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대 | 회장 | 기 간 | 중점 추진 사업 |
1~5대 | 이우룡 | 1951.12.26. ~1961.4.2. | 회세 정립기 한의사 제도 확립을 위해 헌신적인 공헌 사단법인 대한한의사협회 설립인가(1959.12.11.) |
6대 | 권오진 | 1961.4.13. ~1962.4.30. | 한의약 발전을 위한 초석을 다짐 |
7대 | 박천래 | 1962.5.1. ~1962.12.31. | 한의사 제도 의공 경남한의사회에서 부산시한의사회 독립 |
8~12대 | 배기록 | 1963.1.1. ~1972.3.31. | 경남한의사회의 새로운 전기 회세 확장을 위한 한의학의 존엄성과 의권수호 |
13~14대 | 문달옥 | 1972.4.1. ~1976.3.31. | 한의약의 우수성 의권사업 및 회원 권익 신장 |
15대 | 김인수 | 1976.4.1. ~1978.3.31. | 한의약을 국민속으로 지역의료창달 |
16~18대 | 이헌정 | 1978.4.1. ~1984.3.31. | 각종 사무자료 및 서류 보완 등 회무활성화를 위한 노력, 침구사법, 약사의 한약임의조제 반대(1981.8.22.) |
19~20대 | 전성열 | 1984.4.1. ~ 1988.3.31. | 웅비하는 경남한의사회, 불법의료행위 척결, 한방의료보험 시범사업(청주·청원지역)실시(1984.12.1) ‘漢醫學’명칭표기를 ‘韓醫學’으로 수정(1986.4.9.) 한방의료보험 전국 확대 실시(1987.2.1), 제11회 전국한의학학술대회 개최(1987.10.17.) |
21~23대 | 장이수 | 1988.4.1. ~1994.3.31. | 제1회 회원 단합 체육대회(1988.6.19.), 경남한의회지 창간호 발간(1989.2.19.), 도회관 부지 마련(1990.1.4., 내서읍 중리 170평), 경남한의사신협 설립(1992.3.9. 재무부장관 인가), 한약분쟁 발발(1993.2.20. 약국 내 재래식 한약장 철거조항 삭제) 한약사제도 도입(1994.1.7.) |
24~25대 | 고용석 | 1994.4.1. ~1998.3.31. | 한약분쟁 대처 의권수호 궐기대회, 도회관 마련(오동동 17-135 가고파오피스텔 403호) (1996.5.1.) 제1회 밀양얼음골동의제(1996.8.25.) 봉행, 보건복지부 한방정책관실 출범(1997.1.1.), 경남한의사회에서 울산광역시한의사회 독립 (1997.7.15.) |
26~28대 | 진송근 | 1998.4.1. ~2004.3.31. | KBS 및 영‧호남 교차 의료봉사(1999.4.23. 거제 가조도, 4.30 여수 묘도, 1998.10.16 통영 사량도, 10.29 사천시 실내체육관) 제1회 보건복지부장관기 전국한의사축구대회 (2000.10.15) 제1회 지리산한방약초축제(2001.5.4.~5.13) 농촌한방의료사업 협력 조인(2001,11,6) 제1회 한의사전문의 자격시험(2002.1.18.) 제1회 경남한의사회장배 골프대회(2002.5.9.) 6년간 회비수납 전국1위 기념 금뱃지(18K)전회원 배포(2,500만원 상당, 2003.2.25.) 밀양얼음골 동의각 사당 건립(2003.7.2.) (사)대한한의사협회 전국시도지부장협의회 결성 (초대, 2대 회장) |
29대 | 신동민 | 2004.4.1. ~2005.8.31. | 임원 LT(2004.4.10.~11), 의약단체장 모임, IMS 대처 및 의권수호, 각종 한의의료봉사, 학술 워크샵, 제1회 함양산삼축제(2004.6.19.) |
30~31대 | 윤진구 | 2005.9.1. ~2008.3.31. | 명사초청강연 도입(2005.11.23.) 미스한방 경남선발대회(2006.4.26. 19:00 마산실내체육관) 제1, 2회 경남한의학박람회 (창원 CECO, 2006.8.24.~27, 2007.8.23.~26), 밀양얼음골 동의각 서재와 기념관 완공(2007.7.1.) 부산대학교 한의학전문대학원 개교(2008.3.2.), 각종 한방관련 축제 활성화(밀양, 산청, 함양), 한의약 육성발전 5개년 종합계획 추진 |
32~33대 | 박종수 | 2008.4.1. ~ 2013.3.31. | 산청군 MOU 체결(2008.10.7.), 명사초청강연(2008.11.6.) 21C 한국 한의학의 발전방안 모색(2008.11.7.), 사랑의 한약전달(2009.10.21., 2011.1.25.) 동의보감 유네스코 세계기록유산 등재(2009.7.31.), 한방가이드북(한방은 우리 집 주치의입니다.) 발행(2011.12.1.), 해외의료봉사(2009 우즈베키스탄, 2010 카자흐스탄, 2012 필리핀 등 13회), 불법의료행위 척결(203건) |
34대 | 박준수 | 2013.4.1. ~ 2016.3.31. | 2013산청세계전통의약엑스포 (2013.9.6. ~ 10.20, 45일간), 부산대학교 한방병원 MOU 체결(2013.7.25.), 전국한의사 클럽대항전 축구 우승(2013.4.14.) 제8회 보건복지부장관기 전국한의사축구대회 준우승(2014.9.14.) 제2회 NC다이노스와 한의사의 날(2015.7.25.) 난임부부 한의치료 지원사업 경남도청예산 편성 (2015.12.18.) |
35대 | 조길환 | 2016.4.1. ~ 2019.3.31. | 경남 웰니스 관광산업 육성협약 체결(2016.3.16.) 제12회 대한민국 청소년 박람회(2016.5.12.~15) 제9,10회 보건복지부장관기 전국한의사축구대회 우승 (2016.10.16., 2018.9.30.) 타이페이에서 핑둥현 중의사공회 MOU 체결 및 ICOM 참석(2018.3.17.~18) MBC경남 자동차보험 및 추나요법 라디오방송 홍보 (2019.1.30.~2.28) 어르신 건강증진 한약전달(폭염 예방, 2018.8.9) 난임사업비 100% 및 치료비 지급 100% 증액 (2018.12.14.) 추나요법 급여 사전교육(2019.1.12.)및 건강보험 적용 제3, 4, 5회 NC다이노스와 한의사의 날 (2016.7.30., 2017.6.10., 2018.6.2.) 경남한의사회 연혁 바로세우기(2019.2.16.) |
36~37대 | 이병직 | 2019.4.1. ~2025.3.31. | 추나요법 건강보험 급여(2019.4.8.~) 혈액검사 교육(2019.6.7.), 회원 및 가족 어울림마당(2019.10.20.) 제6, 7, 8, 9회 NC다이노스와 한의사의 날 (2019.7.13., 2022.7.2., 2023.9.24., 2024.7.13) 난임부부 한의치료 지원사업 선정기준 완화 (도내 거주하는 난임부부로 난임검사 상 기질적 이상소견이 없는 난임 여성·남성) 한약(첩약) 건강보험 시범사업 실시(2020.11.20.) (사)대한한의사협회 전국시도지부장협의회장 (2021.6.26.) 경상남도 한방난임치료 지원 조례안 통과 (2021.09.09.) ‘한의찬가’ 경남한의사회 공식 찬가 채택(2021.11.16.) 경남한의사회 70년사 출판기념식(2022.10.29) 제11회 보건복지부장관기 전국한의사축구대회 (2022.10.30.) ‘한의사가 초음파진단기기를 활용해 진단에 참고한 행위를 의료법 위반으로 처벌할 수 없다’는 대법원 판결 (2022.12.22.) 한의사의 엑스레이 골밀도 측정기 사용은 합법 판결(2023.9.13.) 2023산청세계전통의약항노화엑스포 혜민서 운영 (2023.9.15.~10.19, 35일간) 2023한의혜민대상-2023산청세계전통의약항노화엑스포 혜민서 자원봉사단 혜민대상 특별상 수상 (2023.12.12.) 첩약건강보험 2차 시범사업 시작(2024.4.29.) 레이저 강의(2024.7.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