 자지지 본광주 부 봉훈랑 전주판관 승평 奉正大夫 行司憲府監察 許巖 字子堅 本楊州 父 修義副尉前行龍驤尉 左部司勇 逕 봉정대부 행사헌부감찰 허암 자자견 본양주 부 수의부위전행용양위 좌부사용 경 奉正大夫 行司憲府監察金叔孫 字子淸 本扶安 父 折衝將軍 行龍驤衛司直 甫口 봉정대부 행사헌부감찰김숙손 자자청 본부안 부 절충장군 행용양위사직 보口 朝散大夫 行司憲府監察尹興商 字莘翁 本坡平 조산대부 행사헌부감찰윤흥상 자신옹 본파평 父 贈純忠積德秉義補祚功臣 大匡補國崇祿大夫 議政府 左議政行中直大夫 白川郡事 坰 부 증순충적덕병의보조공신 대광보국숭록대부 의정부 좌의정행중직대부 백천군사 경 朝奉大夫 行司憲府監察沈順路 字子由 本靑松 父折衝將軍 行虎賁衛副護軍 潾 조봉대부 행사헌부감찰심순로 자자유 본청송 부절충장군 행호분위부호군 린 朝奉大夫 行司憲府監察朴元孝 字百源 本 昌原 父 學生 紹 조봉대부 행사헌부감찰박원효 자백원 본 창원 부 학생 소 通德郞 行司憲府監察趙好問 字智卿 本酒泉 父 通仕郞 行寧越儒學訓導 發 통덕랑 행사헌부감찰조호문 자지경 본주천 부 통사랑 행영월유학훈도 발 通德郞 行司憲府監察宋環殷 字徵之 本鎭川 父 通正大夫 淮陽鎭兵馬節制使 行淮陽都護府使 盤 통덕랑 행사헌부감찰송환은 자치지 본진천 부 통정대부 회양진병마절제사 행회양도호부사 반 通善大夫 行司憲府監察韓萬齡 字仁叜 本漢陽 父 通善郞 行長淵縣監 虎生 통선대부 행사헌부감찰한만령 자인수 본한양 부 통선랑 행장연현감 호생 奉直郞 行司憲府監察朴璟 字可翫 本昌原 父 通訓大夫 前行鐵山郡守 恭信 봉직랑 행사헌부감찰박경 자가완 본창원 부 통훈대부 전행철산군수 공신 奉直郞 行司憲府監察崔自丑 字子斗 本全州 父 學生貯精 봉직랑 행사헌부감찰최자추 자자두 본전주 부 학생저정 奉訓郞 行司憲府監察姜應亨 字通之 本晋州 父 嘉善大夫檢校中樞院副使 毅 봉훈랑 행사헌부감찰강응형 자통지 본진주 부 가선대부검교중추원부사 의 承議郞 司憲府監察金克恢 字子寬 本廣州 父 純誠明亮 佐理功臣 資憲大夫 知中樞府事 兼知義禁府事 光城君 謙光 승의랑 사헌부감찰김극회 자자관 본광주 부 순성명양 좌리공신 자헌대부 지중추부사 겸지의금부사 광성군 겸광 承議郞 司憲府監察金係行 字取斯 本安東 父 宣敎郞 行比安縣監 三近 승의랑 사헌부감찰김계행 자취사 본안동 부 선교랑 행비안현감 삼근 承議郞 司憲府監察朴崇之 字可仰 本唐城 父 學生 秀 승의랑 사헌부감찰박숭지 자가앙 본당성 부 학생 수 承議郞 司憲府監察安琳 字公琰 本順興 父 宣敎郞 松禾縣監 謹厚 승의랑 사헌부감찰안림 자공염 본순흥 부 선교랑 송화현감 근후 承訓郞 司憲府監察柳壕 字子封 本文化 父 修義校尉 行中軍副司正 原汶 승훈랑 사헌부감찰유호 자자봉 본문화 부 수의교위 행중군부사정 원문 承訓郞 司憲府監察許衍 字子約 本陽川 父 禦侮將軍 偁 승훈랑 사헌부감찰許衍 자자약 본양천 부 어모장군 칭 承訓郞 司憲府監察金潤身 字德叜 本江陵 父 修義校尉 行義興衛 前部司正 汝明 승훈랑 사헌부감찰김윤신 자덕수 본강릉 부 수의교위 행의흥위 전부사정 여명 宣敎郞 司憲府監察尹遘 字慶會 本咸安 父 通訓大夫 判奉常寺 起畎 선교랑 사헌부감찰윤구 자경회 본咸安 부 통훈대부 판봉상시 기견 宣敎郞 守司憲府監察丁壽岡 字不崩 本羅州 父 通訓大夫 行木川縣監 子伋 선교랑 수사헌부감찰정수강 자불붕 본나주 부 통훈대부 행목천현감 자급 宣敎郞 守司憲府監察黃璘 字子昷 本德山 父 修義副尉 龜壽 선교랑 수사헌부감찰황린 자자온 본덕산 부 수의부위 귀수 宣敎郞 守司憲府監察洪洞 字子淵 本南陽 父 折忠將軍 慶尙左道 水軍節制使 貴海 선교랑 수사헌부감찰홍동 자자연 본남양 부 절충장군 경상좌도 수군절제사 귀해 <苟全公 14世孫 金台東 옮겨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