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마이크로바이옴 (Microbiome)이란
특정 환경에 존재하는 모든 미생물 유전체 (Genome)의 결합으로, 특정 환경에 존재하는 미생물 군집을 의미하는 마이크로바이오타 (Microbiota)와 한 개체의 모든 유전 정보를 의미하는 유전체 (Genome)의 합성어이다. 미생물 (Microbe)와 생태계 (Biome)의 합성어로도 볼 수 있다. 인체 마이크로바이옴 (Human microbiome)은 인체에 서식하는 모든 미생물의 유전체를 통칭한다. 엄밀하게 이야기하면, 인체 마이크로바이오타 (Human microbiota)는 미생물 자체, 인체 마이크로바이옴은 유전체를 지칭하는 말이다. 예를 들어 대변 미생물 이식은 영어로 Fecal microbiota transplant (FMT)로 쓴다. 영어권에서는 이 Microbiota와 Microbiome이 잘 구분되어 쓰이지만, 국내에서는 모두 마이크로바이옴으로 쓰고 있다.
인체 마이크로바이옴의 구성
인체의 구강 내, 피부 표면, 질 내부, 위장관 내 등 인체의 부위마다 독특한 마이크로바이옴이 존재하며, 다양한 미생물 (세균과 고세균, 바이러스, 곰팡이) 종류로 구성된다1. 세균의 바이러스인 파아지 (Bacteriophage)를 제외하면 인간의 마이크로바이옴은 세균이 대부분을 차지란다.
정확한 인체 마이크로바이옴의 세포 수와 무게
많은 자료와 논문에서 사람과 미생물의 세포수는 1:10, 즉 미생물이 사람의 10 배이고, 그 수는 100 조, 무게는 수 kg이라고 설명하고 있다. 하지만 이 자료는 과학적인 근거가 미약함에도 불구하고 지속적으로 인용에 인용이 되어 30년 넘게 널리 사용되왔다2. 이스라엘 와이즈만 연구소의 최근 연구에 따르면 사람의 몸에는 약 3.8 X 1013 (38조)의 세균이 존재하며 대부분이 사람의 위장관 내, 특히 대장의 세균 밀도와 종 다양성이 가장 높다 (대변 1g당 세균이 1011이 존재)3. 장내 미생물의 무게는 약 200 g으로 추정된다. 사람의 세포수를 30조 개로 추정하면, 사람과 미생물의 세포수는 미생물이 약간 많은 것으로 볼 수 있지만, 개인 간의 차이와 실험 오차를 생각하면 1:1 정도로 보는 것이 타당하다2,3.
사람과 마이크로바이옴의 세포수의 비교
미국의 인체 마이크로바이옴 프로젝트 (Human Microbiome Project, HMP)와 유럽의 인체 장관 메타게놈 (Metagenomics of the human intestinal tract, MetaHIT)과 같이 대규모 메타게놈 기반의 연구 프로젝트를 통해서 대장에만 사람의 전체 유전자 (약 20,000개)의 150배에 달하는 330만개의 독특한 유전자가 있다는 사실이 밝혀졌다4. 인체 마이크로바이옴은 인체가 하지 못하는 면역 발달, 병원균에 대한 방어, 에너지 대사에 중요한 역할을 하는 짧은 사슬 지방산의 합성, 비타민 합성과 같은 다양한 기능들을 수행한다5,6.
마이크로바이옴과 질병
지난 10년간 6만편이 넘는 논문을 통해 다양한 질병이 마이크로바이옴과 관련되어 있는 사실이 밝혀지고 있다.
마이크로바이옴과 관련된 질병
초기에는 생쥐, 특히 무균 생쥐 (Germ-free mouse)를 이용해서 마이크로바이옴이 질병의 원인 중 하나임이 증명되었다면, 최근에는 사람을 대상으로 한 임상연구도 활발하다. 최소 한편 이상의 학술 논문으로 마이크로바이옴과의 연관성이 밝혀진 질병에 대한 환자 통계는 다음과 같다.
출처: 질병관리본부·건강보험심사평가원·학술논문
Table 1. 마이크로바이옴 관련 질병의 환자 통계 (마지막 수정 2019년 11월 3일)
질병 | 한국 환자 통계 | 세계 환자 통계 |
비만 | 세계보건기구(WHO) 기준 BMI 25이상은 과체중, 30이상은 비만으로 분류 7 2012년 성인의 32.8%가 과체중 (BMI 25이상)이며 4.8%가 비만(BMI 30 이상) (질병관리본부) 2020년 남성 미만율 47%, 여성 비만율 32% 일 것으로 예상8 | 미국: 2015-2016년 성인 비만율 39.8%, 미취학아동 비만율 18.4% (2017년, CDC)9 1975-2014년 전 세계 비만 유병률 추정결과 2025년엔 남성의 18%, 여성의 21%가 비만일 것으로 예상10 |
당뇨 | 2016년 30세 이상 성인 당뇨병 유병률은 11.3% (남성는 12.9%, 여성은 9.6%로 남성이 여성보다 1.3배 높음) (질병관리본부) 30세 이상 성인 당뇨병 유병률 13.7%, 약 4백 8십만명이 당뇨병 환자11 2018년 의사진단 당뇨병 환자 3,028,128 명12 | 2017년 전 세계 4억 5천1백만명이 당뇨병 환자로 추산, 2045년엔 인구의 거의 절반인 49.7%가 당뇨병일 것으로 예상 (2018, 국제당뇨병연맹)13 |
만성간질환/간경변증 | 2012년 30세 이상 간경변증 유병률 0.5% (남성은 0.5%, 여성은 0.4%) (질병관리본부) 2018년 간경변증 환자 110,710명으로 2013년 (95,719명)에 비해 15.6% 증가12 | 미국: 450만명 진단 (성인의 1.8%), 4만1천명 사망 (2017년,CDC) 1990-2017년 전 세계 인구 중 1억 5천만명이 만성간질환와 간경화 환자로 추산14 |
만성신부전 | 2017년 30세 이상 중등도 이상 만성신장병 유병률 3.0% (남성은 3.4%, 여성은 2.6%로 남성이 여성보다 1.3% 높음) (질병관리본부) 2011-2013년 20세 이상 성인 만성신부전 유병률 8.2%15 2018년 의사진단 신부전 환자 226,877명 12 | 1990-2017년 전 세계적으로 6천9백만명이 만성신부전 환자14 |
심혈관질환 | 2017년 30세 이상 성인 고혈압 유병률은 26.9% (남성은 32.3%, 여성은 21.3%) (질병관리본부) 2015년 성인 1000명 중 죽상 동맥경화증에 의한 심혈관 질환 환자는 101.1명16 2018년 의사진단 심혈관 질환 환자 1,089,861명 12 | 미국: 2015년 성인의 약 15% 죽상 동맥경화증 관련 심혈관 질환 환자 |
염증성 장질환 (크론병, 궤양성 대장염[Ulcerative colitis]) | 2017년 염증성 장질환 환자 61,170명 (궤양성 대장염 40,939명, 크론병 20,231명)으로 2013년에 비해 29.7% 증가 (질병관리본부) 2018년 의사진단 염증성 장질환 환자 65,802명12 | 미국: 2015년 기준 약 3백1천만명(1.3%)이 염증성 장질환 환자17 노르웨이: 1990-2010년 10만명 중 궤양성 대장염 진단 환자 505명, 크론병 진단 환자 262명18 |
과민성 대장 증후군 | 2006년 18세-60세 1066명 설문조사 결과 과민성 대장 증후군 유병률 6.6% (남성 7.1%, 여성 6.0%)19 | 전 세계적으로 과민성 대장 증후군 유병률은 11.2%이며 남아시아에서 가장 낮은 유병률 (7.0%)과 남미에서 가장 높은 유병률 (21.0%)이 나타남20 |
아토피 | 2010년 아토피 피부염 평생 의사진단 유병률은 초등학생 35.5%, 중학생 24% (질병관리본부) 2018년 의사진단 아토피 피부염 환자 921,070명 이 중 소아·청소년(0~19세)는 451,743명으로 약 50%를 차지12 | 미국, 유럽, 캐나다, 일본 국가 대상 설문 조사에서 성인 아토피 유병률 2.1-4.9%21 전 세계적으로 아동의 15-20%, 성인의 1-3%가 아토피 피부염 환자22,23 |
다발성 경화증 (Multiple sclerosis) | 2000-2005년 다발성 경화증 유병률 10만 명당 3.5명 (남성은 3.1명, 여성은 3.9명) (질병관리본부) 국내 다발성 경화증 유병률은 10만명 당 0.1명으로 남성보다 여성의 유병률이 약 1.26배 높음24,25 2016년 다발성 경화증 환자 19,826명으로 1990년 대비 31.2% 증가26 | 2016년 전 세계적으로 약 2백2십만명의 다발성 경화증 환자가 발생하였으며, 1990년 이후 10.4% 증가26 |
류마티스관절염 | 2016년 30세 이상 류마티스관절염 유병률 2.0% (여성은 2.8%, 남성은 1.1%) (질병관리본부) 2018년 류마티스관절염 환자 24,875명으로 이 중 50-59세 여성이 5만4천명으로 약 25%를 차지12 | 미국: 2014년 류마티스관절염 유병률 0.53-0.55% (남성 0.29-0.31%, 여성 0.73-0.78%)로 약 128-136만명27 |
갑상선장애 | 2013-2015년 갑상선기능저하증 유병률은 전체 3.1% (남성 2.26%, 여성 0.81%), 무증상 갑상선기능항진증은 2.98% (남성 2.43%, 여성 3.59%) (질병관리본부) 2015년 갑상선 호르몬에 의한 갑상선 항진증 유병률 1000명 중 15.9명28 2018년 의사진단 갑상선 기능 장애 환자 1,376,651명 12 | 전 세계적으로 0.2~1.3%의 인구가 갑상성 항진증29,30 미국: 2002년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NHNES)에 의하면 미국 시민의 0.5%이 갑상선 기능 항진증 환자이며, 0.7%가 불현성 갑상선 기능 항진증 환자 30 |
골다공증 | 2008-2011년 골다공증 유병률은 22.5%로 50세 이상 성인 5명 중 1명이 골다공증 유병자 (여성37.5%, 남성 7.5로 여성이 남성의 5배) (질병관리본부) 2018년 의사진단 골다공증 환자는 972,196명으로 2013년 대비 20.7% 증가했으며, 이 중 50세 이후 여성 환자 915,901명12 | 미국: 폐경 여성 3359명, 60세 이상 남성 3205명 대상 조사 결과 여성은 9.65%, 남성은 8.08%가 골다공증이었으며, 여성의 27%, 남성의 26%가 골감소증 환자31 |
신생아괴사성장염 | 2013-2014년 저체중출생아 2,386명 중 149명이 괴사성장염을 진단32 | 미국: 괴사성 장염의 유병률은 1000명당 1-3명33,34 |
자폐 스펙트럼 장애 (ASD) | 일산지역 7~12세 조사에서 2.6% (39명 중 1명)35 2018년 의사진단 자폐증 환자 10,298명12 | 미국: 2018년 조사에서 8세 아이 1.6% (59명 1명)이 ASD로 진단 (CDC). 남아가 여아보다 4배. |
치매/알츠하이머병 | 2012년 65세 노인 인구 중 치매 유병률 9.18%로 540,755명 85세 이상에서는 33.9%이며 치매 환자의 71%가 알츠하이머성 치매 (보건복지부) 2016년 65세 이상 노인 인구 중 치매 환자 수 약 66만명, 2024년 백만명, 2039년 2백만명, 2050년에 3백만명을 넘어설 것으로 추정36 2018년 의사진단 치매 환자 511,931명12 | 미국: 2014년 5백만, 2040년엔 천5백만명으로 예상 (CDC) |
파킨슨병 | 전 연령 대상 파킨슨병 유병률 10만 명당 27.8명, 60세 이상에선 165.9명 (질병관리본부) 2004년 파킨슨병 유병률 10만명당 41.4명에서 2013년도 142.5명으로 10년간 해마다 13.2%씩 증가37 2018년 의사진단 파킨슨병 유병 규모는 120,977명으로 2013년 대비 31% 증가12 | 북아메리카: 2010년, 45세 이상 인구 10만명 중 572명이 파킨슨 환자이며 2020년엔 93만명, 230년엔 123만8천명으로 예상38 |
우울증 | 2016년 19세 이상 우울장애 유병률은 5.6% (여성은 7.0%, 남성은 4.1%로 여자 유병률이 남성보다 1.7배 높았음) (질병관리본부) 2018년 의사진단 우울증 환자 752,195명12 (산후우울증 265명 포함) | 미국: 2013-2016년 20세 이상 성인 우울증 유병률 8.1%, 여성이 남성의 약 2배 유병률이 높음 (2018년, CDC)39 |
조현병 | 2016년 정신질환실태 조사에 의하면 조현병 평생 유병률 0.5% (보건복지부) 2018년 조현병 유병 규모 121,439명12 | 2008년 오스트레일리아 퀸즐랜드 정신건강연구소에 의하면 조현병 발병률은 10만명 중 15.2명으로 추정40 미국: 조현병 유병률 1000명 중 5.1명41 |
클로스트리디움 디피실 감염증 | 2013-2014년 평균 유병률 10만 명당 69명42 | 미국: 매년 50만 명 환자 발생, 29,000 명 사망. 2/3가 병원감염 (2012년)43 |
대장암 | 2015년 대장암과 직장암 유병률 10만 명당 30.4명 (남성 40.2명, 여성 22.2명)44 2018년 의사진단 대장암 환자 159,388명12 | 2012년 전 세계 대장암 환자 136만명으로 추정45 2030년까지 대장암 유병률이 60%까지 증가하여 220만명의 새로운 환자 발생, 암 사망 환자 110만명 예상46 |
췌장암 | 2016년 췌장암 유병률 7.0% (남성 8.1%, 여성 6.0%)47 2018년 의사진단 췌장암 환자 19,971명12 | 2018년 췌장암 진단 환자 45만명 (전체 암 환자의 2.5%), 2040년엔 35만명의 새로운 환자가 더 늘어나며, 췌장암 사망자 34만명으로 증가할 것으로 예상48 |
간암 | 2014년 감암 유병률 10만 명당 113.6명 (남성 170명, 여성 57명)49 2018년 의사진단 간암 환자 74,848명(남성 77%, 여성 23%)12 | 2012년, 전 세계적으로 간암 발병률은 10만명 중 15.3명, 사망률은 14.3명50 |
마이크로바이옴의 이상(불균형)의 질병의 원인인지, 또는 결과인지에 대한 많은 논란이 있었으나, 지난 10여 년 간의 연구를 종합해서 보면, 마이크로바이옴은 질병의 원인이기도 하고, 질병에 의해 변하기도 한다. 대변 미생물 이식 (Fecal Microbiota Tranplant)는 불균형인 마이크로바이옴을 정상, 즉 균형 마이크로바이옴으로 바꾸어 주는 시술인데, 이 방법으로 다수의 질병의 동물 모델과 사람을 대상으로 한 인상 실험에서 치료 가능성이 확인되었다. 아래 테이블은 그 논문을 정리한 것이다.
Table 2. 대변 미생물 이식 (Fecal Microbiota Tranplant)으로 마이크로바이옴을 이용한 치료제 개발 가능성이 입증된 질병과 근거 (마지막 수정 2019년 11월 3일)
질병 | 동물실험으로 치료 가능성 증명 | 인간 대상의 임상시험으로 치료효과가 보인 경우 |
비만 | Ridaura et al. (2013) Science 51 | |
당뇨 | Suez et al. (2014) Nature 52 | Vrieze et al. (2012) Gastroenterology (RR : x, 포도당 감소율 26.2에서 45.3로 상승 (μmol/kg/min, 중앙값 기준)) 53 |
면역항암제 병용요법 | Gopalakrishnan et al. (2018) Science (Anti–PD-1/흑색종) 54 Matson et al. (2018) Science (Anti–PD-1/흑색종) 55 Routy et al. (2018) Science (NSCLC/신장암) 56 | Wang et al. (2018) Nature medicine (RR : 100% (2/2), 2명 실험) 57 |
대장암 | Wong et al. (2017) Gastroenterology 58 Bullman et al. (2017) Science 59 | |
급성췌장염 | Zhu et al. (2019) Journal of Gastroenterology | |
과민성 대장 증후군 | Touw et al. (2017) Physiological Reports 60 De et al. (2017) Sci Trans Med 61 | Johnsen et al. (2018) Lancet Gastroenterology & Hepatology (RR: 65% (36/55)) 62 |
염증성 장 질환 | Tian, Zhihui, et al. (2016) Digestive diseases and sciences 63 | Meighani et al. (2017) Digestive Diseases and Sciences (RR: 75% (15/20)) 64 |
만성 변비 | Cao et al. (2017) Scientific Reports 65 | Ding et al. (2018) Gastroenterology Report (RR : 50% (26/52)) 66 |
클로스트리디움 디피실 감염증 | Battaglioli et al. (2018) Sci Trans Med 67 | Zipursky et al. (2014) Canadian Journal of Gastroenterology and Hepatology (RR : 97% (135/139)) 68 |
다제내성균 감염증 | Wei et al. (2015) BMC Infectious Diseases (RR : 100% (5/5)) 69 | |
고혈압 | Li et al. (2017) Microbiome 70 | |
알츠하이머 | Kim et al. (2019) Gastroenterology Sun, Jing, et al. (2019) Translational psychiatry 71 | |
자폐 스펙트럼 장애 | Kang et al. (2019) Scientific Reports (RR : 83%, 18명 실험) 72 Kang et al. (2017) Microbiome (RR : 24%, 18명 실험) 73 | |
파킨슨병 | Sampson et al. (2016) Cell 74 | |
조현병 | Zeng et al. (2019) Science Advances 75 |
References
1.
Cani PD. Human gut microbiome: hopes, threats and promises. Gut. June 2018:1716-1725. doi:10.1136/gutjnl-2018-316723
2.
Sender R, Fuchs S, Milo R. Are We Really Vastly Outnumbered? Revisiting the Ratio of Bacterial to Host Cells in Humans. Cell. January 2016:337-340. doi:10.1016/j.cell.2016.01.013
3.
Sender R, Fuchs S, Milo R. Revised Estimates for the Number of Human and Bacteria Cells in the Body. PLoS Biol. August 2016:e1002533. doi:10.1371/journal.pbio.1002533
4.
Qin J, Li R, et al. A human gut microbial gene catalogue established by metagenomic sequencing. Nature. March 2010:59-65. doi:10.1038/nature08821
5.
Rowland I, Gibson G, Heinken A, et al. Gut microbiota functions: metabolism of nutrients and other food components. Eur J Nutr. April 2017:1-24. doi:10.1007/s00394-017-1445-8
6.
Lazar V, Ditu L-M, Pircalabioru GG, et al. Aspects of Gut Microbiota and Immune System Interactions in Infectious Diseases, Immunopathology, and Cancer. Front Immunol. August 2018. doi:10.3389/fimmu.2018.01830
7.
Nuttall FQ. Body Mass Index. Nutrition Today. 2015:117-128. doi:10.1097/nt.0000000000000092
8.
Baik I. Forecasting obesity prevalence in Korean adults for the years 2020 and 2030 by the analysis of contributing factors. Nutr Res Pract. 2018:251. doi:10.4162/nrp.2018.12.3.251
9.
Hales C, Carroll M, Fryar C, Ogden C. Prevalence of Obesity Among Adults and Youth: United States, 2015-2016. NCHS Data Brief. 2017;(288):1-8. https://www.ncbi.nlm.nih.gov/pubmed/29155689.
10.
Trends in adult body-mass index in 200 countries from 1975 to 2014: a pooled analysis of 1698 population-based measurement studies with 19·2 million participants. The Lancet. April 2016:1377-1396. doi:10.1016/s0140-6736(16)30054-x
11.
Bae JC. Trends of Diabetes Epidemic in Korea. Diabetes Metab J. 2018:377. doi:10.4093/dmj.2018.0194
12.
건강보험심사평가 통계자료. 보건의료빅데이터개방시스템. http://opendata.hira.or.kr/op/opc/olapMfrnIntrsIlnsInfo.do.
13.
Cho NH, Shaw JE, Karuranga S, et al. IDF Diabetes Atlas: Global estimates of diabetes prevalence for 2017 and projections for 2045. Diabetes Research and Clinical Practice. April 2018:271-281. doi:10.1016/j.diabres.2018.02.023
14.
James SL, Abate D, Abate KH, et al. Global, regional, and national incidence, prevalence, and years lived with disability for 354 diseases and injuries for 195 countries and territories, 1990–2017: a systematic analysis for the Global Burden of Disease Study 2017. The Lancet. November 2018:1789-1858. doi:10.1016/s0140-6736(18)32279-7
15.
Park JI, Baek H, Jung HH. Prevalence of Chronic Kidney Disease in Korea: the Korean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al Examination Survey 2011–2013. J Korean Med Sci. 2016:915. doi:10.3346/jkms.2016.31.6.915
16.
Kim H, Kim S, Han S, et al. Prevalence and incidence of atherosclerotic cardiovascular disease and its risk factors in Korea: a nationwide population-based study. BMC Public Health. August 2019. doi:10.1186/s12889-019-7439-0
17.
Dahlhamer JM, Zammitti EP, Ward BW, Wheaton AG, Croft JB. Prevalence of Inflammatory Bowel Disease Among Adults Aged ≥18 Years — United States, 2015. MMWR Morb Mortal Wkly Rep. October 2016:1166-1169. doi:10.15585/mmwr.mm6542a3
18.
Ng SC, Shi HY, Hamidi N, et al. Worldwide incidence and prevalence of inflammatory bowel disease in the 21st century: a systematic review of population-based studies. The Lancet. December 2017:2769-2778. doi:10.1016/s0140-6736(17)32448-0
19.
Han SH, Lee OY, Bae SC, et al. Prevalence of irritable bowel syndrome in Korea: Population-based survey using the Rome II criteria. J Gastroenterol Hepatol. November 2006:1687-1692. doi:10.1111/j.1440-1746.2006.04269.x
20.
Lovell RM, Ford AC. Global Prevalence of and Risk Factors for Irritable Bowel Syndrome: A Meta-analysis. Clinical Gastroenterology and Hepatology. July 2012:712-721.e4. doi:10.1016/j.cgh.2012.02.029
21.
Barbarot S, Auziere S, Gadkari A, et al. Epidemiology of atopic dermatitis in adults: Results from an international survey. Allergy. February 2018:1284-1293. doi:10.1111/all.13401
22.
Nutten S. Atopic Dermatitis: Global Epidemiology and Risk Factors. Ann Nutr Metab. 2015:8-16. doi:10.1159/000370220
23.
Asher MI, Montefort S, Björkstén B, et al. Worldwide time trends in the prevalence of symptoms of asthma, allergic rhinoconjunctivitis, and eczema in childhood: ISAAC Phases One and Three repeat multicountry cross-sectional surveys. The Lancet. August 2006:733-743. doi:10.1016/s0140-6736(06)69283-0
24.
Chung S-E, Cheong H-K, Park J-H, Kim HJ. Burden of Disease of Multiple Sclerosis in Korea. Epidemiol Health. November 2012:e2012008. doi:10.4178/epih/e2012008
25.
Kim N, Kim H, Cheong H, et al. Prevalence of multiple sclerosis in Korea. Neurology. 2010;75(16):1432-1438. https://www.ncbi.nlm.nih.gov/pubmed/20956788.
26.
GBD 2016. Global, regional, and national burden of multiple sclerosis 1990-2016: a systematic analysis for the Global Burden of Disease Study 2016. Lancet Neurol. 2019;18(3):269-285. https://www.ncbi.nlm.nih.gov/pubmed/30679040.
27.
Hunter T, Boytsov N, Zhang X, Schroeder K, Michaud K, Araujo A. Prevalence of rheumatoid arthritis in the United States adult population in healthcare claims databases, 2004-2014. Rheumatol Int. 2017;37(9):1551-1557. https://www.ncbi.nlm.nih.gov/pubmed/28455559.
28.
Kwon H, Jung J, Han K, et al. Prevalence and Annual Incidence of Thyroid Disease in Korea from 2006 to 2015: A Nationwide Population-Based Cohort Study. Endocrinol Metab (Seoul). 2018;33(2):260-267. https://www.ncbi.nlm.nih.gov/pubmed/29947180.
29.
Garmendia Madariaga A, Santos Palacios S, Guillén-Grima F, Galofré JC. The Incidence and Prevalence of Thyroid Dysfunction in Europe: A Meta-Analysis. The Journal of Clinical Endocrinology & Metabolism. March 2014:923-931. doi:10.1210/jc.2013-2409
30.
Hollowell JG, Staehling NW, Flanders WD, et al. Serum TSH, T4, and Thyroid Antibodies in the United States Population (1988 to 1994):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NHANES III). The Journal of Clinical Endocrinology & Metabolism. February 2002:489-499. doi:10.1210/jcem.87.2.8182
31.
Tian L, Yang R, Wei L, et al. Prevalence of osteoporosis and related lifestyle and metabolic factors of postmenopausal women and elderly men. Medicine. October 2017:e8294. doi:10.1097/md.0000000000008294
32.
Chang YS, Park H-Y, Park WS. The Korean Neonatal Network: An Overview. J Korean Med Sci. 2015:S3. doi:10.3346/jkms.2015.30.s1.s3
33.
Holman R, Stoll B, Curns A, Yorita K, Steiner C, Schonberger L. Necrotising enterocolitis hospitalisations among neonates in the United States. Paediatr Perinat Epidemiol. 2006;20(6):498-506. https://www.ncbi.nlm.nih.gov/pubmed/17052286.
34.
Stoll B, Hansen N, Bell E, et al. Trends in Care Practices, Morbidity, and Mortality of Extremely Preterm Neonates, 1993-2012. JAMA. 2015;314(10):1039-1051. https://www.ncbi.nlm.nih.gov/pubmed/26348753.
35.
Kim YS, Leventhal BL, Koh Y-J, et al. Prevalence of Autism Spectrum Disorders in a Total Population Sample. AJP. September 2011:904-912. doi:10.1176/appi.ajp.2011.10101532
36.
남효정등. 대한민국치매보고서. 2017. https://www.nid.or.kr/info/dataroom_view.aspx?bid=172.
37.
Lee JE, Choi J, Lim HS, et al. The Prevalence and Incidence of Parkinson′s Disease in South Korea: A 10-Year Nationwide Population–Based Study. J Korean Neurol Assoc. October 2017:191-198. doi:10.17340/jkna.2017.4.1
38.
Marras C, Beck JC, et al. Prevalence of Parkinson’s disease across North America. npj Parkinson’s Disease. July 2018. doi:10.1038/s41531-018-0058-0
39.
Brody D, Pratt L, Hughes J. Prevalence of Depression Among Adults Aged 20 and Over: United States, 2013-2016. NCHS Data Brief. 2018;(303):1-8. https://www.ncbi.nlm.nih.gov/pubmed/29638213.
40.
McGrath J, Saha S, Chant D, Welham J. Schizophrenia: A Concise Overview of Incidence, Prevalence, and Mortality. Epidemiologic Reviews. May 2008:67-76. doi:10.1093/epirev/mxn001
41.
Wu E, Shi L, Birnbaum H, Hudson T, Kessler R. Annual prevalence of diagnosed schizophrenia in the USA: a claims data analysis approach. Psychol Med. 2006;36(11):1535-1540. https://www.ncbi.nlm.nih.gov/pubmed/16907994.
42.
Oh S-H, Kang H-Y. Identification of target risk groups for population-based Clostridium difficile infection prevention strategies using a population attributable risk approach. International Journal of Infectious Diseases. January 2018:107-112. doi:10.1016/j.ijid.2017.11.021
43.
Lessa FC, Mu Y, Bamberg WM, et al. Burden ofClostridium difficileInfection in the United States. N Engl J Med. February 2015:825-834. doi:10.1056/nejmoa1408913
44.
Kweon S-S. Updates on Cancer Epidemiology in Korea, 2018. Chonnam Med J. 2018:90. doi:10.4068/cmj.2018.54.2.90
45.
Ferlay J, Soerjomataram I, Dikshit R, et al. Cancer incidence and mortality worldwide: Sources, methods and major patterns in GLOBOCAN 2012. Int J Cancer. October 2014:E359-E386. doi:10.1002/ijc.29210
46.
Arnold M, Sierra MS, Laversanne M, Soerjomataram I, Jemal A, Bray F. Global patterns and trends in colorectal cancer incidence and mortality. Gut. January 2016:683-691. doi:10.1136/gutjnl-2015-310912
47.
Jung K-W, Won Y-J, Kong H-J, Lee ES. Cancer Statistics in Korea: Incidence, Mortality, Survival, and Prevalence in 2016. Cancer Res Treat. April 2019:417-430. doi:10.4143/crt.2019.138
48.
Rawla P, Sunkara T, Gaduputi V. Epidemiology of Pancreatic Cancer: Global Trends, Etiology and Risk Factors. World J Oncol. 2019:10-27. doi:10.14740/wjon1166
49.
Kim BH, Park J-W. Epidemiology of liver cancer in South Korea. Clin Mol Hepatol. March 2018:1-9. doi:10.3350/cmh.2017.0112
50.
Wong MCS, Jiang JY, Goggins WB, et al. International incidence and mortality trends of liver cancer: a global profile. Sci Rep. March 2017. doi:10.1038/srep45846
51.
Ridaura VK, Faith JJ, Rey FE, et al. Gut Microbiota from Twins Discordant for Obesity Modulate Metabolism in Mice. Science. September 2013:1241214-1241214. doi:10.1126/science.1241214
52.
Suez J, Korem T, Zeevi D, et al. Artificial sweeteners induce glucose intolerance by altering the gut microbiota. Nature. September 2014:181-186. doi:10.1038/nature13793
53.
Vrieze A, Van Nood E, Holleman F, et al. Transfer of Intestinal Microbiota From Lean Donors Increases Insulin Sensitivity in Individuals With Metabolic Syndrome. Gastroenterology. October 2012:913-916.e7. doi:10.1053/j.gastro.2012.06.031
54.
Gopalakrishnan V, Spencer CN, Nezi L, et al. Gut microbiome modulates response to anti–PD-1 immunotherapy in melanoma patients. Science. November 2017:97-103. doi:10.1126/science.aan4236
55.
Matson V, Fessler J, Bao R, et al. The commensal microbiome is associated with anti–PD-1 efficacy in metastatic melanoma patients. Science. January 2018:104-108. doi:10.1126/science.aao3290
56.
Routy B, Le Chatelier E, Derosa L, et al. Gut microbiome influences efficacy of PD-1–based immunotherapy against epithelial tumors. Science. November 2017:91-97. doi:10.1126/science.aan3706
57.
Wang Y, Wiesnoski DH, Helmink BA, et al. Fecal microbiota transplantation for refractory immune checkpoint inhibitor-associated colitis. Nat Med. November 2018:1804-1808. doi:10.1038/s41591-018-0238-9
58.
Wong SH, Zhao L, Zhang X, et al. Gavage of Fecal Samples From Patients With Colorectal Cancer Promotes Intestinal Carcinogenesis in Germ-Free and Conventional Mice. Gastroenterology. December 2017:1621-1633.e6. doi:10.1053/j.gastro.2017.08.022
59.
Bullman S, Pedamallu CS, Sicinska E, et al. Analysis ofFusobacteriumpersistence and antibiotic response in colorectal cancer. Science. November 2017:1443-1448. doi:10.1126/science.aal5240
60.
Touw K, Ringus DL, Hubert N, et al. Mutual reinforcement of pathophysiological host-microbe interactions in intestinal stasis models. Physiol Rep. March 2017:e13182. doi:10.14814/phy2.13182
61.
De Palma G, Lynch MDJ, Lu J, et al. Transplantation of fecal microbiota from patients with irritable bowel syndrome alters gut function and behavior in recipient mice. Sci Transl Med. March 2017:eaaf6397. doi:10.1126/scitranslmed.aaf6397
62.
Johnsen PH, Hilpüsch F, Cavanagh JP, et al. Faecal microbiota transplantation versus placebo for moderate-to-severe irritable bowel syndrome: a double-blind, randomised, placebo-controlled, parallel-group, single-centre trial. The Lancet Gastroenterology & Hepatology. January 2018:17-24. doi:10.1016/s2468-1253(17)30338-2
63.
Tian Z, Liu J, Liao M, et al. Beneficial Effects of Fecal Microbiota Transplantation on Ulcerative Colitis in Mice. Dig Dis Sci. February 2016:2262-2271. doi:10.1007/s10620-016-4060-2
64.
Meighani A, Hart BR, Bourgi K, Miller N, John A, Ramesh M. Outcomes of Fecal Microbiota Transplantation for Clostridium difficile Infection in Patients with Inflammatory Bowel Disease. Dig Dis Sci. April 2017:2870-2875. doi:10.1007/s10620-017-4580-4
65.
Cao H, Liu X, An Y, et al. Dysbiosis contributes to chronic constipation development via regulation of serotonin transporter in the intestine. Sci Rep. September 2017. doi:10.1038/s41598-017-10835-8
66.
Ding C, Fan W, Gu L, et al. Outcomes and prognostic factors of fecal microbiota transplantation in patients with slow transit constipation: results from a prospective study with long-term follow-up. Gastroenterology Report. November 2017:101-107. doi:10.1093/gastro/gox036
67.
Taur Y, Coyte K, Schluter J, et al. Reconstitution of the gut microbiota of antibiotic-treated patients by autologous fecal microbiota transplant. Sci Transl Med. September 2018:eaap9489. doi:10.1126/scitranslmed.aap9489
68.
Zipursky J, Sidorsky T, Freedman C, Sidorsky M, Kirkland K. Physician attitudes toward the use of fecal microbiota transplantation for the treatment of recurrent Clostridium difficile infection. Can J Gastroenterol Hepatol. 2014;28(6):319-324. https://www.ncbi.nlm.nih.gov/pubmed/24719899.
69.
Wei Y, Gong J, Zhu W, et al. Fecal microbiota transplantation restores dysbiosis in patients with methicillin resistant Staphylococcus aureus enterocolitis. BMC Infect Dis. July 2015. doi:10.1186/s12879-015-0973-1
70.
Li J, Zhao F, Wang Y, et al. Gut microbiota dysbiosis contributes to the development of hypertension. Microbiome. February 2017. doi:10.1186/s40168-016-0222-x
71.
Sun J, Xu J, Ling Y, et al. Fecal microbiota transplantation alleviated Alzheimer’s disease-like pathogenesis in APP/PS1 transgenic mice. Transl Psychiatry. August 2019. doi:10.1038/s41398-019-0525-3
72.
Kang D-W, Adams JB, Coleman DM, et al. Long-term benefit of Microbiota Transfer Therapy on autism symptoms and gut microbiota. Sci Rep. April 2019. doi:10.1038/s41598-019-42183-0
73.
Kang D-W, Adams JB, Gregory AC, et al. Microbiota Transfer Therapy alters gut ecosystem and improves gastrointestinal and autism symptoms: an open-label study. Microbiome. January 2017. doi:10.1186/s40168-016-0225-7
74.
Sampson TR, Debelius JW, Thron T, et al. Gut Microbiota Regulate Motor Deficits and Neuroinflammation in a Model of Parkinson’s Disease. Cell. December 2016:1469-1480.e12. doi:10.1016/j.cell.2016.11.018
75.
Zheng P, Zeng B, Liu M, et al. The gut microbiome from patients with schizophrenia modulates the glutamate-glutamine-GABA cycle and schizophrenia-relevant behaviors in mice. Sci Adv. February 2019:eaau8317. doi:10.1126/scia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