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명식(命式)작성법.
四柱學을 공부하기 위해서는 연월일시(年月日時)를 육십갑자(六十甲子)로 변환시키는 작업이 필요합니다. 이 작업에 빠져서는 안 되는 것이 한 가지가 있는데, 바로 만세력(萬歲曆) 이라는 책입니다.
만세력은 매년과 매월 매일의 일진(日辰)을 기록한 일종에 명리학적 달력이라고 보면 됩니다.
시중서점에 가보면 역학관련 분야에 만세력과 관련된 책을 많이 찾아 볼 수가 있습니다. 그 중에 취향에 맞는 것으로 골라서 사주학을 공부할 때는 항상 지참 할 수 있도록 해야 합니다.
자신의 시력이 좋다면 포켓용으로 나오는 만세력도 간편하고 휴대하기 좋으므로 필자는 포켓용 만세력을 추천합니다.
요즘에는 인터넷의 보급으로 생활이 참으로 편리해 졌습니다. 인터넷에서 역학관련 웹페이지를 방문하다 보면 쉽게 만세력을 찾을 수가 있습니다. 그 프로그램에 연월일시만 입력하면 컴퓨터가 알아서 계산해 주는 주므로 아주 편리하다고 할 수가 있습니다. 그러나 처음 입문하는 초보적인 입장이라면 책으로 찾아 가면서 공부하는 것이 좋습니다.
일단 사주작성법에 대해서 알아보기 이전에 잠깐 간략하게 四柱의 기본적인 용어들을 살펴볼 필요가 있습니다. 흔히 사람들은 사주팔자(四柱八字)라고 들 하는데 왜 사주학을 속칭 사주팔자라고 부르는지 행여 모르는 학습자 들을 위해 간략하게 뜻과 四柱에서 쓰이는 용어들을 살펴보겠습니다.
四柱는 넉 사자에 기둥 주 즉 네 가지 기둥으로 이루어지고, 八字는 말 그대로 八字 여덟 가지 글자라는 뜻. 여덟 글자로 이루어진 네 가지 기둥이란 뜻입니다. 우리가 四柱를 풀기 위해 얻어야 하는 정보는 의뢰인의 生年月日時 이 네 가지를 가지고 풀게 되는데 그 네 가지를 六十甲子변환하여 사주학적 도표를 만들게 되는데 이 도표를 명식(命式)이라고 부릅니다.
時日月年
甲甲甲甲-----------------> 天干 (윗줄이 天干이 들어가는 부분)
子子子子-----------------> 地支 (아랫줄이 地支가 들어가는 부분)
위와 같이 표기하니 네 가지의 기둥이 나오게 되는 것입니다. 이렇게 一柱씩 모두 四柱. 그래서 四柱라는 명칭이 붙여지게 된 것입니다.
그리고 그 四柱는 8가지 글자의 조합이므로 한 개의 주마다 글자가 두 개씩 배당이 됩니다. 아주 알기 쉽게 수학적 공식으로 표기해보면..
4柱 X 2字 = 8字.
명식(命式)에서 부르는 명칭.
태어난 년도의 天干과 그 밑의 地支를 보고 한 기둥 1주라고 칭하는데 年月日時의 네 가지 기둥 중 년(年)만 따로 부르는 것을 年柱(년주)라고 부릅니다.
時日月年
○○○甲 ----------> 이렇게 年干과
○○○子 ----------> 年支를 합쳐서 年柱라 칭한다.
그렇다면 月만 따로 부르는 것은 月柱가 되는 것입니다.
年柱에 있는 天干을 年干 이라 칭하며, 年柱에 있는 地支를 年支라 칭합니다.
※이러한 상황에서 유추해 본다면 日干이 어디에 위치하는지는 능히 짐작할 수 있을 것이다. 命造의 주인을 日干으로 보는데 바로 日干이 자기 자신을 뜻한다. 일간의 각 특성적인 성향은 사주의 주인이 가장 많이 영향을 받는 것 이므로 일간 자체에 대한 이해도 상당히 중요하다. 각자 자기 四柱에서 日干이 무엇인지 쯤은 알아본 후에 학습을 하는 것이 효과가 좋다.
다시 본론으로...
양력 2004년 2월 4일 21시. 음력 2004년 1월 14일 21시.
(위의 날짜를 연습 삼아서 사주를 작성해 보도록 한다.)
년주(年柱)를 세우는 방법.
년주(年柱)는 태어난 해의 간지(干支)로 정합니다.
예로 2005년에 태어난 사람의 년주(年柱)는 을유(乙酉)이며 2004년에 태어난 사람의 년주(年柱)는 갑신(甲申)이고 1969년에 태어난 사람의 간지(干支)는 기유(己酉)입니다.
여기서 주의해야할 점은 사주(四柱)는 계절학으로 절기(節氣)를 채용하므로 양력 1월 1일이나 음력 1월 1일이 간지(干支)가 바뀌는 시점이 아닙니다.
즉 입춘(立春)이 지나야 당해 간지(干支)를 쓸 수 있는데 예로 2004년에 입춘(立春)은 양력 2월 4일(음력 1월 14일) 20시 55분으로 양력 2004년 2월 4일 20시 54분에 태어났다고 하면 년주(年柱)는 전년도의 계미(癸未)가 되는 것이지 갑신(甲申)이 아닙니다.
이와 같은 이유로 입춘(立春) 절입(節入)시간 전까지는 전년의 간지(干支)를 사용하여야 하며 입춘(立春) 절입(節入)시간이 지나야 신(新)년도의 간지(干支)를 사용하게 되는 것입니다.
다음과 같은 방법으로 쉽게 태어난 서기 년도(年度)와 띠를 가지고 년주(年柱)를 세울 수 있습니다.
천간(天干)의 구성은 10개이며 10년 단위로 항상 같은 글자가 온다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2004년은 갑신(甲申)년으로 천간(天干)이 갑(甲)인데 10년 전인 1994년도 갑술(甲戌)년으로 갑(甲)이며 10년 후인 2014년도 갑오(甲午)년으로 갑(甲)이 됩니다.
즉 태어난 서기 년도(年度)의 끝자리가 4이면 천간(天干)은 항상 갑(甲)이 되는 것 입니다.
갑(甲) - 4, 을(乙) - 5, 병(丙) - 6, 정(丁) - 7, 무(戊) - 8, 기(己) - 9, 경(庚) - 0, 신(申) - 1, 임(壬) - 2, 계(癸) - 3.
다음으로 지지(地支)는 띠라고 하는 12개의 동물이 배속되어 있는데 누구나 자신의 띠는 알고 있을 것 입니다.
가령 1969년에 태어났고 닭띠의 경우 해당 간지(干支)는 서기 년도 끝자리인 9가 천간(天干)의 기(己)에 해당되고 닭띠는 지지(地支) 유(酉)에 해당 된다. 즉 기유(己酉)생이라는 것을 쉽게 알 수 있습니다.
2003년 양띠 : 3 - 계(癸), 양 - 미(未) ----> 계미(癸未)년.
월주(月柱)를 세우는 법.
월주(月柱)는 년주(年柱)를 세우고 난 후 태어난 생월(生月)의 간지(干支)를 기록하게 됩니다.
만세력을 살펴보면 월(月)의 지지(地支)는 고정되어 있다는 것을 알 수 있는데 양력 2월 - 인(寅), 3월 - 묘(卯), 4월 - 진(辰), 5월 - 사(巳), 6월 - 오(午), 7월 - 미(未), 8월 - 신(申), 9월 - 유(酉), 10월 - 술(戌), 11월 - 해(亥), 12월 - 자(子), 1월 - 축(丑)으로 월의 천간(天干)만 변함을 알 수 있습니다.
月양력2月3月4月5月6月7月8月9月10月11月12月1月
지지 寅 卯 辰 巳 午 未 申 酉 戌 亥 子 丑
역시 주의할 점은 매월 양력 1일이나 음력 1일을 기준으로 하는 것이 아니라 절입일(節入日)을 잘 살펴야하는데 입춘(立春)이 지나야 태세의 첫 달인 인월(寅月)이며 경칩(驚蟄)이후는 묘월(卯月), 청명(淸明) - 진(辰), 입하(立夏) -사(巳), 망종(芒種) - 오(午), 소서(小暑) - 미(未), 입추(立秋) - 신(申), 백로(白露) - 유(酉), 한로(寒露) - 술(戌), 입동(立冬) - 해(亥), 대설(大雪) -자(子), 소한(小寒) -축월(丑月)이 됩니다.
명리학에서는 절기력을 사용합니다. 매월마다 특별한 경우가 아닌 이상 보름 간격으로 절기가 두개씩 찾아오게 되는데 바로 첫 절기가 지난 후부터 해당 月의 절기로 진입하게 되는 것으로 적용합니다.
가령 2004년 양력 2월은 병인(丙寅)월이고 경칩(驚蟄)은 양력 3월 5일 14시 55분이므로 이시간이 지나야 정묘(丁卯)월로 넘어가게 되는 것 입니다. 즉 3월 4일에 태어났으면 월주(月柱)는 병인(丙寅)이 되는 것입니다.
대개 양력 4, 5, 6일에 변하나 정확한 절입(節入)일은 만세력(萬歲曆)을 참조해야 알 수가 있습니다.
지지(地支)는 12개로 한해 12월의 지지(地支)는 항상 고정적이나 월(月)의 간(干)이 변한다고 했는데 이것도 규칙적인 법칙성을 가지고 있으므로 간단한 공식으로 유추할 수가 있습니다. 그러나 한 가지 태어난 년주(年柱)의 천간(天干)을 반드시 알고 있어야 합니다.
천간의 오합.
갑기지년(甲己之年) 병인두(丙寅頭) - 甲己合化 土
을경지년(乙庚之年) 무인두(戊寅頭) - 乙庚合化 金
병신지년(丙辛之年) 경인두(庚寅頭) - 丙辛合化 水
정임지년(丁壬之年) 임인두(壬寅頭) - 丁壬合化 木
무계지년(戊癸之年) 갑인두(甲寅頭) - 戊癸合化 火
이것이 무슨 말인가 하면, 태어난 년도가 가령 甲년 또는 己년에 해당한다면 그 해당 년에는 월주가 丙寅으로 시작한다는 말입니다.
위의 법칙으로 2004년 갑신(甲申)년의 경우 입춘(立春)이 병인(丙寅)월부터 시작되고 그 전년인 계미(癸未)년은 갑인(甲寅)월부터 시작되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굳이 상기의 법칙을 외우지 않더라도 천간(天干)의 합(合)을 알고 있다면 쉽게 해결될 수 있습니다.
갑기(甲己)합 - 토(土)이며 토를 생(生)하는 양의 성질 병화(丙火)가 천간(天干)으로 오게되며 매해 입춘은 인으로 시작하므로 이를 조합하면 丙寅월부터 시작된다.
을경(乙庚)합 - 금(金)이며 金를 생(生)하는 양의 성질 무토(戊土)가 천간(天干)으로 오게되며 매해 입춘은 寅으로 시작하므로 이를 조합하면 戊寅월부터 시작된다.
병신(丙辛)합 - 수(水)이며 수를 생(生)하는 양의 성질 경금(庚金)이 천간(天干)으로 오게되며 매해 입춘은 寅으로 시작하므로 이를 조합하면 庚寅월부터 시작된다.
정임(丁壬)합 - 목(木)이며 목을 생(生)하는 양의 성질 임수(壬水)가 천간(天干)으로 오게되며 매해 입춘은 寅으로 시작하므로 이를 조합하면 임인(壬寅)월부터 시작된다.
무계(戊癸)합 - 화(火)이며 이를 생(生)하는 양의 성질 갑목(甲木)이 천간(天干)으로 오게되며 매해 입춘은 寅으로 시작하므로 이를 조합하면 갑인(甲寅)월부터 시작된다.
ex)
2004년 갑신(甲申)년의 천간(天干)은 갑(甲)으로 갑기(甲己)합은 토(土)이며 이 토(土)를 생(生)하는 오행(五行)은 화(火)로 양화(陽火)인 병(丙)이 천간(天干)으로 되니 병인(丙寅)월부터 시작되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ex)
2000년 경진(庚辰)년의 경우 을경(乙庚)합 으로 금(金)이 생성되었으며 금(金)을 생하는 오행(五行)은 토(土)로 양토(陽土)인 무(戊)가 천간(天干)이 되니 무인(戊寅)월부터 시작됩니다.
예로 1969년은 기유(己酉)년인데 양력 8월 15일 출생자라면 15일이라면 절기는 넘겼을 터이니 양력 8월은 지지(地支)가 신(申)이고 년간(年干)이 기(己)로 갑기(甲己)합은 토(土)이니 이를 생(生)하는 오행(五行)은 화(火)로 양화(陽火)인 병(丙)이 천간(天干)이 되니 병인(丙寅)부터 8월인 신(申)월까지 세어나가면 월주(月柱)가 임신(壬申)이 됨을 알 수 있습니다.
일주(日柱)를 세우는 법.
일주(日柱)는 월주(月柱)와 같이 절입(節入)과 관련된 것이 아니고 출생한 날의 일진(日辰)이 그 사람의 일주(日柱)가 되는 것이다. 만세력을 찾아서 해당 일에 일진을 그대로 적용시키면 된다. 양력 2004년 2월 4일의 일진은 癸丑이 됩니다.
여기서 주의해야 할 점은 명리학에서 바라보는 하루의 시작은 현대에서 사용하는 자정 12시가 아니고 밤 11시 30분 이므로 이를 주의해서 적용시켜야 합니다.
예를 들어 2004년 2월 4일은 癸丑일 이지만, 2004년 2월 4일 밤 11시 30분 이후부터는 다 음날로 적용시켜야 합니다.
※만세력(萬歲曆)을 보지 않고 계산해내는 방법이 있으나 너무 복잡하므로 생략하기로 합니다.
시주(時柱)를 세우는 법.
지지 시간(동경 137º 기준)
자시 23:30~01:30
축시01:30 ~03:30
인시03:30 ~ 05:30
묘시05:30 ~ 07:30
진시07:30 ~ 09:30
사시09:30 ~ 11:30
오시11:30 ~ 13:30
미시13:30 ~ 15:30
신시15:30 ~ 17:30
유시17:30 ~ 19:30
술시19:30 ~ 21:30
해시21:30 ~ 23:30
일주(日柱)가 세워진 후 출생한 시간(時間)에 따라 시주(時柱)를 세우게 됩니다.
하루 24시간이 12개의 지지(地支)에 2시간씩 배열되어 있으며 월주(月柱)와 같이 시지(時支)는 고정되어 있으나 시간(時干)은 일간(日干)에 따라 변하게 됩니다.
만세력(萬歲曆)을 보면 시간지조견표(時干支早見表)가 있으나 굳이 보지 않더라도 태어난 시간(時間)과 일간(日干)을 알면 구할 수 있습니다.
時는 月과 달리 寅으로 시작하는 것이 아니라 子부터 시작하므로..
갑기(甲己)일은 갑자(甲子)시부터
을경(乙庚)일은 병자(丙子)시부터
병신(丙辛)일은 무자(戊子)시부터
정임(丁壬)일은 경자(庚子)시부터
무계(戊癸)일은 임자(壬子)시부터
갑인(甲寅) 일주는 갑자(甲子)시부터 시작되므로 새벽 4시에 태어났다면 시지는 인(寅)시이고 시주(時柱)의 천간(天干)은 위 법칙에 의해 갑자(甲子)시부터 시작되니 갑자(甲子), 을축(乙丑), 병인(丙寅)으로 인(寅)시까지 세어나가면 시주(時柱)가 병인(丙寅)이 됨을 알 수 있습니다.
위의 법칙도 외우지 않더라도 간합(干合)을 적용하면 쉽게 해결할 수 있습니다.
갑기(甲己)합 - 토(土)이며 이를 극(剋)하는 양의 성질 갑목(甲木)이 천간(天干)으로 갑자(甲子)시부터 시작한다.
을경(乙庚)합 - 금(金)이며 이를 극(剋)하는 양의 성질 병화(丙火)가 천간(天干)으로 병자(丙子)시부터 시작한다.
병신(丙辛)합 - 수(水)이며 이를 극(剋)하는 양의 성질 무토(戊土)가 천간(天干)으로 무자(戊子)시부터 시작한다.
정임(丁壬)합 - 목(木)이며 이를 극(剋)하는 양의 성질 경금(庚金)이 천간(天干)으로 경자(庚子)시부터 시작한다.
무계(戊癸)합 - 화(火)이며 이를 극(剋)하는 양의 성질임수(壬水)가 천간(天干)으로 임자(壬子)시부터 시작한다.
경(庚)일간이 새벽 4시에 출생했다고 하면 먼저 고정된 시지(時支)는 인(寅)시임을 알 수 있고 시간(時干)만 구하면 되는데 을경(乙庚)합은 금(金)으로 이 금(金)을 극(剋)하는 오행(五行)은 화(火)가되며 양화(陽火)인 병(丙)이 천간(天干)이 되어 병자(丙子)시부터 시작됨을 알 수 있고 병자(丙子), 정축(丁丑), 무인(戊寅) 순으로 인(寅)시까지 세어나가면 시주(時柱)가 무인(戊寅)이 됨을 알 수 있습니다.
대운(大運)을 세우는 법.
대운(大運)은 십년간 운(運)의 큰 흐름으로 전반적인 삶의 방향, 행보 등을 나타내는 환경을 의미합니다.
더불어 중요한 역할이 있는데 동물(動物)로 용(用)의 쓰임을 하나 사주(四柱)와 같이 정물(情物)인 체(體)의 역할을 동시에 하고 있어 사주의 원국에서 부족한 성분을 보족해 조후(調候)를 이루어 격(格)을 상승시키는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대운(大運)은 출생한 년주(年柱)의 음양(陰陽)에 따라 월주(月柱)를 기준으로 순행(順行)과 역행(逆行)을 하게 되는데 양남음녀는 순행(順行), 음남양녀는 역행(逆行)으로 암기하면 된니다.
즉, 년주(年柱)가 양(陽)이면 남자의 경우 월주(月柱)에서부터 순행(順行)의 육십갑자(六十甲子)로 배열되고 여자의 경우라면 역행(逆行)을 하게 됩니다.
ex)
丙 乙 丙 甲
戌 亥 寅 申
위의 사주(四柱)가 남자라면 갑목(甲木)은 양간(陽干)으로 월주(月柱)인 병인(丙寅)을 기준으로 순행(順行)하게 되니 병인(丙寅)부터 차례로 정묘(丁卯), 무진(戊辰), 기사(己巳) 순으로 배열됩니다.
甲 癸 壬 辛 庚 己 戊 丁
戌 酉 申 未 午 巳 辰 卯
여자의 경우는 갑목(甲木)이 양간(陽干)이니 음남양녀는 역행(逆行)으로 월주(月柱)인 병인(丙寅)부터 육십갑자가 거꾸로 역행하게 되어 을축(乙丑), 갑자(甲子), 계해(癸亥) 순이 됩니다.
戊 己 庚 辛 壬 癸 甲 乙
午 未 申 酉 戌 亥 子 丑
대운(大運)수를 뽑는 법은 간단히 만세력을 보면 남과 여로 분리되어 대운수가 나와 있으나 직접 뽑으려면 계산이 필요합니다.
양남음녀인 사람은 대운(大運)이 순행(順行)하므로 출생일로부터 다가오는 절입(節入)까지 날짜를 세어서 3으로 나누어진 수가 대운(大運)의 수이고 음남양녀의 사람은 대운(大運)이 역행하므로 출생일로부터 지나온 절입(節入)까지 날짜를 세어서 3으로 나누어진 수가 대운(大運)의 수가 됩니다.
만약 3으로 나누어지고 1이 남으면 버리고 2가 남으면 대운의 수에 1을 더합니다.
예를 들어 출생일로부터 절입(節入)까지 25일이 나왔다면 25를 3으로 나누어 8이 나오고 1이 남았으므로 나머지 1을 버리고 대운(大運)수는 8이 됩니다.
최종작성.
2004년 02월 4일(양력) 21시에 태어난 남자의 사주(四柱)는 다음과 같습니다.
時 日 月 年
壬 癸 丙 甲
戌 丑 寅 申
70 60 50 40 30 20 10 <---- 대운수
癸 壬 辛 庚 己 戊 丁 大
酉 申 未 午 巳 辰 卯 運
2004년 02월 4일(양력) 21시에 태어난 여자의 사주(四柱)는 명조는 그대로이며 대운만 바뀐다.
時 日 月 年
壬 癸 丙 甲
戌 丑 寅 申
70 60 50 40 30 20 10
己 庚 辛 壬 癸 甲 乙 大
未 申 酉 戌 亥 子 丑 運