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해의 보석, 신안 천사섬
보랏빛 성지 퍼플섬, 박지도와 반월도
신안군에는 1004개의 섬이 있다. 1004는 날개 달린 천사다. 신안군은 천사 조각상 1004개를 세우고 있다. 섬 하나에 천사가 하나다. 그 섬들에 가면 생명이 꿈틀대고 역사가 흐르며 자연이 숨 쉬고 낭만이 넘실댄다. 미래의 역사·문화·환경 자원으로 각광 받는 신안 1004섬. 그 매력을 새롭게 만나는 연중기획을 시작한다. 황호택 KAIST 문술미래전략대학원 겸직교수와 이광표 서원대 교수가 매주 1회 집필한다. <기자말>
천사대교를 달리다 보면 7km 교량 양쪽으로 다도해의 섬들이 올망졸망 솟아 있다. 2019년 천사대교가 개통되면서 배로 다니던 암태도 자은도 팔금도 안좌도가 차로 갈 수 있는 섬이 됐다. 조상 때부터 육지와 떨어져 살던 섬사람들은 연륙(連陸)을 천지개벽이라고 부른다.
안좌도의 끝자락 두리 선착장에 다다르면 보랏빛 목교가 나타난다. 안좌도와 반월도 박지도, 세 개의 섬이 1.8km 데크로 연결돼 있다. 섬에서 섬으로 여행하는 바다 위 트레킹 코스. 다리 아래로는 숭어가 무리를 지어 유영한다. 앞에서 아이의 손을 잡고 가던 엄마가 "바닷속의 숭어는 그림의 떡"이라며 "숭어회가 먹고 싶다"고 말했다.
|
▲ 안좌도와 박지도를 잇는 퍼플교 아래로 바닷물이 빠지면서 갯벌이 드러나고 있다. |
퍼플교를 건너면 보랏빛 천국이다. 마을 지붕부터 다리, 둘레길, 전화부스, 식당 그릇까지 보랏빛 일색이다. 보랏빛이 통행증을 대신한다. 보라색 우산을 받쳐 들고 보라색 옷을 입으면 입장료도 받지 않는다.
한국을 K-팝의 성지로 만든 방탄소년단(BTS)도 상징색이 보라색이다. 보라색의 원조가 누구인지는 따지기 어렵다. BTS는 2016년 보라색을 쓰기 시작했지만 신안군이 퍼플섬 사업을 시작한 것은 2015년 전라남도가 '가고 싶은 섬' 사업에 박지도와 반월도를 선정하면서 부터.
박지도 반월도에는 원래 보라색 도라지 군락과 꿀풀이 곳곳에 자생하고 있었다. 신안군은 박지도 반월도 마을의 지붕을 보라색으로 칠하고 임야에 라벤더 아스타 등 보라색 꽃을 심었다.
나무로 만든 다리와 해안 산책로, 창고의 벽, 주민들의 옷과 식기 및 커피잔까지 보라색으로 물들였다. 쇠락해 가던 섬에 활력이 생겨났다. 섬을 띄우는데 컬러 마케팅이 성공한 사례로 로이터통신, CNN 등 해외 언론에 크게 보도됐다.
반월도~박지도(915m), 박지도~안좌도(547m)를 연결하는 퍼플교에 이어 안좌도~반월도(380m)를 잇는 문브리지가 2020년 완성됐다. 문브리지는 평시에는 해상 보행교로 쓰이다가 화물을 싣는 페리호가가 드나들 때만 좌우로 열리는 이색적인 장면을 연출한다. 보라색 다리는 조명이 은은하게 켜진 밤에 더 환상적이다.
박지도와 반월도는 안좌도에 딸린 새끼섬. 반월도는 섬의 형태가 사방 어느 곳에서 보더라도 반달 모양. 박지도는 박씨가 처음 들어와 살았다고 하여 박지도라 부르게 되었다. 섬의 지형이 박 모양이라 하여 바기섬 또는 배기섬이라고도 불린다.
|
▲ 박지도 입구에 세워진 박 모양의 표지박(석) |
퍼플교를 건너 박지도로 들어서면 입구에 바가지 모양의 표지박(석)이 눈길을 끈다. 보라색 알리움 50여 주가 표지박을 옹위하는 모습이 깜찍하다. 알리움은 1~2m 꽃대 위에 커다란 막대사탕처럼 공 모양의 둥근 꽃이 달려 있다. 길가에는 목이 긴 보라색 꽃 버들마편초가 하늘거린다.
해마다 5월이면 박지도에 라벤더 정원을 보러 관광객들이 밀려든다. 전동 카트를 운전하는 보라색 제복의 기사는 평일에는 하루 3천명, 주말에는 1만 명씩 찾아온다고 말했다. 신안군 관광진흥과 직원들이 라벤더 정원에 텐트를 쳐놓고 관광객들에게 라벤더 향과 자색 고구마, 천일염을 섞은 가루로 발 마사지를 해주었다.
라벤더 정원을 찍은 사진을 보여주면 요금은 무료. 박지도 사람들도 축제 일꾼으로 나섰다. 박지도에서 라벤더 축제가 끝나고 8~11월이면 보라색 국화 아스터 축제가 열린다.
박지도 입구에서 산길을 20분 정도 올라가면 900년 된 우물과 주민들이 당제를 지내던 박지당이 나온다. 박지당은 숲으로 싸여 있고 그 안에 돌담이 둘러져 있었다. 돌담 안에 큰 당산나무와 돌 제단이 있었다.
마을 주민들은 정월 대보름이면 어린 송아지를 잡아놓고 당숲에서 마을의 안녕과 질병 퇴치를 빌었다. 당제가 끝나면 송아지 고기와 제물을 갖고 내려와 마을에서 음복(飮福)을 했다. 900년 우물 가까이에 오래된 절터도 있는데 절에서 쓰던 우물 같다.
|
▲ 박지도 바람의 언덕에 있는 라벤더 정원. 맞은편에 보이는 섬이 안좌도. |
퍼플교가 생기기 전에는 세 개의 섬을 잇는 노두길이 있었다. 바닷물이 빠져 갯벌이 드러나는 썰물 때만 통행이 가능했다. 물이 차면 노두길은 바닷속으로 사라지고 배로 건널 수밖에 없었다.
1950년대부터 목포와 박지도, 반월도를 왕래하던 여객선은 배의 속도가 느리고 이곳저곳 중간 기착해 하루에 편도만 가능했다. 여객선이 두리 선착장 인근에 오면 승객들은 종선(從船)으로 갈아타고 선착장에 내렸다. 풍랑이 일면 배가 끊겼다.
군수가 박지도 마을을 찾았을 때 토박이 할머니들에게 소원을 물었더니 김매금 할머니가 "배를 타지 않고 걸어서 섬 밖으로 나가보고 싶다. 목포까지 걸어서 가고 싶다"고 말했다. 퍼플교와 천사대교 개통으로 배를 타지 않고 목포까지 가보는 할머니들의 소원이 이루어졌다는 뜻에서 퍼플교는 '소망의 다리'라고도 불린다.
비련의 중노두 전설
바닷물이 빠져나가면 반월도와 박지도 사이에 갯벌이 드러난다. 중노두는 박지도와 반월도 사이에 놓인 노두길이다. 스님과 비구니의 슬프고 아름다운 전설이 서려 있다.
박지도의 절에는 젊은 남자 스님이, 반월도의 절에는 비구니가 살았다. 박지도의 스님이 반월도의 비구니를 사모했지만 바다에 가로막혀 오갈 수가 없었다. 스님은 망태에 돌을 담아와 갯벌 위에 징검다리를 놓기 시작했다. 밀물에는 건널 수 없지만 물이 빠지는 썰물 때면 건널 수 있는 노두교였다. 반월의 비구니도 맞은편에서 노두길 공사를 시작해 돌을 날랐다.
오랜 세월이 흘러 중노두가 완성되던 날 두 사람은 노두 한가운데서 만나 하염없이 눈물을 쏟았다. 평생 그리움이 사무쳐 두 사람은 누가 먼저랄 것도 없이 부둥켜안고 있다가 밀물이 들어오는 줄도 몰랐다. 그러다 썰물이 시작돼 노두돌이 물에 잠기면서 되돌아갈 수 없게 됐다. 둘은 한 몸이 되어 파도에 휩쓸려 나갔다. 평생의 기다림 끝에 활짝 타오른 비련(悲戀)의 불꽃 만남이었다.
박지도 해안 산책로를 걷다 보면 이 노두길을 볼 수 있다. 밀물이 들어오면 돌의 머리만 살짝 보이지만 썰물 때는 중노두의 원형이 드러난다. 박지도는 반월도에 비해 농토가 넓고 비옥해 주민들이 어업보다는 농업에 더 많이 종사했다. 안좌도 출신인 김환기 화백의 부친 김상현은 천석꾼 대지주였다.
김 화백은 아버지의 부에 힘입어 일본 유학을 가고 예술활동에 전념할 수 있었다. 1916년 작성된 지적원도에 는 58필지가 김상현 소유의 땅으로 올라 있다. 천석꾼 땅을 밟지 않고서는 박지도를 지나갈 수 없었다. 김상현의 박지도 마름 장인평은 백마를 타고 다녔으며 박지도에서 제일 큰 7칸 집에 살았다. 1932년에 지어진 7칸 집은 폐가가 됐지만 돌담은 그대로 남아 있다.
반월도와 박지도는 1km 떨어진 형제섬. 반달 모양으로 생긴 반월도가 형이다. 반월도와 박지도는 섬 둘레에 아름다운 바다를 따라 해안 산책로가 조성돼 있다. 반월도는 면적이 넓고 어깨산이라 불리는 주봉(210m)이 박지도 당산(130m)보다 높다.
|
▲ '아름다운 숲'으로 선정된 반월마을 당숲. |
반월 마을 입구에 수령이 300~400년 되는 느릅나무 팽나무 후박나무 동백나무와 송악 마삭줄 등 난대 수종으로 이루어진 당숲 우실이 있다. 600여 년 전 입도한 선조들이 방풍 및 그늘 쉼터로 조성한 숲이다.
왕매미와 천연기념물 장수하늘소의 서식지. 여름이면 왕매미들의 합창이 요란하다. 정월 대보름날에는 주민이 이곳에 모여 당제를 지냈다. 산림청, 유한킴벌리, 생명의 숲 공동운동이 공동으로 개최하는 제14회 아름다운 숲 전국대회에서 '아름다운 숲 10선'에 들었다.
밭이 많고 논이 적은 반월도에는 '절골' 가는 길에 '개논'이 있었다. 절이 있던 골짜기라고 해서 절골이라는 지명이 생겼다. 개논 또는 갯논은 바닷가의 갯벌에 둑을 쌓고 간척한 논이다. 염분이 많고 토질이 메말라 못자리를 안 하고 볍씨를 직파(直播)하는 논이 많았다. 반월도 논이 전체 2만 평인데 절골 개논이 1만1천 평 정도.
절골 개논은 사철 수량(水量)이 많아 가을에 벼 베기가 힘들었다. 안마을에서 절골 논을 짓자면 '된재' 고개를 넘어 다녀야 했다. 일이 힘에 벅차 된재라는 이름이 붙었다. 1960년대 김 양식이 시작됐다. 황금알을 낳는 거위였다.
마을 사람들이 너도나도 김 양식에 뛰어들면서 된재 고개 너머 절골 개논 농사부터 그만뒀다. 절골 논은 묵은 논이 됐다가 지금은 갈대습지로 천이(遷移)돼 논의 형태마저도 알 수 없게 됐다. 박지도 반월도가 이제 관광지가 됐으니 절골 개논(일명 적골개논)을 생태학습장으로 만들어도 좋을 것 같다.
빈궁한 소작인들의 섬이 보라색 정원으로
음양오행(陰陽五行)을 중시하는 동양에서는 노랑이 최고의 색깔이었다. 베이징 자금성의 지붕은 황금빛. 중국 황제도 노란 옷을 입었다. 서양에서는 보라색이 최상위층의 권위를 상징했다. 보라색을 만드는 재료가 귀하고 만드는 방식도 까다로워 부유한 권력층이 독점했기 때문이다.
보라는 빨강과 파랑이 혼합된 색이어서 따뜻함과 차가움, 감성과 이성 같은 상반된 의미를 함께 품고 있다. 예부터 보라를 가리켜 예술가의 색이라고 하는 이유다. 박지도 산비탈의 다랑이와 반월도의 간척지 개논. 벼 한 말을 거두는데 땀 한 말씩 흘리던 빈궁한 소작인들의 섬, 그 박지도 반월도가 보라색 정원으로 화려한 변신을 해가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