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Elijah: The Prophet Taken to Heaven by a Chariot of Fire - (Bible Stories Explained) (youtube.com)
He Was Carried To Heaven By A Chariot Of Fire - (BIBLE STORIES) (youtube.com)
Dark Side of SOLOMON the Wisest in the BIBLE (youtube.com)
Elijah confronts the prophets of Baal and God sends fire from Heaven. (youtube.com)
Summary of the Book of 1 Kings
Author: The Book of 1 Kings does not specifically name its author. The tradition is that it was written by the Prophet Jeremiah.
열왕기상서 요약
저자 열왕기상서는 저자의 이름을 구체적으로 밝히지 않습니다. 예레미야 선지자가 썼다는 것이 전통적 견해입니다.
Date of Writing: The Book of 1 Kings was likely written between 560 and 540 B.C.
기록 날짜: 열왕기상은 기원전 560년에서 540년 사이에 기록되었을 가능성이 높습니다.
Purpose of Writing: This book is the sequel to 1 and 2 Samuel and begins by tracing Solomon’s rise to kingship after the death of David. The story begins with a united kingdom, but ends in a nation divided into 2 kingdoms, known as Judah and Israel. 1 and 2 Kings are combined into one book in the Hebrew Bible.
집필 목적: 이 책은 사무엘상 1장과 2장의 속편으로, 다윗의 죽음 이후 솔로몬이 왕위에 오르는 과정을 추적하는 것으로 시작됩니다. 이야기는 통일 왕국에서 시작하지만 유다와 이스라엘로 알려진 두 왕국으로 분열된 나라에서 끝납니다. 히브리어 성경에서는 열왕기상서와 열왕기하가 하나의 책으로 통합되어 있습니다.
Key Verses:
1 Kings 1:30, "I will surely carry out today what I swore to you by the LORD, the God of Israel: Solomon your son shall be king after me, and he will sit on my throne in my place."
핵심 구절:
열왕기상 1:30, "내가 이스라엘의 하나님 여호와께서 너희에게 맹세한 것을 오늘 반드시 행하리라: 네 아들 솔로몬이 내 뒤를 이어 왕이 되어 나를 대신하여 내 왕좌에 앉으리라."
1 Kings 9:3, "The LORD said to him: 'I have heard the prayer and plea you have made before me; I have consecrated this temple, which you have built, by putting my Name there forever. My eyes and my heart will always be there.'"
열왕기상 9:3, "여호와께서 그에게 말씀하시기를, '내가 너희가 내 앞에 드린 기도와 간구를 들었으니 너희가 지은 이 성전에 내 이름을 영원히 두어 봉헌했다. 내 눈과 마음이 항상 그곳에 있을 것이다."
1 Kings 12:16, "When all Israel saw that the king refused to listen to them, they answered the king: 'What share do we have in David, what part in Jesse’s son? To your tents, O Israel! Look after your own house, O David!'"
열왕기상 12:16, "온 이스라엘이 왕이 그들의 말을 듣지 않는 것을 보고 왕에게 대답하기를 '우리가 다윗에게 무슨 몫이 있으며 이새의 아들 이새에게 무슨 몫이 있습니까? 이스라엘아, 너희 장막으로 돌아가라! 다윗아, 너희는 너희 집을 돌보아라!'"
1 Kings 12:28, "After seeking advice, the king made two golden calves. He said to the people, 'It is too much for you to go up to Jerusalem. Here are your gods, O Israel, who brought you up out of Egypt.'"
열왕기상 12:28, "왕은 조언을 구한 후 금송아지 두 마리를 만들었습니다. 그리고 백성들에게 말하기를, '너희가 예루살렘으로 올라가기에는 너무 벅차다. 이스라엘아, 너희를 이집트에서 인도하여 낸 너희의 신들이 여기 있다'고 말했습니다."
1 Kings 17:1, "Now Elijah the Tishbite, from Tishbe in Gilead, said to Ahab, 'As the LORD, the God of Israel, lives, whom I serve, there will be neither dew nor rain in the next few years except at my word.'"
열왕기상 17:1, "길르앗 디셉 사람 엘리야가 아합에게 이르되, '내가 섬기는 이스라엘의 하나님 여호와께서 살아 계시므로 앞으로 몇 년 동안은 내 말대로 되지 않으면 이슬도 내리지 않고 비도 내리지 않을 것입니다'."
Brief Summary: The book of 1 Kings starts with Solomon and ends with Elijah. The difference between the two gives you an idea as to what lies between. Solomon was born after a palace scandal between David and Bathsheba. Like his father, he had a weakness for women that would bring him down. Solomon did well at first, praying for wisdom and building a temple to God that took seven years to construct.
간략한 요약: 열왕기상은 솔로몬으로 시작하여 엘리야로 끝납니다. 이 둘의 차이점을 통해 그 사이에 무엇이 있는지 알 수 있습니다. 솔로몬은 다윗과 밧세바의 궁전 스캔들 이후 태어났어요. 그의 아버지와 마찬가지로 그도 여성에 대한 약점이 있었으며 이는 그를 무너뜨릴 수 있었습니다. 솔로몬은 처음에는 지혜를 구하며 하나님께 성전을 짓는 데 7년이 걸리는 등 잘 지냈습니다.
But then he spent thirteen years building a palace for himself. His accumulation of many wives led him to worship their idols and away from God. After Solomon’s death, Israel was ruled by a series of kings, most of whom were evil and idolatrous. The nation fell further away from God, and even the preaching of Elijah could not bring them back. Among the most evil kings were Ahab and his queen, Jezebel, who brought the worship of Baal to new heights in Israel.
그러나 그는 13년 동안 자신을 위한 궁전을 짓는 데 시간을 보냈습니다. 그는 많은 아내를 거느리게 되면서 우상을 숭배하고 하나님을 멀리하게 되었습니다. 솔로몬이 죽은 후 이스라엘은 일련의 왕들에 의해 통치되었는데, 대부분 악하고 우상 숭배적인 왕들이었습니다. 이스라엘은 하나님으로부터 점점 더 멀어졌고 엘리야의 설교조차도 그들을 돌아오게 할 수 없었습니다. 가장 사악한 왕 중에는 아합과 그의 왕비 이세벨이 있었는데, 이들은 이스라엘에서 바알 숭배를 최고조로 끌어올렸습니다.
Elijah tried to turn the Israelites back to the worship of Yahweh, challenging the idolatrous priests of Baal to a showdown with God on Mount Carmel. Of course, God won. This made Queen Jezebel angry (to say the least). She ordered Elijah’s death, so he ran away and hid in the wilderness. Depressed and exhausted, he said, “Let me die.” But God sent food and encouragement to the prophet and whispered to him in a “quiet gentle sound” and in the process saved his life for further work.
엘리야는 이스라엘 백성들을 야훼 숭배로 돌이키기 위해 갈멜산에서 우상을 숭배하는 바알의 제사장들에게 하나님과의 대결에 도전했습니다. 당연히 하나님이 승리했습니다. 이 일로 이세벨 여왕은 화가 났습니다. 그녀는 엘리야의 죽음을 명령했고, 엘리야는 도망쳐 광야에 숨었습니다. 우울하고 지친 그는 "나 죽게 해달라"고 말했습니다. 그러나 하나님은 선지자에게 음식과 격려를 보내시고 "조용하고 부드러운 소리"로 속삭이셨고, 그 과정에서 더 큰 일을 할 수 있도록 그의 생명을 구해 주셨습니다.
Foreshadowings: The Temple in Jerusalem, where God’s Spirit would dwell in the Holy of Holies, foreshadows believers in Christ in whom the Holy Spirit resides from the moment of our salvation. Just as the Israelites were to forsake idolatry, so are we to put away anything that separates us from God. We are His people, the very temple of the living God. Second Corinthians 6:16 tells us, “What agreement is there between the temple of God and idols? For we are the temple of the living God. As God has said: ‘I will live with them and walk among them, and I will be their God, and they will be my people.’"
예표: 하나님의 영이 지성소에 거하시던 예루살렘 성전은 우리가 구원받은 순간부터 성령이 내주하시는 그리스도를 믿는 사람들을 예표합니다. 이스라엘 백성이 우상 숭배를 버렸던 것처럼 우리도 하나님과 우리를 갈라놓는 모든 것을 버려야 합니다. 우리는 살아 계신 하나님의 성전인 그분의 백성입니다. 고린도후서 6장 16절에 "하나님의 성전과 우상 사이에 무슨 상관이 있습니까? 우리는 살아 계신 하나님의 성전입니다. 하나님께서 말씀하신 대로 '나는 그들과 함께 살며 그들 가운데 거하고 나는 그들의 하나님이 되고 그들은 내 백성이 될 것이다'라고 말씀하셨습니다."
Elijah the prophet was the forerunner of Christ and the Apostles of the New Testament. God enabled Elijah to do miraculous things in order to prove that he was truly a man of God. He raised from the dead the son of the widow of Zarephath, causing her to exclaim, “"Now I know that you are a man of God and that the word of the LORD from your mouth is the truth." In the same way, men of God who spoke His words through His power are evident in the New Testament. Not only did Jesus raise Lazarus from the dead, but He also raised the son of the widow of Nain (Luke 7:14-15) and Jairus’ daughter (Luke 8:52-56). The Apostle Peter raised Dorcas (Acts 9:40) and Paul raised Eutychus (Acts 20:9-12).
선지자 엘리야는 그리스도와 신약 성경의 사도들의 선구자였습니다. 하나님께서는 엘리야가 진정한 하나님의 사람임을 증명하기 위해 기적적인 일을 행할 수 있게 하셨습니다. 그는 사르밧 과부의 아들을 죽은 자 가운데서 살려내어 그녀가 "이제 나는 당신이 하나님의 사람이며 당신의 입에서 나오는 여호와의 말씀이 진리인 줄 압니다."라고 외치게 했습니다. 이와 마찬가지로 신약 성경에서도 하나님의 능력을 통해 하나님의 말씀을 전한 하나님의 사람들이 분명하게 나타납니다. 예수님은 나사로를 죽은 자 가운데서 살리셨을 뿐만 아니라 나인 과부의 아들(눅 7:14-15)과 야이로의 딸(눅 8:52-56)도 살리셨습니다. 사도 베드로는 도르가를 살렸고(행 9:40), 바울은 유두고를 살렸습니다(행 20:9-12).
Practical Application: The Book of 1 Kings has many lessons for believers. We see a warning about the company we keep, and especially in regard to close associations and marriage. The kings of Israel who, like Solomon, married foreign women exposed themselves and the people they ruled to evil. As believers in Christ, we must be very careful about whom we choose as friends, business associates, and spouses. “Do not be misled: Bad company corrupts good character" (1 Corinthians 15:33).
실제 적용: 열왕기상서에는 신자들을 위한 많은 교훈이 있습니다. 특히 친밀한 교제와 결혼에 대한 경고가 담겨 있습니다. 솔로몬처럼 이방 여인과 결혼한 이스라엘의 왕들은 자신과 그들이 다스리는 백성들을 악에 노출시켰습니다. 그리스도를 믿는 사람으로서 우리는 친구, 사업 동료, 배우자로 누구를 선택할지 매우 신중해야 합니다. "미혹되지 마십시오: 나쁜 친구는 좋은 성품을 부패시킵니다."(고린도전서 15:33).
Elijah’s experience in the wilderness also teaches a valuable lesson. After his incredible victory over the 450 prophets of Baal on Mount Carmel, his joy turned to sorrow when he was pursued by Jezebel and fled for his life. Such “ *** mountaintop ” experiences are often followed by a letdown and the depression and discouragement that can follow. We have to be on guard for this type of experience in the Christian life. But our God is faithful and will never leave or forsake us. The quiet, gentle sound that encouraged Elijah will encourage us.
광야에서의 엘리야의 경험은 또한 귀중한 교훈을 가르쳐 줍니다. 갈멜산에서 바알의 선지자 450명을 상대로 놀라운 승리를 거둔 후 이세벨의 추격을 받아 목숨을 걸고 도망쳤을 때 그의 기쁨은 슬픔으로 바뀌었습니다. 이러한 '산 정상' 경험 뒤에는 종종 실망과 우울증, 낙담이 뒤따릅니다. 우리는 그리스도인의 삶에서 이러한 유형의 경험을 경계해야 합니다. 그러나 우리 하나님은 신실하시며 결코 우리를 떠나거나 버리지 않으십니다. 엘리야에게 용기를 주었던 조용하고 부드러운 소리가 우리에게 용기를 줄 것입니다.
*** mountaintop
(질문) What is mountaintop in the book of 1 Kings?
(답변) Mountaintop in the book of 1 Kings refers to the location where the prophet Elijah encountered God in a dramatic way. According to 1 Kings 19:11-1812, God told Elijah to go out and stand on the mountain before Him. Then, a great and powerful wind, an earthquake, and a fire passed by, but God was not in any of them. Finally, God spoke to Elijah in a gentle whisper, and gave him instructions and encouragement. This event showed that God is not limited by natural phenomena, and that He can communicate with His servants in unexpected ways.
(질문) 열왕기상서에 나오는 산꼭대기는 무엇인가요?
(답변) 열왕기상서의 산꼭대기는 선지자 엘리야가 극적인 방법으로 하나님을 만난 장소를 가리킵니다. 열왕기상 19:11-1812에 따르면, 하나님은 엘리야에게 나가서 산 위에 서라고 말씀하셨습니다. 그 후 크고 강력한 바람과 지진, 불이 지나갔지만 하나님은 그 어느 곳에도 계시지 않았습니다. 마침내 하나님은 엘리야에게 부드러운 속삭임으로 말씀하시며 그에게 지시와 격려를 주셨습니다. 이 사건은 하나님께서 자연 현상에 제한을 받지 않으시고, 예상치 못한 방법으로 당신의 종들과 소통하실 수 있음을 보여주었습니다.
1. Mountaintop Experiences [What To Do With An Opportunity] Dr. Cindy Trimm (youtube.com)
2. Matthew 17:1-9 recounts a mountaintop experience where Jesus is transfigured before Peter, James, and John. On the mountain, Moses and Elijah appear, and a voice from heaven declares Jesus as the beloved Son. This event emphasizes Jesus’ divine nature and prepares the disciples for His upcoming suffering and resurrection. Such moments of encounter with God are powerful and transformative123.
2. 마태복음 17:1-9에는 예수님이 베드로, 야고보, 요한 앞에서 변화되신 산 정상에서의 체험이 기록되어 있습니다. 산에 모세와 엘리야가 나타나고 하늘에서 들려온 음성이 예수님을 사랑하는 아들이라고 선언합니다. 이 사건은 예수님의 신성한 본성을 강조하고 제자들이 다가올 고난과 부활을 준비하도록 준비시킵니다. 이러한 하나님과의 만남의 순간은 강력하고 변혁적입니다123.
Learn more
1 sermonwriter.com
2 sermoncentral.com
3 sermoncentral.com
4 sermoncentral.com
5 sermoncentral.com
1: 1 Kings 19:11-18 NKJV - God’s Revelation to Elijah - Then He - Bible Gateway 2: 1 Kings 19:11 - The LORD Speaks to Elijah at Horeb - Bible Hub
Learn more
1 biblegateway.com
2 biblehub.com
3 learnreligions.com
FOR FURTHER STUDY1 & 2 Kings, Holman Old Testament Commentary by Gary Inrig1st & 2nd Kings, New American Commentary by Paul HouseMore insights from your Bible study - Get Started with Logos Bible Software for Free!
RELATED ARTICLES Summary of the Book of Ruth Summary of the Book of 1 Samuel Summary of the Book of 2 Samuel Summary of the Book of 2 Kings Summary of the Book of 1 Chronicles
------------------------------------------------------------------------------
Bible Book Summary
1 Kings Summary
by Jay Smith
성경 요약
열왕기상서 요약
by 제이 스미스
The book of 1st Kings is Narrative History and Prophecy. The author is anonymous; however, some suggest the prophet Jeremiah. It was written about 560-538 B.C. The key personalities are David, Solomon, Rehoboam, Jeroboam, Elijah, Ahab, and Jezebel. The purpose of 1st Kings is to contrast those who obey and disobey God throughout the ruling kings of Israel and Judah. The book describes the rule of Solomon as the last king of Israel and then the split of the kingdom after his death. It includes a great prayer to the Lord in chapter 8. The writer of the books of Kings describes the events of the Northern and Southern Kingdoms after the division.
열왕기상은 구전을 통한 역사와 예언서입니다. 저자는 익명이지만 일부에서는 예레미야 선지자로 추정하기도 합니다. 주전 560~538년경에 쓰였으며 주요 인물은 다윗, 솔로몬, 르호보암, 여로보암, 엘리야, 아합, 이세벨입니다. 열왕기상의 목적은 이스라엘과 유다의 통치 왕들을 통해 하나님께 순종하는 자와 불순종하는 자를 대조하는 것입니다. 이 책은 이스라엘의 마지막 왕인 솔로몬의 통치와 그의 죽음 이후 왕국의 분열을 묘사합니다. 8장에는 주님께 드리는 위대한 기도가 포함되어 있습니다. 열왕기서의 저자는 분열 이후 북왕국과 남왕국의 사건을 묘사하고 있어요.
In chapters 1-11, Solomon becomes the king, in a violent method, after his father David dies. David instructs Solomon to “walk in His (God’s) ways” (2:3). Solomon asks God for wisdom and God is pleased at this request and approves. Solomon begins a building production, which included the temple that his father David desired and prepared for him to do. He began building the temple 480 years after the Exodus from Egypt. Seven years later, the Ark was brought to the temple, the glory of the Lord descended on it, Solomon prays a powerful prayer, and then sacrifices were offered. Solomon although the wisest king ever, does not so wise things and begins to worship the gods of his wives and is subdued by his lust for women. His downfall was looming and he died shortly thereafter.
1-11장에서는 솔로몬이 아버지 다윗이 죽은 후 폭력적인 방법으로 왕이 됩니다. 다윗은 솔로몬에게 "그(하나님)의 길로 행하라"(2:3)고 지시합니다. 솔로몬은 하나님께 지혜를 구하고, 하나님은 이 요청을 기뻐하시고 승인하십니다. 솔로몬은 아버지 다윗이 원하고 준비했던 성전을 포함한 건축을 시작합니다. 그는 이집트에서 출애굽한 지 480년 만에 성전 건축을 시작했습니다. 7년 후 법궤가 성전으로 옮겨지고 여호와의 영광이 내려와 솔로몬은 강력한 기도를 드린 후 제사를 드렸습니다. 솔로몬은 가장 지혜로운 왕이었지만 지혜로운 일을 하지 않고 아내들의 신을 숭배하기 시작하고 여인에 대한 정욕에 굴복합니다. 그의 몰락은 곧 다가왔고 얼마 지나지 않아 죽었습니다.
• Chapters 12-22 show the beginning of the end of the united kingdom of Israel.
The nation, with tough decisions to make chooses a wrong one. In 931 B.C., the kingdom splits in two: North and South. Rehoboam inherits the kingdom and is persistent about enforcing high taxes. The Northern tribes begin a revolt and Jeroboam is crowned king of Israel. Ten tribes became the Northern Kingdom of Israel and the two tribes of Judah and Benjamin became the Southern Kingdom of Judah. God raises up his prophet Elijah to warn evil king Ahab to turn from idol worship and to return to the ***YHWH.
- 12~22장은 통일 이스라엘 왕국의 종말의 시작을 보여 줍니다.
어려운 결정을 내려야 했던 이스라엘은 잘못된 선택을 합니다. 기원전 931년, 왕국은 북과 남 둘로 갈라집니다: 르호보암은 왕국을 물려받고 높은 세금을 부과하는 데 집착합니다. 북쪽 지파들은 반란을 일으키고 여로보암이 이스라엘의 왕으로 즉위합니다. 열 지파는 이스라엘 북부 왕국이 되고 유다와 베냐민 두 지파는 남부 유다 왕국이 됩니다. 하나님은 엘리야 선지자를 일으켜 악한 아합 왕에게 우상 숭배에서 돌이켜 여호와께로 돌아오라고 경고합니다.
(질문) What is YHWH?
(답변) The ancient Hebrew language that the Old Testament was written in did not have vowels in its alphabet. In written form, ancient Hebrew was a consonant-only language. In the original Hebrew, God’s name transliterates to YHWH (sometimes written in the older style as YHVH). This is known as the tetragrammaton (meaning “four letters”). Because of the lack of vowels, Bible scholars debate how the tetragrammaton YHWH was pronounced.
(질문) YHWH는 무엇인가요?
(답변) 구약성경이 기록된 고대 히브리어에는 알파벳에 모음이 없었습니다. 문자화된 고대 히브리어는 자음으로만 이루어진 언어였습니다. 원래 히브리어에서 하나님의 이름은 YHWH로 음역됩니다(구식에서는 YHVH로 표기되기도 함). 이를 테트라그라마톤("네 글자"라는 뜻)이라고 합니다. 모음이 없기 때문에 성경 학자들은 테트라그램톤 YHWH가 어떻게 발음되었는지에 대해 논쟁을 벌이고 있습니다.
The tetragrammaton consists of four Hebrew letters: yodh, ***he, waw, and then he repeated. Some versions of the Bible translate the tetragrammaton as “Yahweh” or “Jehovah”; most translate it as “LORD” (all capital letters).
테트라그램마톤은 요드, 그, 와우, 그리고 반복되는 네 개의 히브리 문자로 구성됩니다. 일부 성경 버전에서는 이 테트라그램마톤을 "야훼" 또는 "여호와"로 번역하지만, 대부분은 "주님"(모두 대문자)으로 번역합니다.
(질문) What does ' *** he ' mean in the following "The tetragrammaton consists of four Hebrew letters: yodh, he, waw, and then he repeated."?
"테트라그램은 총 4글자로 된 히브리어 요드, he, 와우, 그리고 반복되는 he로 구성되어있습니다."에서 '*** he'는 무엇을 의미하나요?
(답변) The word ‘he’ in the sentence you provided is the name of the fifth letter of the Hebrew alphabet, which is written as ה1. It is pronounced as /h/ and has a numerical value of five2. The tetragrammaton is a four-letter name of God that is derived from the Hebrew verb meaning ‘to be’. It is usually transliterated as YHWH or JHVH, and sometimes vocalized as Yahweh or Jehovah3. The name consists of the letters yodh (י), he (ה), waw (ו), and he (ה) repeated. The meaning and pronunciation of this name are considered sacred and mysterious by many Jews and Christians4.
입력하신 문장의 'he'는 히브리어 알파벳의 다섯 번째 글자의 이름으로 ה1로 표기됩니다. 발음은 /h/이며 숫자 값은 52입니다. 테트라그램은 '되다'라는 뜻의 히브리 동사에서 파생된 네 글자로 이루어진 하나님의 이름입니다. 일반적으로 YHWH 또는 JHVH로 음역되며, 때로는 야훼 또는 여호와3로 발음되기도 합니다. 이 이름은 요드(י), 그(ה), 와우(ו), 그(ה)가 반복되는 글자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이 이름의 의미와 발음은 많은 유대인과 기독교인에게 신성하고 신비로운 것으로 간주됩니다4.
1: He (letter) - Wikipedia 2: The Letter Hei (ה) In the Hebrew Alphabet - Hebrew Today 3: Tetragrammaton - Wikipedia 4: WORD STUDY – I AM HE – אני הוא | Chaim Bentorah
Learn more
1 en.wikipedia.org
2 hebrewtoday.com
3 bing.com
4 biblehub.com
5 wordhippo.com
6 chaimbentorah.com
Contrary to what some believe, Jehovah is not the Divine Name revealed to Israel. The name Jehovah is a product of mixing different words and different alphabets of different languages. Due to a fear of accidentally taking God’s name in vain (Leviticus 24:16), the Jews basically quit saying it out loud altogether. Instead, when reading Scripture aloud, the Jews substituted the tetragrammaton YHWH with the word Adonai (“Lord”). Even in the Septuagint (the Greek translation of the Old Testament), the translators substituted Kurios (“Lord”) for the Divine Name. Eventually, the vowels from Adonai (“Lord”) or Elohim (“God”) found their way in between the consonants of YHWH, thus forming YaHWeH. But this interpolation of vowels does not mean that was how God’s name was originally pronounced. In fact, we aren’t entirely sure if YHWH should have two syllables or three.
일부 사람들이 믿는 것과는 달리, 여호와는 이스라엘에게 계시된 신성한 이름이 아닙니다. 여호와라는 이름은 여러 언어의 여러 단어와 여러 알파벳이 혼합된 산물입니다. 실수로 하나님의 이름을 헛되이 부르는 것에 대한 두려움 때문에(레위기 24:16) 유대인들은 기본적으로 그 이름을 소리 내어 말하는 것을 그만두었습니다. 대신, 유대인들은 성경을 소리 내어 읽을 때 테트라그마톤 YHWH를 아도나이("주님")라는 단어로 대체했습니다. 70인역(구약성경의 그리스어 번역본)에서도 번역자들은 신성한 이름 대신 쿠리오스("주님")로 대체했습니다. 결국 아도나이("주님") 또는 엘로힘("하나님")의 모음이 야훼의 자음 사이에 끼어들어 야훼가 형성되었습니다. 하지만 모음을 보간했다고 해서 원래 하나님의 이름이 그렇게 발음된 것은 아닙니다. 사실 YHWH가 두 음절인지 세 음절인지는 확실하지 않습니다. 요드, 그, 와우, 그리고 반복되는 히브리어 네 글자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Translated with http://www.DeepL.com/Translator (free version)
Any number of vowel sounds can be inserted within YHWH, and Jewish scholars are as uncertain of the real pronunciation as Christian scholars are. Jehovah is actually a much later (probably 16th-century) variant. The word Jehovah comes from a three-syllable version of YHWH, YeHoWeH. The Y was replaced with a J (although Hebrew does not even have a J sound) and the W with a V, plus the extra vowel in the middle, resulting in JeHoVaH. These vowels are the abbreviated forms of the imperfect tense, the participial form, and the perfect tense of the Hebrew being verb (English is)—thus the meaning of Jehovah could be understood as “He who will be, is, and has been.”
YHWH에는 모음이 얼마든지 삽입될 수 있으며, 유대인 학자들도 기독교 학자들만큼이나 실제 발음에 대해 확신하지 못합니다. 여호와라는 단어는 사실 훨씬 후대(아마도 16세기)의 변형입니다. 여호와라는 단어는 3음절 버전의 YHWH, YeHoWeH에서 유래했습니다. Y는 J로 대체되었고(히브리어에는 J음이 없지만) W는 V로 대체되었으며 중간에 모음이 하나 더 추가되어 JeHoVaH가 되었습니다. 이 모음은 불완전 시제, 참여형, 히브리 동사의 완전 시제(영어 is)의 축약된 형태이므로 여호와의 의미는 "되실 분, 되셨던 분, 되신 분"으로 이해할 수 있습니다.
So, what is God’s Name, and what does it mean? The most likely choice for how the tetragrammaton was pronounced is “YAH-way,” “YAH-weh,” or something similar. The name Yahweh refers to God’s self-existence. Yahweh is linked to how God described Himself in Exodus 3:14, “God said to Moses, ‘I AM WHO I AM. This is what you are to say to the Israelites: “I AM has sent me to you.”’” God’s name is a reflection of His being. God is the only self-existent or self-sufficient Being. Only God has life in and of Himself. That is the essential meaning of the tetragrammaton, YHWH.
그렇다면 하나님의 이름은 무엇이며 그 뜻은 무엇일까요? 이 테트라그램이 발음되는 방식에 대한 가장 유력한 선택은 "야-웨이", "야-웨" 또는 이와 유사한 것입니다. 야훼라는 이름은 신의 자기 존재를 의미합니다. 야훼는 출애굽기 3장 14절에서 하나님이 자신을 묘사한 방식과 관련이 있습니다."하나님이 모세에게 '나는 스스로 있는 자니라'라고 이스라엘 백성에게 말하라: "내가 나를 너희에게 보냈다."""라고 말씀하셨습니다. 하나님의 이름은 그분의 존재를 반영합니다. 하나님은 유일하게 스스로 존재하거나 자급자족하는 존재입니다. 오직 하나님만이 그 자체로 생명이 있습니다. 이것이 바로 테트라그라마톤인 YHWH의 본질적인 의미입니다.
Family tree
Summary diagram |
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
Israel vs Ephraim
The distinction between Israel and Ephraim in the biblical context refers to the division of the ancient Kingdom of Israel into two separate entities: the Northern Kingdom, often called Israel or Ephraim, and the Southern Kingdom, known as Judah1.
이스라엘 대 에브라임
성경적 맥락에서 이스라엘과 에브라임의 구분은 고대 이스라엘 왕국이 이스라엘 또는 에브라임으로 불리는 북왕국과 유다1로 알려진 남왕국으로 나뉘는 것을 의미합니다.
Here’s a brief overview of the historical and biblical significance:
Northern Kingdom (Israel/Ephraim): After the reign of King Solomon, the Kingdom of Israel split due to political and social unrest. The Northern Kingdom consisted of ten tribes and was often referred to as Israel or Ephraim. Ephraim was one of the leading tribes of the north and lent its name to the entire kingdom2. The capital of the Northern Kingdom was Samaria, which was located in the territory of Ephraim2.
다음은 역사적, 성경적 의미에 대한 간략한 개요입니다:
북부 왕국(이스라엘/에브라임): 솔로몬 왕의 통치 이후 이스라엘 왕국은 정치적, 사회적 불안으로 인해 분열되었습니다. 북왕국은 10개의 지파로 구성되었으며 종종 이스라엘 또는 에브라임이라고 불렸어요. 에브라임은 북쪽의 주요 지파 중 하나였으며 왕국 전체의 이름을 그 이름 즉 에브라임으로 칭하도록 하였습니다2. 북왕국의 수도는 에브라임의 영토에 위치한 사마리아였습니다2.
Southern Kingdom (Judah): The Southern Kingdom was made up of the tribes of Judah and Benjamin. It retained the Davidic line of kings and the city of Jerusalem as its capital1.
남부 왕국(유다): 남부 왕국은 유다와 베냐민 지파들로 구성되었습니다. 이 왕국은 다윗 왕조의 혈통을 유지했으며 예루살렘을 수도로 삼았습니다1.
The division was not only political but also religious, as the Northern Kingdom established its own places of worship and deviated from the practices of the Southern Kingdom, which continued to worship in the Temple of Jerusalem1.
북왕국은 예루살렘 성전에서 예배를 계속하던 남왕국의 관행에서 벗어나 독자적인 예배 장소를 세웠기 때문에 분단은 정치적일 뿐만 아니라 종교적인 문제이기도 했습니다1.
In the prophetic books of the Bible, Ephraim is sometimes used as a synonym for the Northern Kingdom, and its behavior and fate are topics of discussion and prophecy. For example, the prophet Hosea often uses Ephraim to address the Northern Kingdom, highlighting its idolatry and departure from God’s commandments3.
성경의 예언서에서 에브라임은 때때로 북왕국의 동의어로 사용되며, 그 행동과 운명은 토론과 예언의 주제입니다. 예를 들어, 호세아 선지자는 종종 에브라임을 사용하여 북왕국을 언급하며 우상 숭배와 하나님의 계명에서 벗어난 점을 강조합니다3.
This division had a lasting impact on the history of the Israelites and is a significant event in the study of the Bible and the history of the Jewish people. If you’re interested in a more detailed explanation or have specific questions about this topic, feel free to ask!
이 분단은 이스라엘 민족의 역사에 지속적인 영향을 미쳤으며 성서 연구와 유대 민족의 역사에서 중요한 사건입니다. 이 주제에 대해 더 자세한 설명이 궁금하거나 구체적인 질문이 있으시면 언제든지 문의해 주세요!
Learn more
1 gotquestions.org
2 gotquestions.org
3 biblehub.com
4 thewitness.org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