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IP: 육장육부, 양체질과 음체질
육장 - 간(肝) · 심장(心臟) · 비(脾) · 폐(肺) · 신장(腎臟) · 심포(心包)
육부 - 담(膽) · 소장(小腸) · 위(胃) · 대장(大腸) · 방광(膀胱) · 삼초(三焦)
☆ 양체질과 음체질
체질을 양과 음 어느 한 편으로 치우치지 않고 표준체질을 갖는 것만으로도
대부분의 질병을 이기고 건강하게 살 수 있음
1. 간단한 체질구별법
ㄱ. 더운 때 낳았으면 열체질, 추울 때 낳았으면 냉체질
ㄴ. 체질은 변함 - 더우면 열체질, 추우면 냉체질
ㄷ. 열체질인데 추우면 허냉체질, 냉체질인데 더우면 허열체질
ㄹ. 인영맥(목)이 촌구맥(손목)보다 크면 양체질, 반대는 음체질
ㅁ. 상체 열나면서 갱년기 증상에는 신장관리 필수
2. 전천후 체질 만들기
ㄱ. 산모의 상태가 음양조화를 이루도록 함
ㄴ. 작게 태어난 장기를 성장기에 음식과 한약으로 키워줌
ㄷ. 기회를 놓쳤다면 장기간 체질식해야 함
ㄹ. 부부간이라도 각자 체질에 맞는 음식을 먹어야 함
☆ 계절과 체질 (사상체질)
\ | 체 질 | 특 징 | 처 방 |
겨울출생 | 소음체질 | 신방광 강하고 심소장 약함 | 쓴맛 단맛 온한 식품 |
봄출생 | 태음체질 | 간담은 강하고 폐대장 약함 | 매운맛 쓴맛 온한 식품 |
여름출생 | 태양체질 | 심소장 강하고 신방광 약함 | 짠맛 냉한 식품 |
가을출생 | 소양체질 | 비위장 강하고 간담은 약함 | 신맛 짠맛 냉한 식품 |
표준형 | 전천후체질 | 모두 강함, 얼굴 계란형 | 골고루 먹으면 건강함 |
계절사이 | 양쪽 체질을 참고하여 처방함, 모태환경에 따라 차이가 있음 |
덥히는 음식 - 인삼, 꿀, 마, 양파, 뿌리채소, 고추, 마늘, 현미, 찹쌀, 미강, 옻, 쇠고기,
닭고기, 염소고기, 보이차, 오징어, 개고기, 생선, 게, 사과, 녹용, 조기, 볶은곡식, 온수, 후추, 카레, 생강,
(극냉체질은 식간에 물 금하고 밤에만 마심. 낮에 인삼이나 꿀 먹고 물을 마시지 않음.
질 좋은 물은 냉해지지 않고 치료효과 있음. 찜질 장기간하면 냉해짐).
식히는 음식 - 메밀, 냉수, 검은콩, 녹두, 팥, 수박, 참외, 오이, 늙은오이즙, 딸기, 열대과일, 보리,녹차, 돼지고기, 오리고기, 얼음, 콜라, 홍어, 들깨, 배추,,
(열체질은 물 충분히 마셔야함. 마실 양은 몸무게×33ml. 75kg이면×33=2475ml)
☆ 인체의 원리
인체 장부는 상생상극의 관계 속에서 건강을 이루어 나감, 약한 부분은
영양과 운동으로 강화하고 강한 부분은 사해서 균형을 이루면 건강해짐
장기의 개념과 음양오행