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장
탄소 중립이 뭐예요?
기후 위기를 막기 위해서는
지구 온난화로 인한 온도 상승 폭이 1.5도를
넘지 않아야 한다.
전 세계가 이를 위해 노력하고 있고
가장 중요한 건 바로 탄소 중립이야.
3.1 파리 협정의 빛과 그림자
_ 기후 위기는 전 지구적 문제다.
_ 국제 사회에서는 기후 위기를 막으려는
노력을 다양하게 해왔다.
_ 여기서는 그 내용과 이면을 살펴보자
* 교토의정서
_ 1997년 12월 채택되고
_ 2005년에 공식 발효되었다
_ 온실가스를 역사적으로 많이 배출해 온
선진 산업국들이 기후 위기에 가장 큰 책임이
있으므로 이들이 온실가스 배출을
줄여야 한다는 국제적 합의다.
_ 구체제 내용은
미국과 일본 그리고 유럽 여러 나라를 비롯해
온실가스를 많이 배출한 서른여덟 개 선진국이
2008년에서 2012년 사이에 의무적으로
온실가스 배출량을 1990년 대비 5.2퍼센트
줄인다는 내용이었다.
_ 하지만 여러 나라 사이에 복잡하게 얽힌
이해관계를 제대로 조정되지 못하면서
실제적 실행을 못 하게된다.
(세계에서 온실가스를 가장 많이 배출햐
미국은 자기들 경제에 너무 손해라면서
참여하지 않았다고 한다)
* 파리협정
_ 기후 위기에 더 강력한대응이 필요하다는
인식에서 2015년 다시 모여 만든 협정으로
_ 현재 세계 기후 위기 대응의
포괄적인 지침 구실이 되고 있으며
_ 주요내용은
세계 모든 나라가 지구 온도 상승 폭을
21세기 말까지 산업 혁명 이전 대비
2도 훨씬 아래로 억제하고
최소한 1.5도를 넘지 않도록
노력한다는 국제적 합의이다.
_ 그런데 여기에도 중요한 문제점이 있다
각 나라가 온실가스 감축 방안을
제출하는 것은 의무 사항으로 규정했지만,
그것을 실제로 이행하게 하는 것은
의무 사항으로 규정하지 못 했다.
_ '노력’만 합의하고
목표를 이루는 데 꼭 필요한
강제적이고 법적인 구속력은 없다.
_ 그렇다보니 실제로 적지 않은 나라가
겉으로 내세우는 말과는 달리
자기들 이해관계에 따라
온실가스를 줄이는 일에 미적거리고 있다
_ 그래도 파리 협정이 전 지구적인 기후 위기
대응에서 뜻깊은 이정표 구실을 하고 있어서
_ 이 협정에 따라 온실가스 배출을
언제까지 얼마나 줄이겠다는 구체적인 목표를
내걸고 이를 이루려고 노력하는 나라들이
점차 늘어나고 있다.
_ 특히 이 협정은
교토의정서와의 선진국 몇나라의 합의와는
달리 세계 모든 나라라는게 큰 특징이다.
최근 들어 온실가스 배출량이 급격히 늘어난
개발도상국들에도 배출량을 줄이라는
의무를 지우고 있어
_ 최근에 초고속 경제 성장을 이룬 중국이
대표적이고 우리나라도 여기에 포함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