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1. 개요
1) 창원구씨(昌原仇氏 昌原具氏)
2) 관향(본관) : 경상남도 창원시를 본관으로 하는 한국의 성씨이다
3) 원시조 : 구도(仇道) 갈문왕(葛文王), 구수혜(仇須兮) 좌우군주(左右軍主)
4) 왕조(王祖) : 내물마립간(奈勿麻立干 내물왕), 신라 제17대 국왕
재위 기간 : 356년 4월 ~ 402년 2월(45년 10개월)
4) 비조 : 구천(仇天) 이벌찬(伊伐飡)
3) 입향조 : 구사(仇史), 구사산성제군사 역임(구사산성=염산산성=구룡산)
4) 득관시조 : 구성길(仇成吉) 일명 구진(具鎭)
서기 945년에 의안군(義安君)으로 봉군과 義安郡을 식읍으로 하사 받음
5) 일세조 : 구설(仇雪) 고려시대에 생원 출신
6) 중시조 : 구종길(仇宗吉) 영의정부사 역임, 세종대왕 사부(師傅, 王師)
7) 파시조
- 부사공파(府使公派) 파조(派祖) 구복한(仇復漢) 영의정부사 역임
- 진사공파(進士公派) 파조(派祖) 구동설(仇東薛)
- 승지공파(承旨公派) 파조(派祖) 구동직(仇東直) 영의정부사 역임
- 처사공파(處士公派) 파조(派祖) 구석훈(仇錫勳)
8) 문중별 세거지
- 강명문중(종손) : 함안
- 명철(11세) 후손 : 각처에서 세거
- 세천문중 : 대구
- 수태산문중(경립, 10세) : 고성
- 안인문중(구곡문중) : 밀양
- 송산문중 : 고성
- 연호문중 : 칠곡
- 영준(9세)계: 전주, 하동 등지에서 세거
- 선산문중 : 구미
- 사상문중 : 부산
- 평강문중 : 부산
- 안악문중(구순생계 7세) : 황해도 안악 대원리
- 봉성문중 : 함안
- 동래문중 : 부산
- 순창문중 : 풍산면 한사
- 영산문중 : 창녕
- 유적(5세)계 : 각처에서 세거
- 봉산문중 : 창원
- 의령문중 : 의령군 상정면
- 송정문중 : 창원 동읍
- 능화문중 : 사천시
- 와우문중 : 담양
- 경산문중 : 대구 경산
- 두릉문중 : 창원 마산
- 진해문중 : 창원 진해
- 신월문중 : 성주
- 극성(7세)계 : 삼가, 흥덕, 죽죽, 초계, 포두, 창녕 등지에서 세거
- 송라문중 : 이천
- 삼가문중 : 합천
- 말산문중 : 함안
- 용정문중 : 창원
- 담안문중 : 진례
- 범어문중 : 대구
- 금화문중 : 철원
- 회화문중 : 고성
- 금구문중 : 김제
- 고산문중 : 김제
- 월촌문중 : 김제
- 안악문중(구수영계 8세) : 황해도
- 흥성산문중(구고굉계 5세) : 군산
2. 기원
1) 仇字의 기원
기원전 춘추시대 진(晋)나라 군주(君主) 문후(文侯 BC805 ~ BC745)의
姓은 姬, 名은 仇, 字은 의화(義和)이다.
문후는 BC785년에 구유지방(仇由地方)으로 출분(出奔)하였고
BC780년에 晋나라 태원(太源 晉陽)에서 문후(文侯)로 등극했으며
BC770년에 周나라 平王이 西周에서 東周로 동천시에 협력한 공을 인증
받아 書經에 文侯之命이 기록되어 있다.
구씨(仇氏), 구성(仇姓)의 유래는 文侯의 名 仇에서 유래되었다.
☞ 출분(出奔) : 어떤 이유에 의해 다른 지역으로 나갔다가 다시 원래의 자리로 복귀 뜻
문후(文侯)의 석화(石畵)
2) 구자(仇, 具)의 서체 종류
3) 신라시대 仇字로 기록되어 있는 유물
경주 월지(안압지)에서 출토 된 금동완과 금동합에 仇字의 기록
4) 언어별 성씨 표기 방법
창원구씨는 역사적으로 仇와 具 두가지 한자를 사용해 왔다.
신라시대와 고려초까지 仇를 사용했고 서기 940년부터 具를 사용하다
조선초에 仇로 복성했다. 그러다 다시 정조의 왕명에 의해 서기 1791년부터 다시
具를 사용하도록 했다.
◈ 한글 : 구씨
◈ 한자 : 仇와 具
◈ 영어, 독일어, 프랑스어 : KOO, KU, GU
◈ 일본어 : ク
◈ 중국어 : QIU
5) 창원구씨 임오보(서기 1762년)에 기록되어 있는
해동구씨(海東仇氏) 시자완산((始自完山) 역라한려천여지후(歷羅韓麗千餘之後)라 하였다
여기서 완산은 신라 영역에 존재하는 현재 경북 영천시에 있는
완산동(조선시대는 완산면) 지역이다.
이 완산동 지역은 골벌국의 치도(置都 수도)이다.
그리고 골벌국은 신라에 가장 늦게 편입이 되었고
아음부 왕이 스스로 서기 236년에 신라에 귀의를 했다.
신라국와 골벌국은 혈족관계의 동맹국이다.
즉 구도(仇道)와 구수혜(仇須兮)는 동시대 인물로 골벌국 왕족과
신라국의 왕족으로 성골족의 후예(后裔)이다.
완산의 지명으로 창녕지역이 신라에 편입되면서 창녕지역에 완산주를
설치하였고, 다음으로 백제가 신라에 편입되면서 현재 전라도에 완산과
완주의 지명으로 오늘날에도 남아 있다.
6) 창원지역의 입향조는 구사(仇史) 公이다.
구사 公은 통일신라시대에 구사산성제군사로 임명되어 이름이 지명으로 남게 되었다.
구사산성에서 염산산성으로 또 구룡산으로 지명이 변천되어 왔다.
고로 구룡산 아래에 창원구씨가 세거를 했고 또 창원구씨 선대분들의
묘가 위치해 있다.
이 시대에 진레산성에도 제군사가 임명되었다.
7) 득관시조의 봉군은 서기 945년에 구성길 공이 서경유수관의 시중으로
재임시에 왕규의 반란을 평정한 공으로 의안군(義安君)으로 봉군과
의안군(義安郡)을 식읍으로 하사를 받았고 내의성의 으뜸 벼슬인 내의령에
임명되었다. 고로 후손들이 창원구씨(회산구씨)라 칭한다.
고려시대부터 조선시대까지 의안(義安)의 별칭이 회산(檜山)이므로
회산구씨라 칭하기도 했다.
봉군의 명칭은 선대의 세거지명이나 그 지역에서의 전공이 있을 때
봉군 명칭으로 사용했으며 이외의 사항으로도 명칭을 사용한 예가 있다.
왕규의 후손들도 조선에 들어와 원래성으로 복성하였다. 즉 함씨(咸氏)이다
3. 사성(賜姓) : 성씨의 변천사
서기 940년에 仇姓에서 具姓으로 사성(賜姓)
고려말에서 조선초에 具姓에서 仇姓으로 복성(復姓)
서기 1791년에 정조의 왕명에 의해 仇姓에서 具姓으로 사성(賜姓)
1) 서기 940년 仇姓에서 具姓으로 사성을 받음
서기 940년 하반기에 사성을 받은 인물은 구족달(仇足達) 公이다.
서기 940년에 세워진 보현사 낭원대사오진탑비(강릉에 소재)에는
仇足達로 기록되어 있고 서기 943년에 세워진 정토사
법경대사자등탑비(충주에 소재)에는 具足達로 기록되어 있다
2) 고려말과 조선초에 복성(復姓) : 많은 씨족들이 원래의 姓을 사용
具氏들도 仇姓으로 복성(復姓)하여 사용하기 시작했다.
복성을 한 근거는 조선 초 지리지에 仇氏의 세거지를 보면 알 수가 있고
고려시대에는 대부분 具姓을 사용했기 때문에 仇姓으로 기록된 내용은
거리많치 않다.
3) 서기 1791년에 정조의 왕명에 의해 仇姓에서 具姓으로 사성을 받음
사성 받은 인물은 구시창과 구정열이다.
사성 내용은 정사에 기록되어 있다.
고로 현재는 具姓으로 사용하고 있다.
사성에 따른 창원구씨와 능성구씨, 능주구씨와 많은 혼란이 야기 되었다.
4) 경주김씨는 신라 진흥왕이 金姓을 처음 사용하기 시작했다.
북제서에 서기 565년 2월 기사 내용는
詔以新羅國王金真興為使持節、東夷校尉、樂浪郡公、新羅王
조이신라국왕김진흥위사지절、동이교위、낙낭군공、신라왕으로 기록되 있다
서기 565년 이전에 금석문에는 金姓으로 기록된 내용이 없다.
그러나 서기 565년 이전에 금석문에 仇姓으로 기록한 내용은 있다.
4. 역사(인물, 세거지, 씨족사)
1) 仇姓의 분파도
구 분 | 시 대 | 내 용 |
仇姓의 始源 | 春秋時代 춘추시대 | 晉나라 文侯의 名 (이름 ) 仇에서 流例 文侯의 생졸연대 : BC 805 ~ BC 745 년 |
분파 | 仇猶國王 仇猶 (仇由 ) | |
宋나라 南陽大夫 仇牧 (? ~ BC682 년 ) | ||
백제 | 仇頗解 서기 25 년 남옥저에서 백제로 귀화 仇台王 百濟의 始祖 | |
고구려 | 仇斯那王 (仇斯其王 )은 日本 黃文連의 始祖 | |
신라 | 新羅昔氏 始祖 仇脫解 新羅 4 代王 子는 仇光 仇鄒 , 후대에 석씨로 改姓하여 소급적용 | |
新羅金氏 (경주김씨 ) 始祖 金眞興 新羅 24 代王 | ||
新羅孫氏 (경주손씨 ) 始祖 仇禮馬 新羅六村長 | ||
甄氏 始祖 甄萱 , 진흥왕 증손 아자개 (李氏 ) 子 | ||
月城李氏는 仇斯多含의 후손으로 추정근거 : 진흥왕이 사다함에게 알천 지역을 賜封 | ||
가야 | 金海金氏 始祖 仇首露 (金姓을 소급 적용 ) 仇次休 (구형 )10 代 仇亥王 신라에 병합 후 진흥왕이 무력에게 新金氏로 사성 | |
탐라국 (제주 ) | 濟州仇氏 始祖 耽羅國 王族 後裔 왕자 (王子 : 3 명 ) : 仇麻藝 仇都羅 仇宇麻 | |
통일신라 | 仇史公이 仇史山城諸軍事로 현창원에 입군 (入郡 ) | |
고려 | 창원구씨의 始祖 구성길 (仇成吉 ), 仇史의 后裔 | |
1.일본서기에는 仇를 동음이사 (同音異寫 )에 의한 久로 기록 2.신라육촌장들에게 사성 (賜姓 ) 시기는 진흥왕 또는 진흥왕 이후로 간주 |
2) 역대 지리지에 기록되어 있는 구씨 세거지 내용
❶. 경상도지리지(1425년 발행)
- 창원도호부 토성 구(仇)
- 대구군 군인(郡人) 구장(仇壯 具壯)
❷. 세종실록지리지(1454년 발행)
- 경기도 통진현 본현 망촌성(亡村姓) 구(仇)
- 충청도 해미현 정해(貞海) 구(仇)
- 경상도 개령현 촌성(村姓) 구(仇)
- 경상도 창원도호부 촌성(村 姓) 구(仇)
- 전라도 전주부 이성(伊城) 구(仇), 옥야(沃野) 구(仇)
- 전라도 익산군 본군 토성(土姓) 구(仇), 흑석(黑石) 구(仇)
- 전라도 김제군 본군 토성 구(仇), 명랑 구(仇), 제견 구(仇)
- 전라도 나주목 복룡(伏龍) 구(仇)
- 황해도 문화현 본현 망성(亡姓) 구(仇)
❸. 신증동국여지승람(1530년 발행)
- 경기도 통진현 본현 구(仇)
- 충청도 해미현 정해 구(仇)
- 경상도 상주목 평안 구(仇)
- 경상도 개령현 달오 구(仇), 무차곡 구(仇), 다질촌 구(仇)
- 경상도 함창현 이안 구(仇)
- 경상도 창원도호부 의창(義昌) 구(仇)
- 전라도 전주부 이성 구(仇), 옥야 구(仇)
- 전라도 익산군 본군 구(仇), 흑석 구(仇)
- 전라도 김제군 본군 구(仇), 명량 구(仇), 제견 구(仇)
- 전라도 나주목 복룡 구(仇)
- 황해도 문화현 본현 구(仇)
- 황해도 은율현 본현 구(仇)
❹. 증보문헌비고(1908년 발행)
- 인천구씨(仁川仇氏)
- 행주구씨(幸州仇氏 행주는 고양의 별칭)
- 괴산구씨(槐山仇氏)
- 해미구씨(海美仇氏)
- 이성구씨(伊城仇氏 전주의 속현)
- 옥야구씨(沃野仇氏 전주의 속현)
- 복룡구씨(伏龍仇氏 나주의 속현)
- 익산구씨(益山仇氏)
- 흑석구씨(黑石仇氏 익산의 속현)
- 김제구씨(金堤仇氏)
- 명량구씨(김제 지방)
- 제견구씨(提見仇氏 김제 지방)
- 평안구씨(平安仇氏 상주 지방)
- 이안구씨(利安仇氏 함창 지방)
- 다질구씨(多叱仇氏 개령 지방)
- 상오지구씨(上烏知仇氏 개령 지방)
- 금물구씨(今勿仇氏 개령 지방)
- 하활곡구씨(下活谷仇氏 개령 지방)
- 무차구씨(戊次仇氏 개령 지방)
- 달오구씨(達烏仇氏 개령 지방)
- 창녕구씨(昌寧仇氏)
- 은율구씨(殷栗仇氏)
- 흥구씨(咸興仇氏)
3) 시대별 유명인
① 신라시대(통일신라시대)
- 구도(仇道) : 신라의 파진찬, 촤우군주, 갈문왕
- 구수혜 : 신라의 일길찬, 좌우군주
- 구리내(仇里迺) : 신라시대의 일리촌간(一利村干)
해동지도에 영천편에 구리내면 지명도 있다(인명을 지명으로 사용)
- 구천(仇天) : 이벌찬(486년)으로 국정을 총괄
- 구지포례(仇遲布禮): 파진찬(541년), 상대등(576년)
545년 신라왕조의 역사서인 《국사(國史)》를 편찬, 구천의 아들
- 구진(仇珍) : 신라시대의 대각간(大角干)
- 구토함(仇吐含) : 신라의 화랑, 사다함의 형, 경주에 토함산이 있다.
- 구사다함(斯多含) : 신라의 화랑 및 풍월주(風月主), 귀당비장(貴幢裨將)
- 구진천(仇珍川) : 신라시대의 사찬(沙飡)
- 구근(仇近) : 신라시대의 사찬(沙飡)
- 구사(仇史): 구사산성(仇史山城)의 제군사(諸軍事) 역임
② 고려시대
- 구성길(仇成吉): 의안군(義安君), 창원 구씨 시조(始祖), 일명 구진(具鎭)
광평성 시중, 나주도대행대 시중
서경유수관 시중, 내의성에 내의령 역임
字가 완지(完之), 택지(澤之)이며 完은 완산 지명에서 따왔고
완택산은 영월에 있는데 完字와 澤字를 합하여 山名이 되었다.
- 구희(仇喜) : 일명 구족달, 원봉성대조, 흥문감경, 내의성에 내의령
- 구승(仇勝): 형부상서 역임
- 구대(仇代): 탁라 성주, 배융부위(陪戎副尉), 유격장군(遊擊將軍)
☞ 고려초에 사성으로 具字를 사용한 관계로 仇字로 기록한 인물은 많치않다.
③ 조선시대
- 구종길(仇宗吉): 창원 구씨 중시조(中始祖)
세종조 집현전 정자, 집현전 직제학, 집현전 제학, 의정부 대광보국숭록대부 영의정부사겸영사
세종대왕 사부(王師) 역임, 도은(陶隱) 이숭인(李崇仁)의 조카가 된다.
◈ 언문창제(諺文創製) : 서기 1443년 이전에 완성으로 집현전 학사들의
3년간 공론을 거처 서기 1446년 반포시에는
훈민정음으로 명명하여 세상에 알여지게 되었다.
◈ 대전제률(大典諸律) 편찬, 종묘제례악(宗廟祭禮樂) 편찬,
한당송문장선집 번역, 성균관에서 주역(周易) 강론
- 구원길(仇元吉) : 회령도호부(會寧都護府)의 기관(記官), 조선의 공사(貢使)
구원길 작성시 :
중국 땅서 국장사 시집 구해 가지고 와 / 中朝携得菊莊詞
읽고 나자 연기와 놀 바닷가를 비추누나 / 讀罷煙霞照海湄
북우의 풍류를 어디에서 찾을 건가 / 北宇風流何處所
쇠젓대 한 소리에 그리운 맘 일어나네 / 一聲鐵笛起相思
- 구복한(仇復漢): 부사공파 파조(派祖), 충청도 도사
강계도 중익병마도절제사겸판강계도호부사, 전라도 병마도절제사
중추원 영중추원사, 의정부 좌의정
의정부 대광보국숭록대부 영의정부사겸영사 역임
- 구동직(仇東直): 승지공파 파조(派祖)
승지 역임, 의정부 대광보국숭록대부 영의정부사겸영사 역임
- 구유온(仇有溫) : 밀성도호부 향교 훈도관, 창원도호부 교수관,
회산군 군수 역임, 밀양 영남루중수상량문 작성
- 구사원(仇士元) : 무과 급제, 내금위 어모장군 역임
- 구숙람(仇淑覽) : 무과 급제, 별시위, 경차관, 충순위 어모장군 역임
- 구자평(仇自平): 함경도 도사, 예조정랑, 사헌부장령
청풍군수겸충주진관병마동첨절제사 역임
- 구덕유(仇德裕) : 문과 급제, 남양부사 역임
- 구정열(仇廷說): 선조조 홍문관 교리 역임
- 구응진(仇應辰) : 무과급제, 제포 만호, 선무원종공신, 정(正) 역임
- 구응삼(仇應參) : 무과급제, 선무원종공신, 훈련원(訓練院) 첨정(僉正) 역임
- 구응성(仇應星): 선조조 당상관, 훈련원 주부, 선무원종 공신
- 구지(仇之) : 전주 판관, 나주 목사, 선무원종 1등 공신
- 구청노(仇靑老) : 무과 급제, 훈련원 첨정 역임
- 구진립 : 무과 급제, 훈련원 첨정, 녹도 만호 역임
- 구영취 : 무과 급제, 금군, 선무원종공신, 선락장군훈련원 첨정 역임
- 구창민(仇昌敏) : 문과 급제
통정대부절충장군행용양위부호군(通政大夫折衝將軍行龍驤衛副護軍) 역임
- 구만직(仇萬直) : 가선대부 동지중추부사 역임, 만석군
- 구시덕(具始德) : 구곡동에 회화나무를 식수
회화나무는 느티나무, 괴목 槐木, 규목 槻木,
學者樹 SCHOLAR라 칭한다.
빈지보 홍수로 인하여 자비로 재건축과 농수로 7리 개수
- 구억령 : 무과 급제, 절충장군 역임
- 구시방(具始芳) : 유격장(游擊將) 역임, 금위영 교련관 절충장군 역임
- 구시창(仇始昌) : 서기 1791년 사성을 받았고 훈련도감의 교련관 역임
- 구대혁(仇大赫) : 기위무과 급제, 선전관청 부선전관 역임
- 구옥한(具玉翰 구옥연) : 선략장군 가배량 만호 역임, 고령 현감 역임
- 구영필 : 무과 급제, 선전관청 선전관 역임, 이진(梨津) 만호 역임
④ 대한민국
- 구용서 : 한국은행 초대 총재, 상공부 장관 역임
- 구용현 : 부산시 교육감, 제11대 국회의원 역임
- 구종태 : 한국세무사협회 회장, 제16대 국회의원 역임
- 구영록 : 서울대학교 교수, 국제정치학회장 역임
- 구상진 : 변호사, 서울시립대 로스쿨 원장 역임
- 구영보 : 우정사업본부 본부장, 제9대 컴퓨터프로그램보호위원회 위원장 역임
- 구경헌 : 한국전자파학회 회장 역임, 인천대학교 전자공학과 교수
- 구경룡 : 포스코인터내셔널 상무, 포스코인터내셔널 식량소재본부장 역임
- 구상훈 : 경남무형문화재 제6호(마산농청놀이좌상)
- 구옥회 : 해군사관학교 33기, 제48대 해군사관학교 학교장 역임, 중장
- 구원근 : 육군사관학교 42기, 초대 육군동원전력사령관 역임
한국열린사이버대학교 교수
- 구도권 : 공군사관학교 학사,경상남도청 기획조정실장 역임
경남도립남해대학 총장, (주)경남무역 대표이사 역임
- 구현옥 : 전 안락서원 원장, 창원구씨대종회 회장 역임
- 구연수 : knn기술국장, 부산영어방송 초대본부장 역임
- 구경철 : 스틱인베스트먼트 부사장, 공인회계사
- 구상찬 : 제18대 국회의원, 주상하이 총영사 역임
- 구형준 : 서울과학기술대학교 화공생명공학과 교수
- 구자근 : 제21,22대 국회의원
- 구영태 : 청와대 경호처장, 에너지관리공단 부이사장 역임
- 구정화 : 경인교육대학교 사회과교육과 교수
서울대학교대학원 사회교육학 박사
- 구병삼 : 콜로라도대학교대학원 행정학 졸업
통일부 대변인, 통일부 남북협력지구발전기획단 단장
- 구영민 : 특허청 기획조정관
- 구창근 : ENM 엔터테인먼트부문 대표이사 역임
- 구병욱 : 제주국제자유도시개발센터(JDC) 투자사업본부장
- 구남수 : 부산가정법원장, 울산지방법원장 역임, 변호사
- 구영덕 : 영남대학교대학원 경영학 박사,
동원과학기술대학교 호텔관광경영과 교수
- 구상규 : 현대고시빌 대표、대숲맑은와우농장 대표
- 구정길 : 대한분체(주) 회장、대한분체(주) 대표이사
한국석회석가공업협동조합 이사장 역임
- 구성종 : 20사단 포병여단장, 중앙대학교 학군단장
서울대학교 학군단장 역임(대령)
- 구대진 : 고성군산림조합 조합장, 새고성라이온스클럽 회장
- 구윤철 : 국무조정실 실장, 경제부총리겸기회재정부장관
- 구홍모 : 육군사관학교 40기、육군 수도방위사령부 사령관
육군 참모차장(중장) 역임
- 구형문 : 의학박사, 건양대학교 병원
- 구형근 : 고려대학교, 변호사
- 구형준 : 서울대학교 졸업, 국립서울과학대학교 교수
- 구진숙 : 동국대학교 졸업, 국립안동대학교 교수
- 구창휘(具昌輝) : 서울대학교 대학원 약학박사
합동정밀화학 의약품합성부 부장 역임, 부광약품 부사장 역임
퍼슨 부사장 역임, 하나제약 연구관리본부장(현)
- 구창덕 교수 : 오리건주립대학교 대학원 임학박사
충북대학교 농업생명환경대학 산림학과 교수
- 구상화(具相和) : 부산대학교 기계공학과 박사
국방과학연구소 책임연구원
- 구정훈(具廷勳) : 한양대학교 의공학과 박사
계명대학교 의용공학과 교수 재직
- 구문굉 : 서울대학교 졸업, 해병학교 사관 35기 임관
해병대 대위로 예편, 인헌 무공훈장. 월남 은성 무공훈장 수여
국내기업 및 다국적 기업 임원과 대표이사 사장 역임
- 구헌상 : 서울대학교 출신, UC버클리대학대학원 박사
부산지방국토관리청 청장(제55대) 역임
국토교통부 종합물류정책관 역임, 주바레인대사관 대사(현)
- 구원근 : 육군사관학교(42기) 졸업, 육군 제2작전사령부 동원처장 역임
육군 제36보병사단 사단장 역임, 육군본부 동원참모부장 역임
육군 동원전력사령부 초대 사령관(소장) 역임, 한국열린사이버대 학과장(현)
- 구삼옥 : 공학박사, 한국항공우주연구원 스마트무인기사업단 무인체계팀장
한국무인기시스템협회 부회장
- 구양모 : 공학박사(세천문중), 포항공과대학교 신소재공학과 교수
- 구영훈 : 부산대학교 졸업, 플로리다대학교대학원 출신
롯데삼강 감사 역임, 롯데푸드 상근감사 역임, BNK금융경영연구소 소장
- 구영민 : 해군사관학교 출신, 해군헌병단 단장 역임, 동여주 CC 대표
- 구상초 : 세무대학교 졸업, 구상초세무회계사무소 운영
- 구은영 : 경찰대학교 9기 졸업, 서울경찰청 경무부 총경 역임
안양동안경찰서 서장 역임, 경찰청 디지털포렌식센터장(현)
- 구영창 : 교육학 박사, 교육과학기술부 서기관 역임
한국방송통신대학교 부이사관 역임
- 구권호 : 중앙대학교 산업경제학과 졸업, 동 대학원 경영학 석사
한국산업안전보건공단 경영기획실 실장 역임
경기서부지사 지사장 역임
한국산업안전보건공단 대구지역본부 본부장 역임
제19대 안전보건공단 인천지역본부 본부장 역임
포스코건설 안전보건센터 수석자문위원
- 구남수 : 서울대학교 졸업, 박사, 변호사
부산가정법원 법원장 역임, 울산지방법원 법원장 역임
울산광역시 선거관리위원회 위원장 역임
- 구봉현 : 경남농협지역본부장 역임
농협자산관리(주) 대표이사 역임
- 구형우 : 한양대학교 졸업, 한솔그룹 총괄 부회장 역임
페이퍼코리아 회장 역임
- 구병수 : 한의사 교수, 한방신경정신과학회 회장 역임
일산동국대한방병원장 역임, 동국대학교 한의과대학 한의학과 교수
- 구인옥 : 字는 태원(太源)
號는 구륜당(九倫堂 九崙堂), 능화재(綾華齋), 청대정(靑臺亭), 구곡(九谷 仇谷)
국립부산수산대학교(국립부경대학교) 機關學科 공학학사
(사)창원시아파트입주자대표회의연합회 이사 역임
아파트입주자대표회의 회장 역임
기관학과총동창회 총무 역임
창원구씨역사연구회 회장(카페지기)
부경시험기 대표
5. 昌原仇氏의 世譜刊行沿革
임오보(壬午譜) 간행연도 : 1762년 영조(英祖) 38년
주 간 : 泰琮(두릉문중)
참 고 : 최초의 창원구씨(昌原仇氏) 보책
창원구씨(昌原仇氏)의 뿌리를 영구 보존할 수 있는 계기(契機)를 마련함.
정사보(丁巳譜) 간행연도 : 1797년 정조(正祖) 21년
주 간 : 雲龍(應參係 대구 세천문중, 후손은 능성구씨로 둔탁), 聖倫(사상문중)
참 고 : "백성의 족보(族譜)는 국사책과 같으니 어찌 중대하지 않겠습니까?”
라는 글을 예조정서에 올렸으며,
서기 1971년 정조왕으로부터 仇姓에서 具姓으로 사성에따라
일성록, 승전원일기, 정조실록, 사성연교문 등에 사성(賜姓) 관련
내용을 등재(登載)함으로 확고한 문적(文蹟)을 남김.
갑자보(甲子譜) 간행연도 : 1930년 발행
주 간 : 泰煥(송산문중), 在航(두릉문중)
참 고 : 133년간 단절된 보책을 다시 발간 함으로서 구씨의 뿌리를 보존을 함.
을미보(乙未譜) 간행연도 : 1955년 건국(建國) 8년
주 간 : 在航(두릉문중), 玎熏(송산문중)
신유보(辛酉譜) 간행연도 : 1981년 건국(建國) 34년
주 간 : 永學(용정문중), 永善(의령문중)
신사보(辛巳譜) 간행연도 : 2001년 건국(建國) 54년
주 간 : 賢鈺(동래문중), 泰鎭(두릉문중), 在雲(송산문중)
6. 창원구씨 항렬표
17 世 | 18 世 | 19 世 | 20 世 | 21 世 | 22 世 | 23 世 | 24 世 | 25 世 |
東○ | ○煥 ○熏 | 在○ 載○ | ○鎭 ○鈺 | 永○ | ○根 | 炳○ | ○孝 | 鍾○ |
26 世 | 27 世 | 28 世 | 29 世 | 30 世 | 31 世 | 32 世 | 33 世 | 34 世 |
○洙 | 相○ | ○烈 | 時○ | ○鉉 | 演○ | ○業 | 炯○ | ○均 |
작성인 : 昌原后人 綾華齋
작성일자 : 2025.09.13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