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7장十七章
아주 먼 옛날, (임금이 백성의) 위에 자리했지만, (백성은 자신의 위에) 임금이 (자리하고) 있다는 것을 알아차리지 못했다. 그다음 (시대), (백성은) 임금을 가깝게 여기고 기렸다. 그다음 (시대), (백성은) 임금을 두려워했다. 그다음 (시대), (백성은 임금을) 업신여겼다. (이른바, 아주 먼 옛날 이후, 백성이 그렇게 된 까닭, 임금이 본래 저절로 그러하게 무위無爲한 자신의 성性·명命에 대한) 믿음이 부족했고, (따라서 그가 백성의 본래 저절로 그러하게 무위無爲한 성性·명命을) 믿지 못했(기 때문이)다. (이른바, 아주 먼 옛날의 임금은 유위有爲에서) 멀었다! (따라서 그는 백성이 자신의 잘못을 스스로 뉘우쳐서 고치도록 그들에게) 일컫는 바를 귀하게 여겼다. 그러나 (아주 먼 옛날은) 끝났다. (이른바, 지금의 임금은 본래 저절로 그러하게 무위無爲한 자신의 성性·명命을) 스스로 믿지 못한다. 따라서 (지금의 임금은) 천하의 (본래 무위無爲가) 한결같이 저절로 그러한 바(然; 性·命)를 믿지 못한다. 따라서 (지금의 임금은 백성이 잘못한 바를 스스로 뉘우쳐서 고치도록 그들을) 혼낼 줄 모른 채, (백성이 자신의 잘못을 일부러 일삼아 뉘우쳐서 고치도록 그들에게) 일컫는 바를 높인다. 따라서 (지금의 임금은 백성이) 업신여기는 바를 (일부러 일삼아) 불러들인다. (이른바, 아주 먼 옛날, 임금이) 공功을 이루게 하고, 일을 이루게 했지만, 백성은 모두 일컬었다. “내가 스스로 (그 공功과 일이) 그러하게 (되도록) 했(을 따름이)다.”
太上, 不知有之. 其次, 親而譽之. 其次, 畏之. 其次, 侮. 信不足焉, 有不信焉. 悠兮其貴言. 於已不自信, 乃不信天下之固然. 且不知懲, 而尚言, 是以召侮. 功成事遂, 百姓皆謂我自然.
(백성을 다스리는 데 있어서, 임금이 본래 저절로 그러하게 무위無爲한 자신의) 이치, 이른바 (자신의 성性·명命) 이것을 (다스림의) 근거로 삼게 되면, (백성은 유위有爲) 저것을 (저절로 그러하게) 의심하게 되고, 그들은 따라서 (본래 저절로 그러하게 무위無爲한 자신의) 이치(道; 性·命)를 (삶의) 이치로 삼게 된다. (그러나 임금이 일부러 일삼은) 이치, 이른바 (유위有爲) 저것을 (다스림의) 근거로 삼게 되면, (백성은 본래 저절로 그러하게 무위無爲한 자신의 이치) 이것을 (일부러 일삼아) 의심하게 되고, 그들은 (따라서 자신의) 이치(道; 性·命)를 (삶의) 근거로 삼지 않게 된다. 이른바, (백성을 다스리는 데 있어서, 임금이 본래 저절로 그러하게 무위無爲한 자신의 성性·명命을) 따르게 되면, (백성의 성性·명命이 유위有爲) 그것과 (더불어 서로) 달라지게 된다. 그러나 (임금이 유위有爲를) 따르게 되면, (백성의 성性·명命이 유위有爲와 더불어 서로) 같아지게 된다. 이른바, (백성을 다스리는 데 있어서, 본래 저절로 그러하게 무위無爲한 임금의) 이치(道; 性·命)가 (유위有爲에 대해) 어지러워지게 되면, (본래 저절로 그러하게 무위無爲한 백성의 이치가 유위有爲에 대해 어지러워진 임금의 이치와 더불어) 이른바 (일부러 일삼아) 두 가지가 되게 되고, 따라서 (백성이 본래 저절로 그러하게 무위無爲한 바와 더불어) 하나인 바(一; 性·命)를 (일부러 일삼아) 잘라내는 바가 심해지게 된다. 이른바, (백성을 다스리는 데 있어서, 본래 저절로 그러하게 무위無爲한 임금의 이치道·性·命가 유위有爲에 대해) 어지러워지게 되면, 이른바 (백성이 본래 저절로 그러하게 무위無爲한 바와 더불어 하나인 바一·性·命를 일부러 일삼아) 잘라내는 바가 심해지게 되고, (따라서) 그 (본래 저절로 그러하게 무위無爲한 바와 더불어 하나인 바一·性·命를 일부러 일삼아) 의심하는 바가 (천하에서) 사라지지 않게 된다.
據道於此, 疑彼, 之亦道. 據道於彼, 疑此, 之非道. 既從, 而異之. 又從而, 同之. 則道亂, 於二, 而苦於一. 且亂, 且苦, 其疑不去.
이른바, (백성을 다스리는 데 있어서, 아주 먼 옛날의 임금은 본래 저절로 그러하게 무위無爲한 자신의 성性·명命에 따라) 저절로 그러헸는데, 따라서 (백성은 유위有爲를) 의심하는 바를 일삼았다. 따라서 (한 나라의) 임금(王; 諸侯)은 (스스로 유위有爲와 더불어) 가까이 하지 않는 것을 살핀 채, (스스로 유위有爲와 더불어 가까이 하는 것을) 걱정했다. (여러 나라의) 으뜸인 임금(覇; 天子)은 (스스로 무위無爲와 더불어 가까이 하는 것을) 두려워하지 않는 바를 만났다. (이른바, 아주 먼 옛날, 한 나라의 임금과 여러 나라의 으뜸인 임금) 그들은 (스스로 유위有爲에 대해) 풀어지지 않았는지 의심했다. (이른바 그들은 무위無爲) 그것에 이르고, 그것을 구했다. 따라서 (그들은 백성과 천하가 잘못한 바를 스스로 뉘우쳐서 고치도록 백성과 천하에게) 일컫는 (바를 귀하게 여기는) 바를 구했다. 따라서 (그들은 스스로 무위無爲를 일삼기를) 맹세하고 맹세하는 바를 말미암았다. (따라서 그들은 스스로 무위無爲의) 갑옷을 입고 (무위無爲의) 투구를 쓰기를 끝까지했다. 이른바, 따라서 (천하와) 백성은 (일부러 일삼는) 자신(我; 有爲)을 잊어버렸다. 따라서 (이른바 천하와 백성은) 저절로 그러했다. 어찌 그 (천하와 백성의) 마음이 저절로 그러하지 않는 바를 가지는 바가 있겠는가?
既自, 以為疑矣. 故王者, 見不親. 而憂, 霸者, 遇不畏. 其, 疑不釋, 遂救之, 以要言. 故始乎詛盟, 而終乎甲胄. 夫使人忘我, 於自然者. 豈其心, 有不自然哉?
(이른바, 한 나라의 임금과 여러 나라의 으뜸인 임금이 유위有爲를) 믿게 되면, (백성과) 천하는 (유위有爲) 이것을 넘어서기를 잘하지 못하게 된다. (이른바, 한 나라의 임금과 여러 나라의 으뜸인 임금이 유위有爲를) 말미암게 되면, (백성과 천하) 그들은 (유위有爲로) 옮아가게 되고, 흘러가게 된다. 따라서 (그들은) 나아가지 못하게 된다. 이른바, (무위無爲에게) 스스로 찾아드는 바로. (따라서 그들은) 밝아지지 못하게 된다. 이른바 (무위無爲를) 스스로 돌이키는 바에 대해. (따라서 그들은 무위無爲를) 텅 비우게 되고, (따라서 그들은) 군더더기로 여기게 된다. (이른바, 백성과) 천하의 위(에 자리하는 한 나라의 임금과 여러 나라의 으뜸인 임금)를. 따라서 (백성과) 천하는 (그 공功과 일을) 일부러 일삼아 이루는 바를 기대게 된다. 따라서 (백성과) 천하의 마음(情; 性·命)은 (본래 저절로 그러하게 무위無爲한 이치道를) 말미암지 못하게 되고, (그러한 이치의) 갑옷을 입거나 투구를 쓰지 못하게 된다.
信, 天下之, 不能越是也. 任, 其, 遷流. 而不出於所自來, 不爽於所自復. 虛贅, 於天下之上. 以待物之, 自成. 是以天下之情, 不可因, 不可革.
아주 먼 옛날의 임금은 (천하의 백성을) 다스렸다. (유위有爲와 더불어) 어우러지는 바를 가지는 바가 없이. (따라서 천하의 백성은 스스로 무위無爲와 더불어 어우러지는 바를) 가로막는 바를 가지는 바가 없었다. 따라서 (유위有爲와 더불어 어우러지는 바에 대해) 늙어지는 사람은 (천하의) 우두머리가 되었고, 따라서 (무위無爲와 더불어 어우러지는 바에 대해 끝점을) 다하는 사람은 (천하에 대해) 힘 있는 사람이 되었다. 따라서 (천하의) 백성은 이내 (유위有爲와 더불어 어우러지는 바를) 그만두게 되었고, 따라서 이른바 (천하의 백성은 자신이 공功이 이루어지고, 일을 이루어지게 되는 까닭) 그것에 대해 (이렇게) 일컬었다. 이른바, “(내가) 스스로 (그 공功과 일이) 그러하게 (되도록) 했(을 따름이)다.”
太上之治, 無所通. 無所塞. 如老人之師, 如盡人之力. 而人, 乃廢, 然而稱之曰自然.
첫댓글 잘못된 부분이 있다면, 모두 저의 부족함 탓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