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각시가자미 : Limanda aspera (Pallas)
► 이 명 : 도다리, 각시가재미, 송계가재미
► 외국명 : (영) Yellowfin sole, (일) Koganegarei (コガネガレイ, 黄金鰈)
► 형 태 : 크기는 최대 전장 49㎝, 체중 1.7kg까지 자라지만 대개는 전장 35㎝ 전후이다. 겉모양은 긴 난원형으로 연장되어 있고 측편되어 있다. 체장은 체고의 1.8~1.9배이다. 입은 작고 주둥이 앞쪽에 있으며 아래턱은 돌출되어 있다. 이빨은 원추형으로 불규칙하게 1줄로 되어 있다. 옆줄의 앞쪽은 갈라지지 않았고 가슴지느러미 위에서 반달모양으로 구부러져 있다. 눈 있는 쪽의 옆구리에는 골질의 돌기를 가진 비늘이 있으며 비늘에는 작은 가시가 1~3개가 있다. 왼쪽의 몸의 변두리는 황색이고 오른쪽은 진한 갈색이다. 등지느러미와 뒷지느러미는 등황색이다.
크기는 전장 약 48㎝이다. 몸은 달걀처럼 한쪽이 갸름하게 둥글다. 두 개의 눈은 오른쪽에 쏠려 있으며, 입은 작고 아래턱은 튀어나와 있다. 이빨은 뭉툭한 원뿔 모양으로 불규칙하게 한 줄로 되어 있다. 옆줄은 가슴지느러미 위에서 반달 모양으로 구부러져 있다. 눈이 있는 쪽의 옆구리에 거칠고 촘촘한 비늘이 있으며, 비늘에는 작은 가시가 1∼3개 있다. 체색은 황갈색으로 암갈색의 반점이 있으며, 눈이 없는 쪽은 흰색 또는 연한 노란색을 띤다. 등지느러미와 뒷지느러미의 가장자리가 오렌지색이다.
► 설 명 : 수온이 낮은 곳에서 서식하는 한대성 어류로 대개는 수심 100m 이하에 서식하지만 수심 700m에서도 발견된다. 바다 밑바닥에 몸을 붙인 채 생활하며, 위쪽으로 떠오를 때에도 그 자세를 그대로 유지한 채 몸을 앞뒤로 휘면서 헤엄친다. 바닥에서 이동을 하지 않을 때에는 몸을 모래나 진흙에 묻고 두 눈만을 깜박이며 먹이를 기다린다. 육식성이 강한 잡식성 어류로 작은 조개류 등을 먹는다. 알을 낳을 시기가 되면 연안으로 접근하는 경향이 있어 봄부터 여름에 수심 100m 이하의 바다로 이동하여 알을 낳는다. 눈이 한쪽으로 몰리는 변태가 일어나기 전의 새끼들은 플랑크톤처럼 바다 표층에 떠서 생활하다가 두 눈이 한쪽으로 몰리게 되면 바다 밑바닥에서 생활한다. 수명은 34년 정도이다.
베링해에서 트롤로 대량으로 어획되는 가자미로 냉동물로 유통된다. 대개는 H&G(머리와 내장을 제거한 것) 또는 필레(fillet, 껍질과 뼈를 제거한 것) 블록이나 IQF(필레를 낱개로 얼린 것)로 유통된다. 조림에 적합하며, 특히 알을 가진 가자미를 즐긴다. 생선회, 물회, 튀김, 구이, 조림, 국 등으로 먹으며, 겨울에 가장 맛이 좋다. 가자미식해는 가자미와 무를 채 썰어 양념하여 삭힌 것으로 함경도 등지에서 전해져 내려온 음식이다.
제철은 봄부터 여름이다. 비늘은 작고 까칠까칠해서 제거하기 어렵다. 껍질은 단단하고 질기다. 살은 맑고 투명한 백색으로 가열을 해도 단단하게 조이지 않는다. 살은 뼈와 잘 분리된다. 냉동물로 유통되기 때문에 산지 이외의 지역에서는 맛을 보기 힘들다. 근육(살) 자체에는 맛이 약해서 주로 조림, 찌개, 구이, 튀김 등으로 이용한다. 소금구이는 소금을 뿌려 1시간 정도 재워 두었다가 천천히 굽는다. 껍질이 고소해서 의외로 맛이 좋다. 튀김은 천천히 2번 튀기며, 맛이 매우 좋다. 소테와 무니에르는 버터가 맛을 더해주며, 조림도 간장과 향신료가 맛을 낸다.
► 분 포 : 한국(동해 북부), 일본(북해도), 오호츠크해, 사할린, 러시아(캄차카), 베링해, 알래스카, 캐나다 서부 등 북태평양 연안에 널리 분포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