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양사 운문암(白羊寺 雲門庵)
+++++++++++++++++++++++++++
산사를 여기저기 둘러볼 생각도 없다.
그렇게 절을다녔지만
마음이 이렇게 차분하고 아무것도 하고 싶지 않고
그 자리에 앉아있는 것만으로도
이렇게 행복하고 마음이 푸근해보기는 처음이다.
전생에 많은 복덕을 짓고,
이생에 인연이 있어야만
한 번쯤 가서 앉아 볼 수 있다는
백양사 운문암을 찾아 간다니 마음이 설렌다.
그도 그럴 것이
북에는 마하연, 남에는 운문선원을
꼽을 정도로 알려진 유명한 선원이 있으며,
남에서도 태고사, 월명암등과 함께
운문선원의 氣는 알아준다고 한다.
또한 속가 사람들은 특별한 인연이 아니고는
이곳 선원 출입은
금지되어 있는 곳이기에 더욱 그렇다.
운문암은
전라남도 장성군
백암산 상왕봉 아래에 있는 암자이다.
전남 장성 백양사 운문암(雲門庵)
운문암은
전라남도 장성군 북하면 약수리 243번지에 위치한
대한 불교 조계종
제 18교구 본사 백양사의 산내 암자이다.
운문암은
백양사가 창건될 즈음에 함께 세워졌다는
이야기가 전해오나 그 정확한 시기는 알 수 없다.
백암산 꼭대기인
상왕봉 아래에 자리한 운문함은
서옹스님 등 많은 큰 스님들이 머물렀던 곳으로
선방스님들이 앞을 다퉈 찾아드는 곳이다.
여름, 겨울 정진 때 선객이라면
한 철 공부하고 싶어하는 도량으로 널리 알려져 있으며
백양사 운문암은 옛부터
많은 선지식이 정진하신 곳이다.
고려시대 때 부터 있었으며
전설로는 진묵대사님도 정진하시였고
1910년 경에는 용성스님도 정진하시였다고 한다.
6.25사변으로 모두 불타고
현재는 1980년대의 불사라고 한다.
6.25사변때 국군이 올라와서 불 질렀는데
불지르려고 올라온 군인 하나가 반대했다고 한다.
그리고
운문암을 불지르고 내려가던 국군은
인민군을 만나 몰살당했는데
불지르는것을 반대한 한 사람만 살았다고 한다.
그 생존자가 80년대 까지
일년에 서너번 올라와서 그 이야기를 했다고 한다.
백암산 꼭대기인 상왕봉에 자리한 운문암은
고려 충정왕때 각진국사가 개창한 이래
수도 도량으로 알려진 곳이며,
서산, 진묵 스님이 머물렀고,
조선시대의 벽송, 정관, 백파스님으로부터
근대의 학명, 용성, 인곡, 석전, 만암, 고암,
석암, 금포, 석전한영 스님 등이 정진했고,
그리고 서옹스님에 이르기 까지
많은 큰 스님들이 머물렀던 곳으로
남전, 인곡, 운봉, 법전스님도 이곳을 거쳐 갔다.
근대에 들어서도 교정과 정종 7명을 배출했다.
한때 백파선사의 설법으로 유명했으며
이 나라 선불교의 법통을 이어온
큰스님들이 주석하여 수행과 교화를 하였던
참선도량의 전통을 이어 오고 있다.
지금도
선방스님들이 여름, 겨울 안거 정진 때
최고의 선도량인 운문암을 앞 다투어 찾아들고 있다.
선객이라면
한 철 공부하고 싶어하는 참선수행 도량으로
널리 알려져 있다.
운문암 앞에서 멀리 보이는 많은 능선은
200봉의 군신들이 머리를 조아리고 있는 모습이고
맑은 날에는 광주 무등산이 잘 보인다.
아침에 구름이 끼면 저 산 밑에서
구름이 머물러 운문암이라 한다.
(구름이 문을 만들다.)
한국 전쟁 때 소실된 운문암을 되살린 것은
조계종 5대 종정을 지낸 서옹스님(1912-2004)이다.
선원을 다시 열면서 예전의 명성을 다시 되찾았다.
또한
진묵대사의 전설이 담긴 흙부처로도 이름나 있다.
[진묵대사와 진흙부처]
진묵대사(진묵 일옥 : 1562~1633)라 하면
승속간에 잘 알려진 큰스님으로
조선 조중기의 스님이다.
스님께서 운문암 불사 때에 오셔서
다각(차를 끓이는 소임) 책임을 맡고 계셨다.
하루는 신장단에 차를 올렸는데,
그날밤 대중스님들의 꿈에
신장이 나타나서 하는 말이
"우리는 호법신장으로서 불보살을 보호해야 하는데,
도리어 예를 받게 되니
마음에 황송스러움을 금키 어려우니
차 소임을 바꿔달라"고 부탁하는 것이다.
그래서, 대중스님들이 의아심을 갖고 있는데
그날 동네 나무꾼이 와서 하는 말이
우리가 비자를 딸 때
어떤 남여 두 사람이 희희낙낙한 얼굴로
운문암을 향하여 올라가더니
얼마 안되서 대성 통곡을 하며 내려오는 것을 보고
이상히 여겨 그 사유를 물으니
하는 말이
"우리가 영원한 안식처를 삼기 위하여
운문암에 갔더니
일옥이란 스님이 뜨거운 불로
우리가 범접치 못하게 하므로
화독을 못이겨 쫓겨온다"
고 하는 말을 스님들에게 전했다.
대중들은 어제밤 꿈과 다르지 않음을 알고
진묵 일옥대사가
화관 삼매에 든 법력이 높은 스님임을 깨달아
부처님처럼 예우하고
불사의 중명법사로 모시고
산중의 조실스님으로 추앙하였다.
불사가 회향됨에
조실스님은 대중에게 이르시길
"내가 다시 와서 불사를 하기 전에는
불신(부처님)에 손을 대지 말라" 하였다.
그리하여 운문암 불상은
개금(부처님몸에 금을 입히는것)을
하지 않았다 한다.
그런데 6·25 전쟁때 운문암이 불에 타고 있을때
상주하던 스님이
부처님을 업고 밖의 바위에다 모셨는데
잠시 후 부처님이 보이지 않았다고 한다.
지금도 그 부처님을 볼 수가 없으며,
진묵대사가 다시 오면 볼 수 있다고 전해진다.
÷÷÷÷÷÷÷÷÷÷÷÷÷÷÷÷÷÷÷÷÷÷÷÷÷
머물고 싶은 절집, 운문암을 찾아
+++++++++++++++++++++++++++
산사는 졸고
노승은 방문을 활짝 열어둔 채
먼 토굴에 면벽하러 가고 없고
새까마니 그을은 툇마루에서
막 바랑을 풀던 객승 하나
낯선 인기척에 놀라 사방을 두리번거린다
쏘내기 소리로
딱! 이마를 치며 다가서는
커다란 앞산 그리메를 본다.
- 이시영 <고사운> 중에서
북엔 마하연이요 남엔 운문암이라
속세를 떠나
조용히 불도를 닦는 방을 선방이라 하고,
그 사원을 선원이라 하며,
그 장소를 선불장(禪佛場)이라 한다.
백양사에는 백양사보다 유명한 선원이 있다.
예로부터 '북 마하연, 남 운문'하여
한반도 북쪽에서는
금강산 마하연 선방 만한 곳이 없고
남쪽은 백암산 운문암 선방이 가장 좋다는 말이다.
전국의 선원을 두루 섭렵한
운수 납자들의 입에서 오르내린 평가이기에
가장 공정한 관점을 반영한 것이리라.
쌍계루 지나 부도밭을 끼고 도는 길을 따라
왼편 백양사 본사로 이어지는 길을 버리고
산길로 오르는 길이 운문선원 길이다.
큰절에서 운문선원까지는 약 4㎞.
오르막 내리막이 되풀이되는
콘크리트 포장도로를 올라가는 길은
구도의 길만큼이나 멀고도 길지만
햇빛이 들지 않을 만큼
울창한 활엽수와 비자나무 숲으로 인해
결코 단조롭거나 지루하지 않다.
국기단을 지나면서
천연기념물 153호로 지정된
비자나무 숲과 만나게 되는데
비자나무 특유의 향과
실핏줄까지 파고드는
순도 100%의 신선한 산소로 졸도(?) 직전이다.
운문암에 오르면
백암산 계곡이 한 눈에 굽어보인다.
시야가 열렸으되 허허롭지 않고,
안온하되 답답하지 않아
그냥 그곳에 오래오래 머물고 싶은 곳.
처음 온 곳인데도
언젠가 꼭 한 번 와 본 적이 있는 것 같이 익숙한 곳.
무릎 높이의 대울타리가
소담스러운 운문암 마당에 서면
왜 이곳이 선승들이 가장 선호하는 선방인 줄을
비로소 알 수 있을 것 같다.
지리산을 향해
곧장 남으로 숨가쁘게 치닫던 백두대간은
남덕유산 근처 영취산에서
서북으로 방향을 틀어
장안산과 마이산, 고당산을 거쳐 내장산에 이르러
장군봉과 신선봉을 솟구치게 하고
호남정맥을 형성, 잠시 숨을 고른다.
숨을 돌린 호남정맥 줄기는 새재를 넘어
전남.북의 도계를 나누며
상왕봉 백학봉에 이르니
여기가 곧 호남정맥의 중심 백암산이다.
호남 제일의 길지 이곳 백암산 자락에
선풍 도량 백양사가 둥지를 튼 것은
너무 자연스러운 일이라 하겠다.
백양사는
백제 무왕32년 서기632년에
여환 조사가 개창한 천년 고찰이다.
이후 수 차례에 걸쳐
백암사, 정토사 등으로 이름이 바뀌다
조선조 선조 때 환양선사에 의해
백양사로 바뀌어 오늘에 이르고 있다.
백양사 운문암은
한국 불교를 대표하는 선원으로
한국 불교사에서 그 이름만으로 빛을 발하는
소요, 진묵, 백파 선사를 비롯해
근래에 들어서만도
용성, 석전, 만암, 서옹 등
헤아릴 수 없이 많은 고승들을 배출시켰다.
또한 백양사는
1947년 만암스님께서 개창하신 고불총림을
최근에 다시 복원,
경·율·론 삼장의 가르침을 펴는
사격 높은 총림 사찰이기도 하다.
뿐만 아니라 백양사는 민족 수난기에
언제나 이 땅의 민중들과 함께 호흡하며
그들의 아픔에 동참하는 빛나는 전통을 지니고 있다.
동학농민 전쟁을 비롯하여
수 차례에 걸친 의병운동에도
방관하거나 비켜서 있지 않았기에
현재 백양사에는
국보나 보물급 유물이 하나도 남아 있지 않다.
이는 백양사의 빛나는 전통이며
자랑이지 결코 부끄러운 일은 아닐 것이다.
여행의 마무리
사실 백암산 자락엔
골도 깊고 숨겨진 암자도 많다.
천진암, 청류암, 영천암, 약사암 등
아직 언급도 못한 암자들까지 찾아가려면
하루 일정으론 어림없다.
또한 사자봉 상황봉을 거쳐
백학봉으로 이어지는 산행 코스도
결코 놓쳐서는 안될 코스다.
두 뺨을 스치고 지나가는
서늘한 바람의 향기를 만끽하며 걷는 행복한 산책은
6월 저녁이 참 좋다.
초여름 백양사는 지금 눈부시게 아름답다.
ㅡ 오마이뉴스(시민기자),
첫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