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Daum
  • |
  • 카페
  • |
  • 테이블
  • |
  • 메일
  • |
  • 카페앱 설치
 
카페정보
카페 프로필 이미지
조선 철전사법 연구회
 
 
 
카페 게시글
활에 대한 알쓸활이 9. 학무형 사법이란 무엇인가?
하늘서기 추천 1 조회 492 20.11.12 13:48 댓글 8
게시글 본문내용
 
다음검색
댓글
  • 20.11.14 09:12

    첫댓글 온깍지 사법을 구사하는 분들이 자신들의 사법 모양을
    학무형이라고 말하지는 않는 것으로 알고 있습니다.
    온깍지 사법의 발시 동작은 줌손을 굳건하게 고정하되
    깍지손은 시원스럽고 힘차게 뿌리는 발여호미 발시법이지요.
    즉 前强後柔(전강후유)의 剛柔兼備(강유겸비)의 사법이라 하겠지요.
    학무형이란 아마도 문사(文士) 사예인(射藝人)들이 만들어 낸 고상한 말일 뿐...
    아무리 활이 수신을 위한 도구라 말할지라도
    활은 <극력견전>이 가장 기본이고,
    따라서 힘차고 강인하며 과감한 동작이 그 안에 없으면,
    무용과 크게 다르지 않겠지요.
    따라서 학무형이라는 말은 무사의 활쏘기에는 어울리지 않고,
    <발여호미>나 <극력견전>, <절파절현>과 같은
    무예에 합당한 용어가 어울릴 것이란 생각을 해 봅니다.
    철전사법은 前後雙剛(전후쌍강)을 동시에 하되
    內柔(내유)의 氣(기)로 外剛(외강)의 기력을 이끄는 사법이 아닌가 생각해 봅니다.
    즉 內柔外剛(내유외강)의 사법이라고 저는 생각해 보는 것이지요.
    즉, 내외의 강유를 조화스럽게 이룩한 사법이라는 뜻입니다.
    그런 의미에서 철전사법은 매우 귀중한 이치를 갖고 있다고 보는 것이지요.

  • 20.11.13 22:10

    文士(문사)는 外柔內剛(외유내강)해야 하고,
    武士(무사)는 外剛內柔(외강내유)해야 함은
    역사가 증명하고 있는 바이지요.
    활 또한 이에 부합하게 강함 속에 부드러움이 숨겨져 있음이
    곧 무사의 정신과 그 이치를 함께 한다고 보겠습니다.
    철전 사법이 바로 外剛內柔(외강내유)의 사법이라고 저는 보는 것입니다.
    어쨌든 활은 그 쏘임이 아무리 부드럽다고 할지라도
    극력견전하여 힘차고 과감하게 발시하는 외면적 동작과 함께
    내면적으로 지극히 부드럽고 정밀한 무사의 정신이 없으면 안될 것입니다.
    김대표님의 철전사법의 정체성 현양 노력에 응원의 한표를 던집니다.

  • 작성자 20.11.14 21:25

    온깍지문파에서 자신들의 사법을 발여호미 또는 학무형이라고도 하는 것은 다음 인용문을 통해서 분명히 알 수 있습니다(온깍지궁사회 옛 카페에서 '학무형'을 검색하면 여러 관련글이 나옵니다).

    "성락인 선생의 궁체 역시 그의 선친과 마찬가지로 학이 날갯짓을 하는 것과 같은 발여호미형 궁체의 전형을 보여준다. 귓볼에 걸린 살대의 높이하며 적당히 엎어진 중구미, 그리고 줌을 움켜쥔 손가락의 모양까지 학무형의 완벽한 모습이다. 숯불을 집은 듯이 뿌리는 뒷손의 마지막 처리까지도 "조선의 궁술"에 나온 설명 그대로 이루어진다. 이것이 서울 황학정의 정통 궁체이다." - 온깍지 궁사회 카페, '성낙인'에 대한 글 중에서

    "실제로 온깍지 궁체를 학이 춤춘다는 뜻의 학무형이라고도 합니다. 학의 우아한 모습을 닮으려고 한 한량들의 바람이 투영된 것입니다." - 정진명, <활쏘기의 지름길>(2018), 177쪽

    이 학무형이란 말이 언제부터 쓰인 말인지는 정확히 알 수 없으나, 전통사법을 표현하는 말로 종종 쓰이는 것은 확실합니다. 다만, 철전사법을 굳이 꼭 학무형으로 연결시켜 말할 필요는 없겠지요. 고문님 말씀처럼 철전사법은 외강내유한 무장들의 사법이라 할 수 있으니

  • 작성자 20.11.14 21:53

    야리야리한(?) 학의 이미지와는 좀 거리가 있는 게 사실입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제가 주목한 부분은, 진짜 학춤을 닮은 사법이라면 온깍지처럼 한쪽 팔만 휘두르는 동작이나 펼쳐진 양팔을 천천히 거두는 동작만으로는 설득력이 떨어지고, 학춤의 가장 특징적인 동작 곧 양팔을 힘차게 위에서 아래로 내리는 동작과 비슷한 별절 궁체(철전사법)야말로 그것이 아니겠느냐는 점이었습니다.

    저도 고문님께서 말씀하신대로, 철전사법에는 아무래도 <발여호미>나 <극력견전>, <절파절현>과 같은 용어가 훨씬 어울릴 것이란 생각에 전적으로 동의합니다. 그런데 '학무형'을 전통사법을 가리키는 대표적 이미지(용어)로 설정하여, 진짜 학춤과도 별로 닮지 않은 온깍지 사법을 전통사법이라 주장하는 것에 대해 문제를 제기하는 글로 이해해 주시면 되겠습니다. 깊이 있고 애정 어린 의견 댓글 감사드립니다.^^

    참고로 한 말씀만 덧붙입니다. 제가 어린 학생들에게 가끔 활쏘기를 가르칠 기회가 있을 때, 우리 활쏘기를 하는 가장 큰 세 가지 목표(의미)를 다음과 같이 이야기합니다. 몸과 마음을 '바르게' '부드럽게' '강하게' 단련하기 위함이라구요..^^

  • 20.11.15 09:02

    좋습니다.
    우리의 국궁 사법에 학무형이라는 말을 올리는 것 자체에 대해서
    나는 탐탁하지가 않습니다.
    학무형 운운 하는 것은 무사의 사예가 아닌 문사들의 어줍잖은 말장난이라고 보는 것입니다.
    문사가 무의 지경에 들어와 무의 정신을 희롱하는 거라 보는 것이지요.
    다시금 중언부언하지마는 활이 비록 수신의 도로 사용된다고 할지라도
    극력견전은 기본입니다.
    활을 가지고 거문고를 타는 짓을 하거나, 학춤을 추는 짓을 하는 것으로
    활쏘기를 미화하는 것은 무의 정신을 모욕하는 것입니다.
    참고로 <극력견전>의 의미는
    <있는 힘을 다하여 화살을 보낸다는 뜻입니다.>
    있는 힘을 다하여 화살을 보내는 데 뜻이 있어야지
    어찌 학이 춤추는 짓거리 따위를 논한다는 말입니까?
    활을 가지고 학춤을 추느니 무용학원에 가는 것이 낫다는 생각도 합니다.

  • 20.11.14 23:43

    학은 문의 상징이고 호랑이는 무의 상징입니다.
    어찌 활쏘기에 문의 상징인 학을 끌어다가 이상적 표준으로 삼는단 말입니까?
    이는 절대 안될 말입니다.
    어줍잖은 문생들이 활터에 기생을 불러다 춤을 추게 하면서
    무의 대명사인 활쏘기를 장난감으로 희롱했던 것을 준열히 통박하지 않으면,
    활을 생명으로 삼아 민족을 지켰던 선배 국궁 무사들께
    참으로 면목이 없는 일입니다.

  • 20.11.14 23:31

    문생들이 술먹고 과녁에 화살을 날리면 간신히 과녁 앞에 가는 것도 장한 일이니,
    기생이 과녁 앞에 있다가 과녁에 못미치는 화살을 부채로 쳐서 과녁에 맞게 하고서는
    <관중이요..> 하고 춤을 추었던 짓거리들을 우리는 기억해야 합니다.
    철전 사법은 아녀자들이나 유약한 문생들은 도저히 할 수 없었던 사법입니다.
    오늘날은 국궁을 한다면서 양궁의 사법으로 고단자가 되어 명궁의 칭호를 받는 웃기는 세상입니다.
    이런 때에 옛날 문사들이 무를 희롱했던 과정에서 나온 학무형이라는 말을
    목숨을 걸고 무를 수련했던 무사의 사예를 이은 철전사법 회원들은
    결코 써서는 안될 말이라고 나는 생각하는 것입니다.
    좀 과격한 말이지만 철전사법은 유약한 문생의 사법이 아니라
    무장, 무인의 정통 사법이라고 보기 때문에 내가 이런 말을 하는 것이라
    이해해 주시면 좋겠습니다.

  • 작성자 20.11.15 10:54

    고문님의 뜻을 십분 이해하였습니다. 위 댓글에서 이미 저도 말씀드린대로, 우리 철전사법을 굳이 학무형이라 말하는 건 되도록 삼가도록 하겠습니다. 철전사법은 무엇보다 조선의 무장들 사이에서 전승된 사법이고, 우리 활쏘기 전통에서 가장 최고봉에 있는 사법이니 우아하고 야리야리한 '학'과 연결하는 건 역시 어색하겠네요. 온깍지 문파에서 우리 활쏘기가 거의 쇠퇴해 가던 시대의 구사들 만나본 이야기만을 근거로, 제대로 된 문헌적 실증적 근거도 없이 걸핏하면 본인들 것만 전통사법이라 주장하는 데 대한 문제의식이 있다보니, 위와 같은 글을 쓰게 된 거 같습니다. 고문님의 귀한 조언 감사드립니다.

최신목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