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①-1 括地志云:高驪都平壤城,本漢樂浪郡王險城,又古云朝鮮地也。王滿者,故燕人也。
①-1 괄지지운:고려도평양성,본한낙랑군왕험성,우고운조선지야。왕만자,고연인야。
①-2 集解,徐廣曰:昌黎有險瀆縣也。索隱,韋昭云[ 古邑名 ]。
①-2 집해,서광왈:창려유험독현야。삭은,위소운[ 고읍명 ]。
①-3 徐廣曰:昌黎有險瀆縣。應劭注:地理志遼東險瀆縣,朝鮮王舊都。
①-3 서광왈:창려유험독현。응소주:지리지요동험독현,조선왕구도。
①-4 臣瓚云:王險城在樂浪郡浿水之東也。正義,臣瓚曰:主險在樂浪郡也。
①-4 신찬운:왕험성재낙랑군패수지동야。정의,신찬왈:주험재낙랑군야。
▲ 사기(史記) 115권(卷)..
-
▶ ①-1 괄지지(括地志)가 이르길 : 고려(高驪 : 고구려)의 도읍 평양성(平壤城)이며, 본디 한나라(漢)의 낙랑군(樂浪郡)이요 왕험성(王險城)이고, 또 옛 말로 이르길 고조선(古朝鮮) 지역 입니다. 왕만(王滿 : 衛滿)이라는 자는, 옛 연주(燕州) 사람입니다.
▶ ①-2 집해(集解)에, 서광(徐廣)이 말하길 : 창려(昌黎)에 험독현(險瀆縣)이 있습니다. 삭은(索隱)에, 위소(韋昭)가 일컫길 [ 옛 도읍의 이름 ] 입니다.
▶ ①-3 서광(徐廣)이 말하길 : 창려(昌黎)에 험독현(險瀆縣)이 있습니다. 응소(應劭)의 주석에 : 지리지(地理志)가 일러 요동(遼東)의 험독현(險瀆縣)이고, 고조선(古朝鮮) 왕만(王滿 : 衛滿)의 옛 도읍 입니다.
▶ ①-4 신찬(臣瓚)이 일컫길 : 왕험성(王險城)은 낙랑군(樂浪郡) 패수(浿水)의 동쪽에 위치합니다. 정의(正義)에 신찬(臣瓚)이 말하길 : 주험(主險 : 王險)은 낙랑군(樂浪郡)에 위치합니다.
-
①-5 王險城,即平壤城。應劭曰:箕子故都也。
①-5 왕험성,즉평양성。응소왈:기자고도야。
①-6 薛瓚曰:王險在樂浪郡,浿水之東。漢初燕人衛滿渡浿水,居上下障,都王險。
①-6 설찬왈:왕험재낙랑군,패수지동。한초연인위만도패수,거상하장,도왕험。
▲ 독사방여기요(讀史方輿紀要) 38권(卷)..
-
▶ ①-5 왕험성(王險城)은 즉 평양성(平壤城) 입니다. 응소(應劭)가 말하길 : 기자(箕子)의 옛 도읍입니다.
▶ ①-6 설찬(薛瓚)이 말하길 : 왕험(王險)은 낙랑군(樂浪郡)에 위치하고, 패수(浿水)는 동쪽으로 흘러갑니다. 한나라(漢) 초기에 연주(燕州) 사람 위만(衛滿)은 패수(浿水)를 건너고, 북쪽과 남쪽으로 막힌데에 거하였으니, 도읍은 왕험(王險)이라 합니다.
-
①-7 險瀆,今新民廳南境,廣寧縣東南。
①-7 험독,금신민현남경,광녕현동남。
①-8 原注,應劭曰:朝鮮王滿都也。依水險。故曰:險瀆。
①-8 원주,응소왈:조선왕만도야。의수험。고왈:험독。
①-9 臣瓚曰:王險城在樂浪郡浿水之東,此自是險瀆也。
①-9 신찬왈:왕험성재낙랑군패수지동,차자시험독야。
①-10 應注:蓋以險瀆即王險城,第考王險城在浿水之東。
①-10 응주:개이험독즉왕험성,재고왕험성재패수지동。
▲ 성경강역고(盛京疆域考) 1권(卷)..
▶ ①-7 험독(險瀆)은 지금 신민청(新民廳 : 하북 지역의 류하(柳河) 속지명) 남쪽 경계이고, 광녕현(廣寧縣) 동남쪽 입니다.
▶ ①-8 원래의 주해에, 응소(應劭)가 말하길 : 고조선(古朝鮮) 왕만(王滿 : 衛滿)의 도읍 입니다. 강이 험하는 곳에 의지하였습니다. 옛 말로 말하길 : 험독(險瀆) 입니다.
▶ ①-9 신찬(臣瓚)이 말하길 : 왕험성(王險城)은 낙랑군(樂浪郡) 패수(浿水)의 동쪽에 위치하고, 이 곳은 원래의 험독(險瀆) 입니다.
▶ ①-10 응소(應劭)의 주석에 : 대개 험독(險瀆)으로써 즉 왕험성(王險城)이고, 또 왕험성(王險城)은 패수(浿水)의 동쪽에 위치하는걸로 그칩니다.
-
①-11 漢志:遼東郡險瀆縣。應註曰:朝鮮王滿都也。依水險。故曰險瀆。
①-11 한지:요동군험독현。응주왈:조선왕만도야。의수험。고왈험독。
①-12 臣瓚曰:王險城在樂浪,即浿水之東北。自是險瀆也。
①-12 신찬왈:왕험성재낙랑,즉패수지동북。자시험독야。
▲ 수경주석(水經注釋) 14권(卷)..
-
▶ ①-11 한지(漢志)에 따르면 : 요동군(遼東郡)의 험독현(險瀆縣) 입니다. 응소(應劭)의 주석이 말하길 : 고조선(古朝鮮) 왕만(王滿 : 衛滿)의 도읍 입니다. 강이 험하는 곳에 의지하였습니다. 옛 말로 말하길 험독(險瀆) 입니다.
▶ ①-12 신찬(臣瓚)이 말하길 : 왕험성(王險城)은 낙랑(樂浪)에 위치하고, 즉 패수(浿水)는 동북쪽으로 흐릅니다. 원래의 험독(險瀆) 이었습니다.
===============
②-1 蓋馬縣名屬𤣥菟郡,其山在今平壤城西。平壤即王險城也。
②-1 개마현명속현도군,기산재금평양성서。평양즉왕험성야。
▲ 후한서(後漢書) 115권(卷)..
-
▶ ②-1 개마현(蓋馬縣)의 이름은 현도군(𤣥菟郡)에서 속하였고, 그 산(개마산)은 지금 평양성(平壤城)의 서쪽에 위치합니다. 평양(平壤)은 즉 왕험성(王險城) 입니다.
-
②-2 按原注:葢馬縣名屬元莬郡,其山在今平壤城西。平壤即王險城也。
②-2 안원주:개마현명속원문군,기산재금평양성서。평양즉왕험성야。
▲ 흠정만주원류고(欽定滿洲源流考) 9권(卷)..
-
▶ ②-2 원문의 주석을 헤아리니 : 개마현(葢馬縣)의 이름은 원문군(元莬郡 : 𤣥菟郡)에서 속하였고, 그 산(개마산)은 지금 평양성(平壤城)의 서쪽에 위치합니다. 평양(平壤)은 즉 왕험성(王險城) 입니다.
-
②-3 韋昭曰:王險故邑名。應劭曰:遼東有險瀆縣,即滿所都。因水險。故曰:險瀆。
②-3 위소왈:왕험고읍명。응소왈:요동유험독현,즉만소도。인수험。고왈:험독。
②-4 臣瓚曰:王險在樂浪郡浿水之東。師古曰:瓚説是,貢曰:即平壤城。
②-4 신찬왈:왕험재낙랑군패수지동。사고왈:찬설지,공왈:즉평양성。
▲ 자치통감(資治通鑑) 21권(卷)..
-
▶ ②-3 위소(韋昭)가 말하길 : 왕험(王險)은 옛 도읍의 이름입니다. 응소(應劭)가 말하길 : 요동(遼東)에 험독현(險瀆縣)이 있고, 즉 위만(衛滿)의 수도 입니다. 강이 험하는 곳에 의지하였습니다. 옛 말로 말하길 : 험독(險瀆) 입니다.
▶ ②-4 신찬(臣瓚)이 말하길 : 왕험(王險)은 낙랑군(樂浪郡) 패수(浿水)의 동쪽에 위치합니다. 사고(師古)가 말하길 신찬(臣瓚)의 말이 옳다고 하였고, 고하여 말하길 : 즉 평양성(平壤城) 입니다.
-
②-5 増舊都險瀆,嘗屬真番。史記王之都王險。索隱曰:遼東有險瀆縣,朝鮮王舊都。
②-5 증구도험독,상속진번。사기왕지도왕험。색은왈:요동유험독현,조선왕구도。
②-6 又曰:朝鮮自始全燕嘗略屬真番。箕子所封之地。
②-6 우왈:조선자시전연상략속진번。기자소봉지지。
▲ 어정연감함(御定淵鑑𩔖函) 231권(卷)..
-
▶ ②-5 옛 도읍을 더하여 험독(險瀆)이고, 일찍이 진번(真番)에 속하였습니다. 사기(史記)에 따르면 왕만(王滿 : 衛滿)의 도읍이 왕험(王險) 이라고 하였습니다. 색은(索隱)이 말하길 : 요동(遼東)에 험독현(險瀆縣)이 있고, 고조선(古朝鮮) 왕만(王滿 : 衛滿)의 옛 도읍 입니다.
▶ ②-6 또 말하길 : 고조선(古朝鮮)은 스스로 처음부터 온전히 연나라(燕) 시대에 진번(真番)을 일찍 범하여 속하게 하였습니다. 기자(箕子)가 봉하는 곳의 지역 입니다.
-
②-7 又地名,史記朝鮮傳:都王險。註險城在樂浪郡浿水之東。前漢地理志遼東郡險瀆。
②-7 우지명,사기조선전:도왕험。주험성재낙랑군패수지동。전한지리지요동군험독。
②-8 註朝鮮王滿都也。依水險,故名。又地理志中山國安險。
②-8 주조선왕만도야。의수험,고명。우지리지중산국안험。
▲ 어정강희자전(御定康熙字典 : 대한민국의 규장각) 32권(卷)..
-
▶ ②-7 또 지명은, 사기조선전(史記朝鮮傳)에 따르면 : 도읍은 왕험(王險) 입니다. 주석에 따르면 험성(險城 : 왕험성)은 낙랑군(樂浪郡) 패수(浿水)의 동쪽에 위치합니다. 전한지리지(前漢地理志)에 따르면 요동군(遼東郡)의 험독(險瀆) 입니다.
▶ ②-8 주석에 따르면 고조선(古朝鮮) 왕만(王滿 : 衛滿)의 도읍 입니다. 강이 험하는 곳에 의지하였고, 옛 이름 입니다. 또 지리지(地理志)에 따르면 중산국(中山國)의 안험(安險 : 하북 지역의 정주(定州)) 입니다.
-
②-9 地理志遼東險瀆縣,朝鮮王舊都。
②-9 지리지요동험독현,조선왕구도。
②-10 韋昭曰:王險,古邑名。瓉曰:王險城在樂浪郡浿水東。
②-10 위소왈:왕험,고읍명。찬왈:왕험성재낙랑군패수동。
▲ 어비자치통감강목(御批資治通鑑綱目 : 대한민국의 규장각) 5권(卷)..
-
▶ ②-9 지리지(地理志)에 따르면 요동(遼東)의 험독현(險瀆縣)이고, 고조선(古朝鮮) 왕만(王滿 : 衛滿)의 옛 도읍 입니다.
▶ ②-10 위소(韋昭)가 말하길 : 왕험(王險)이고, 옛 도읍의 이름 입니다. 신찬(臣瓉 : 臣瓚)이 말하길 : 왕험성(王險城)은 낙랑군(樂浪郡) 패수(浿水)의 동쪽에 있습니다.
-
▷ 강이 험하는 곳에 의지하였기 때문에 험독(險瀆)이라고 했고, 그 곳을 가리켜 왕험성(王險城)이라고 불리우는게 된 것입니다.
" 사기(史記) 115권(卷)에 따르면, " 서광왈창려유험독현야(徐廣曰昌黎有險瀆縣也) " 이라고 했으므로 본질적으로 하북(河北) 지역의 창려(昌黎)가 원래 왕험성(王險城)이라고 말하고 있습니다.
-
▷ 후한서(後漢書) 33권(卷)에 따르면, " 험독(險瀆),사기왈왕험위만소도(史記曰王險衞滿所都)。" 이라고 했으며, 고려사(高麗史) 58권(卷)에 따르면, " 험일작검즉평양(險一作儉卽平壤)。" 이라고 했습니다.
즉 왕험성(王險城)은 왕검성(王儉城)이라고 했으므로, 그 또한 하북(河北) 지역의 험독(險瀆)은 평양(平壤)이라고 했습니다.
-
※ 따라서, 창려(昌黎)에 관하여 상세히 찾아보기로 합니다.
===============
③-1 昌黎本漢絫縣,後漢省入臨渝,晉以後為肥如縣地。
③-1 창려본한류현,후한성입임유,진이후위비여현지。
③-2 隋唐為盧龍縣地,後僑置營州栁城縣。遼改縣曰廣寧,金又改曰昌黎。
③-2 수당위노룡현지,후교치영주류성현。요개현왈광녕,금우개왈창려。
▲ 우공추지(禹貢錐指) 11권(卷)..
-
▶ ③-1 창려(昌黎)는 본디 한나라(漢) 당시의 류현(絫縣)이고, 후한(後漢)의 성(省)은 임유(臨渝)에 들어갔으며, 진나라(晉) 시대 이후에는 비여현(肥如縣) 지역 입니다.
▶ ③-2 수나라(隋)와 당나라(唐) 당시에는 노룡현(盧龍縣) 지역이고, 이후 임시로 영주(營州)의 류성현(栁城縣)을 두었습니다. 요나라(遼) 당시 그 현을 고쳐서 말하길 광녕(廣寧)이고, 금나라(金) 당시에 또 고쳐서 말하길 창려(昌黎) 입니다.
-
③-3 索隱,地理志云:碣石山在北平驪城縣西南。
③-3 색은,지리지운:갈석산재북평려성현서남。
③-4 太康地理志云:樂浪遂城縣有碣石山,長城所起。
③-4 태강지리지운:낙랑수성현유갈석산,장성소기。
③-5 又水經云:在遼西臨渝縣南水中。
③-5 우수경운:재요서임유현남수중。
▲ 사기(史記) 2권(卷)..
-
▶ ③-3 색은(索隱)이, 지리지(地理志)를 일러서 : 갈석산(碣石山)은 북평(北平)의 려성현(驪城縣) 서남쪽에 위치합니다.
▶ ③-4 태강지리지(太康地理志)가 일러서 : 낙랑(樂浪)의 수성현(遂城縣)에 갈석산(碣石山)이 있고, 장성(長城)이 일어나는 곳입니다.
▶ ③-5 또 수경주(水經注)가 이르길 : 요서(遼西) 임유현(臨渝縣)의 남쪽 강 가운데에 위치합니다.
-
③-6 通典:碣石山在漢樂浪郡遂成縣,長城起於此山。
③-6 통전:갈석산재한낙랑군수성현,장성기어차산。
③-7 通鑑地理通釋:通典,碣石山在漢樂浪郡遂城縣,長城起於此。
③-7 통감지리통석:통전,갈석산재한낙랑군수성현,장성기어차。
③-8 文獻通考:碣石山在漢樂浪郡遂城縣,長城起扵此。
③-8 문헌통고:갈석산재한낙랑군수성현,장성기어차。
-
▶ ③-6 통전(通典)에 따르면 : 갈석산(碣石山)은 한나라(漢) 당시의 낙랑군(樂浪郡) 수성현(遂成縣)에 위치하고, 장성(長城)은 이 산(갈석산)에 일어났습니다.
▶ ③-7 통감지리통석(通鑑地理通釋)에 따르면 : 통전(通典)에 따르면, 갈석산(碣石山)은 한나라(漢) 당시 낙랑군(樂浪郡)의 수성현(遂成縣)에 위치하고, 장성(長城)은 이 산(갈석산)에 일어났습니다.
▶ ③-8 문헌통고(文獻通考)에 따르면 : 갈석산(碣石山)은 한나라(漢) 당시 낙랑군(樂浪郡)의 수성현(遂城縣)에 위치하고, 장성(長城)은 이 곳에 일어났습니다.
-
▷ 1 창려(昌黎)는 본디 후한(後漢) 당시 임유현(臨渝縣)과 직접 관련되는 지명이었므로, 낙랑(樂浪)의 수성현(遂城縣)에 갈석산(碣石山)이 있다고 하였습니다.
따라서, 갈석산(碣石山)의 수성(遂城)과 왕험성(王險城)의 험독(險瀆)이 직접 관련되는 지명으로서 상세히 찾아보기로 합니다.
===============
④-1 遂城廢縣,縣西二十五里。
④-1 수성폐현,현서이십오리。
④-2 戰國時燕之武遂也。趙李牧伐燕,拔武遂、方城。
④-2 전국시연지무수야。조이목벌연,발무수、방성。
④-3 又秦破趙將扈輒於武遂,斬首十萬,即此。
④-3 우진파조장호첩어무수,참수십만,즉차。
④-4 漢爲北新城縣,屬中山國。後漢屬涿郡。晉屬高陽國。
④-4 한위북신성현,속중산국。후한속탁군。진속고양국。
④-5 後魏曰新城縣,屬高陽郡。世謂之英雄城。魏主詡孝昌中,營州陷。
④-5 후위왈신성현,속고양군。세위지영웅성。위주휴효창중,영주함。
④-6 永熙二年置南營州於此,領昌黎、遼東、建德、營丘、樂浪五郡,皆僑郡也。
④-6 영희이년치남영주어차,령창려、요동、건덕、영고、낙랑오군,개교군야。
④-7 北齊惟存昌黎一郡,領永樂、新昌二縣。隋開皇初,廢南營州。
④-7 북제유존창려일군,령영락、신창이군。수개황초,폐남영주。
④-8 三年並廢昌黎郡。十八年改置遂城縣,屬易州。唐因之。
④-8 삼년병폐창려군。십팔년개치수성현,속역주。당인지。
▲ 독사방여기요(讀史方輿紀要) 12권(卷) - 보정부(保定府)의 안숙현(安肅縣)..
-
▶ ④-1 수성(遂城)의 폐현(廢縣)은, 안숙현(安肅縣)의 서쪽 25리 입니다.
▶ ④-2 전국(戰國) 시대에 연나라(燕)의 무수(武遂) 입니다. 조나라(趙) 이목(李牧)이 연나라(燕)를 토벌하여서, 무수(武遂) ' 방성(方城)을 빼두었습니다(함락하였습니다).
▶ ④-3 또 진나라(秦)가 무수(武遂)에 조나라(趙) 장군 호첩(扈輒)을 깨뜨렸고, 머리 1십만을 베었으니, 즉 이 곳입니다.
▶ ④-4 한나라(漢) 당시 북신성현(北新城縣)이고, 중산국(中山國)에 속하였습니다. 후한(後漢) 당시 탁군(涿郡)에 속하였습니다. 진나라(晉) 당시 고양국(高陽國)에 속하였습니다.
▶ ④-5 후위(後魏) 당시 말하길 신성현(新城縣)이고, 고양군(高陽郡)에 속하였습니다. 세상에서 이 곳은 영웅성(英雄城) 이라고 합니다. 위나라(魏)의 주후(主詡) 효창(孝昌) 중기에는, 영주(營州)를 함정에 빠뜨렸습니다.
▶ ④-6 영희(永熙) 2년(533년) 당시 이 곳을 남영주(南營州)로 두었고, 령(領)은 창려(昌黎) ' 요동(遼東) ' 건덕(建德) ' 영고(營丘) ' 낙랑(樂浪) 등의 5군(郡) 이니, 모두 임시 군(郡)으로 하였습니다.
▶ ④-7 북제(北齊) 당시 오직 창려(昌黎) 1군(郡)을 보존하였고, 령(領)은 영락(永樂) ' 신창(新昌) 2현(縣) 입니다. 수나라(隋) 개황(開皇 : 581년 ~ 600년) 초기에는, 남영주(南營州)를 폐하였습니다.
▶ ④-8 개황(開皇) 3년(583년)에 창려군(昌黎郡)을 함께 폐하였습니다. 18년(598년)에 모두 수성현(遂城縣)으로 두었고, 역주(易州)에 속하였습니다. 당나라(唐) 당시 이 곳을 겹쳤습니다.
-
▷ 안숙현(安肅縣)은 하북(河北) 남부의 보정부(保定府)에서 북쪽 60리에 위치하는 지명이라고 합니다.
-
⑤-1 滿城縣,府西北四十里。
⑤-1 만성현,부서북사십리。
⑤-2 西南至完縣五十里,北至易州百二十里。
⑤-2 서남지완현오십리,북지역주백삼십리。
⑤-3 漢北平縣地,屬中山國。後魏主詡正光末,析置永樂縣,又僑置樂浪郡治焉。
⑤-3 한북평현지,속중산국。후위주후정광말,석치영락현,우교치낙랑군치언。
⑤-4 北齊爲昌黎郡治。隋初罷郡,以縣屬易州。唐仍爲永樂縣。天寶初,改爲滿城縣。
⑤-4 북제위창려군치。수초파군,이현속역주。당잉위영락현。천보초,개위만성현。
⑤-5 五代晉徙泰州治此。周廣順二年泰州廢,縣屬易州,尋又廢入清苑縣。
⑤-5 오대진사태주치차。주광순이년태주폐,현속역주,심우폐입청원현。
⑤-6 金復析置滿城縣,屬保州。
⑤-6 금복석치만성현,속복주。
▲ 독사방여기요(讀史方輿紀要) 12권(卷) - 보정부(保定府)..
-
▶ ⑤-1 만성현(滿城縣)은, 보정부(保定府)의 서북쪽 40리 입니다.
▶ ⑤-2 서남쪽으로 완현(完縣)까지 50리으로 이르고, 북쪽으로 역주(易州)까지 120리으로 이릅니다.
▶ ⑤-3 한나라(漢) 당시 북평현(北平縣) 지역이고, 중산국(中山國)에 속하였습니다. 후위(後魏) 주후(主詡) 정광(正光) 말기에는, 나눠서 영락현(永樂縣)을 두었고, 또 임시로 낙랑군(樂浪郡)을 두었으니 이에 다스렸습니다.
▶ ⑤-4 북제(北齊) 당시 창려군(昌黎郡)으로 다스렸습니다. 수나라(隋) 초기에 군(郡)을 파하였고, 이 현(縣)을 역주(易州)에 속하였습니다. 당나라(唐) 당시 영락현(永樂縣) 이라고 합니다. 천보(天寶 : 742년 ~ 756년) 초기에, 만성현(滿城縣)으로 고쳤습니다.
▶ ⑤-5 오대(五代) 시기의 진나라(晉) 당시 태주(泰州)에 옮겨서 이 곳을 다스렸습니다. 주나라(周) 광순(廣順) 2년(952년)에 태주(泰州)를 폐하였으며, 그 현(縣)을 역주(易州)에 속하였고, 이윽고 또 폐하면서 청원현(清苑縣 : 范陽)에 들어갔습니다.
▶ ⑤-6 금나라(金) 당시 복귀하여 나뉘고 만성현(滿城縣)을 두었고, 보주(保州 : 하북 남부의 보정)에 속하였습니다. 。
-
⑥-1 易州,府西北百二十里。
⑥-1 역주,부서북백이십리。
⑥-2 東至順天府涿州一百七十里,西北至山西蔚州二百二十里,北至保安州百二十里。
⑥-2 동지순천부탁주일백칠십리,서북지산서위주이백이십리,북지보안주백이십리。
⑥-3 春秋戰國時爲燕地。秦置上谷郡。漢屬涿郡。後漢因之。
⑥-3 춘추전국시위연지。진치상곡군。한속탁군。후한인지。
⑥-4 晉屬范陽國。後魏亦屬范陽郡。隋初曰昌黎郡,旋改易州。煬帝初,改曰上谷郡。
⑥-4 진속범양국。후위역속범양군。수초왈창려군,선개역주。양제초,개왈상곡군。
⑥-5 唐復爲易州開元十四年置高陽軍於郭內。天寶初,亦曰上谷郡。
⑥-5 당복위역주개원십사년치고양군어곽내。천보초,역왈상곡군。
⑥-6 乾元初,復故。五代晉開運二年沒於契丹孫方簡以易州叛,附於契丹。
⑥-6 건원초,복고。오대진개운이년몰어거란손방간이역주반,부어거란。
⑥-7 周顯德六年收復,仍曰易州。宋因之。端拱二年復爲契丹所陷,兼置高陽軍。
⑥-7 주현덕육년수복,잉왈역주。송인지。단공이년복위거란소함,겸치고양군。
⑥-8 宣和中,得其地亦曰遂武郡。尋沒於金,仍爲易州,屬中都路。
⑥-8 선화중,득기지역왈수무군。심몰어금,잉위역주,속중도로。
⑥-9 元初屬大都路。至元中,改屬保定路。
⑥-9 원초속대도로。지원중,개속보정로。
⑥-10 明初,仍曰易州,以州治易縣省入編户三十八里,領縣一。今仍爲易州。
⑥-10 명초,잉왈역주,이주치역현성입편호삼십팔리,령현일。금잉위역주。
▲ 독사방여기요(讀史方輿紀要) 12권(卷) - 보정부(保定府)..
-
▶ ⑥-1 역주(易州)는, 보정부(保定府)의 서북쪽 120리 입니다.
▶ ⑥-2 동쪽으로 순천부(順天府)의 탁주(涿州)까지 170리으로 이르고, 서북쪽으로 산서(山西) 지역의 위주(蔚州)까지 2백2십리으로 이르고, 북쪽으로 보안주(保安州)까지 120리으로 이릅니다.
▶ ⑥-3 춘추(春秋) 전국(戰國) 시대에는 연나라(燕) 지역이었습니다. 진나라(秦) 당시 상곡군(上谷郡)에 두었습니다. 한나라(漢) 당시 탁군(涿郡)에 속하였습니다. 후한(後漢) 당시 이곳을 겹쳤습니다.
▶ ⑥-4 진나라(晉) 당시 범양국(范陽國)에 속하였습니다. 후위(後魏) 당시 역시 범양군(范陽郡)에 속하였습니다. 수나라(隋) 초기에는 말하길 창려군(昌黎郡)이고, 두루 역주(易州)로 고쳤습니다. 양제(煬帝 : 수나라 왕) 초기에는, 고쳐서 말하길 상곡군(上谷郡) 입니다.
▶ ⑥-5 당나라(唐) 당시 역주(易州)로 복귀하고 개원(開元) 14년(726년)에는 성곽 안에 고양군(高陽軍)을 두었습니다. 천보(天寶 : 742년 ~ 756년)) 초기에는, 역사 말하길 상곡군(上谷郡) 입니다.
▶ ⑥-6 건원(乾元 : 758년 ~ 760년) 초기에는, 예전(역주)으로 복귀하였습니다. 오대(五代) 시기 진나라(晉) 개운(開運) 2년(945년)에 거란(契丹)에게 빼앗겨서 손방간(孫方簡)은 역주(易州)에 배반했고, 거란(契丹)에 붙었습니다.
▶ ⑥-7 주나라(周) 현덕(顯德) 6년(959년)에 수복하였고, 이로 인하여 말하길 역주(易州) 입니다. 송나라(宋) 당시 이 곳을 겹쳤습니다. 단공(端拱) 2년(989년)에 거란(契丹)의 소관 지역을 함락해서 회복하였고, 함께 고양군(高陽軍)을 두었습니다.
▶ ⑥-8 선화(宣和 : 1119년 ~ 1125년) 중기에는, 그 땅을 얻어서 역시 말하길 수무군(遂武郡) 입니다. 금나라(金)에게 심히 빼앗겼고, 이로 인하여 역주(易州)를, 중도로(中都路 : 금나라의 지명)에 속하였습니다.
▶ ⑥-9 원나라(元) 초기에는 대도로(大都路)에 속하였습니다. 원나라(元) 중기 시대에 이르러서, 고쳐서 보정로(保定路)에 속하였습니다.
▶ ⑥-10 명나라(明) 초기, 이로 인하여 말하길 역주(易州)이고, 이 주(州)에 역현(易縣)을 다스리며 성(省)에 편호(編户) 38리으로 들어가니 령(領)의 현(縣)은 하나 입니다. 지금 이로 인하여 역주(易州) 입니다.
-
⑥-11 保定府,東至河間府靜海縣三百五十里。
⑥-11 보정부,동지하간부정해현삼백오십리。
⑥-12 東南至河間府二百十里,西南至真定府定州百五十里。
⑥-12 동남지하간부이백십리,서남지진정부정주백오십리。
⑥-13 西北至山西蔚州二百八十里,北至保安州二百六十里。
⑥-13 서북지산서어주이백팔십리,북지보안주이백육십리。
▲ 독사방여기요(讀史方輿紀要) 12권(卷) - 보정부(保定府)..
-
▶ ⑥-11 보정부(保定府)는, 동쪽이로 이르러 하간부(河間府)의 정해현(靜海縣)까지 350리으로 이릅니다.
▶ ⑥-12 동남쪽으로 하간부까지 210리으로 이르고, 서남쪽으로 진정부(真定府)의 정주(定州)까지 150리으로 이릅니다.
▶ ⑥-13 서북쪽으로 산서(山西) 지역의 어주(蔚州)까지 280리으로 이르고, 북쪽으로 보안주(保安州)까지 260리으로 이릅니다.
-
▷ 왕험성(王險城)과 험독(險瀆)이 직접 관련되는 창려(昌黎)는 수성(遂城), 만성(滿城), 역주(易州) 등과 연결되어 있어서, 모두 하북(河北) 남부의 보정(保定)에 들어 있습니다.
-
▷ 따라서, 하북(河北) 이남 지역의 보정(保定)은 한때 연주(燕州) 지역의 상곡(上谷)에 속하는 지명이었기 때문에 연나라(燕) 사람 출신인 위만(衛滿)이 패수(浿水)를 건너와서 빼앗은 고조선(古朝鮮)의 도읍은 원래 창려(昌黎)이기도 하는 보정(保定) 이었던 셈입니다.
-
※ 창려(昌黎)의 왕험성(王險城)은 위만(衛滿)의 옛 도읍 뿐만 아니라 기자(箕子)의 옛 도읍이기도 하였습니다. ①-5 부분 기록과 ②-6 부분 기록을 봐도 명백히 알 수 있는 것입니다.
그렇다면, 기자(箕子)의 무덤 및 거처가 어디인지 상세히 찾아보기로 합니다.
===============
⑦-1 杜預雲:梁國蒙縣有箕子冢。
⑦-1 두예운:양국몽현유기자총。
⑦-2 集解,杜預曰:梁國蒙縣有箕子冢。
⑦-2 집혜,두예왈:양국몽현유기자총。
⑦-3 杜預曰:梁國䝉縣有箕子。
⑦-3 두예왈:양국몽현유기자。
▲ 사기(史記) 38권(卷)..
-
▶ ⑦-1 두예(杜預)가 이르길 : 양국(梁國)의 몽현(蒙縣)에 기자(箕子)의 무덤이 있습니다.
▶ ⑦-2 집해(集解)에 따르면, 두예(杜預)가 말하길 : 양국(梁國)의 몽현(蒙縣)에 기자(箕子)의 무덤이 있습니다.
▶ ⑦-3 두예(杜預)가 말하길 : 양국(梁國)의 몽현(䝉縣)에 기자(箕子)가 있습니다.
-
⑦-4 杜預曰:梁國蒙縣北有薄伐城,城中有成湯冢,其西有箕子冢。
⑦-4 두예왈:양국몽현북유박벌성,성중유성탕총,기서유기자총。
▲ 수경주(水經注) 23(卷)..
-
▶ ⑦-4 두예(杜預)가 말하길 : 양국(梁國)의 몽현(蒙縣) 북쪽에 박벌성(薄伐城)이 있고, 성 가운데에 성탕(成湯 : 은나라의 왕)의 무덤이 있고, 그 성의 서쪽에 기자(箕子)의 무덤이 있습니다.
-
⑦-5 梁國蒙縣亳:梁國蒙縣西北有亳,城中有成湯,其西有箕子。
⑦-5 양국몽현박:양국몽현서북유박,성중유성탕,기서유기자。
▲ 춘추석례(春秋釋例) 5권(卷)..
-
▶ ⑦-5 양국(梁國)의 몽현(蒙縣) - 박(亳 : 은나라의 서울):양국(梁國)의 몽현(蒙縣) 서북쪽에 박(亳 : 은나라의 서울)이 있고, 성 가운데에 성탕(成湯 : 은나라의 임금)이 있고, 그 성 서쪽에 기자(箕子)가 있습니다.
-
※ 양국(梁國)의 몽현(蒙縣)에 관하여 상세히 찾아보기로 합니다.
-
⑦-6 蒙城,在府東北四十里,亦曰大蒙城。
⑦-6 몽성,재부동북사십리,역왈대몽성。
⑦-7 國語:楚申無宇曰:宋有蕭、蒙。又有蒙澤,在城東北三十五里。
⑦-7 국어:초신무우왈:송유소、몽。우유몽택,재성동북삼십오리。
⑦-8 左傳:莊十二年宋萬弒閔公於蒙澤。漢置蒙縣,屬梁國。
⑦-8 좌전:장십이년송만시민공어몽택。한치몽현,속양국。
▲ 독사방여기요(讀史方輿紀要) 50권(卷) - 하남(河南) 귀덕부(歸德府)..
-
▶ ⑦-6 몽성(蒙城)은, 귀덕부(歸德府)의 동북쪽 40리 이고, 역시 말하길 대몽성(大蒙城) 입니다.
▶ ⑦-7 국어(國語 : 중국의 원문 사서)에 따르면 : 초나라(楚)의 신무우(申無宇)가 말하길 : 송나라(宋 : 춘추전국시대)에 소(蕭 : 맑은 대쑥) ' 몽(蒙 : 토사자(兎絲子 : 새삼의 씨 : 한약재))가 있습니다. 또 몽택(蒙澤)이 있고, 성의 동북쪽 35리에 위치합니다.
▶ ⑦-8 춘추(春秋) 좌전(左傳)에 따르면 : 장(莊) 12년(기원전 648년)에 송만(宋萬)이 몽택(蒙澤)에 민공(閔公)을 시해하였습니다. 한나라(漢) 당시 몽현(蒙縣)을 두었고, 양국(梁國)에 속하였습니다.
-
⑦-9 商丘即此,今為河南歸徳府之商丘縣。
⑦-9 상구즉차, 금위하남귀덕부지상구현。
▲ 오례통고(五禮通考) 209권(卷)..
-
▶ ⑦-9 상구(商丘)는 즉 이 곳이니, 지금 하남(河南) 귀덕부(歸徳府)의 상구현(商丘縣) 입니다.
-
⑦-10 蒙縣在商丘北五十里。
⑦-10 몽현재상구북오십리。
▲ 상서비전(尚書埤傳) 7권(卷)..
-
▶ ⑦-10 몽현(蒙縣)은 상구(商丘)의 북쪽 50리에 위치합니다.
-
▷ 현재 산동성(山東省) 남서부의 백마하(白馬河)와 하남성(河南省) 동북부의 상구(商丘) 북쪽 사이에 기자(箕子)의 무덤이 있다고 하였습니다.
===============
첫댓글 안녕하세요. 현조님!
좋은 내용, 잘 봤습니다.
감사드리며,
늘 건강하시길 기원드립니다.
보정이 상곡에 속한 곳이라고 하면 "상곡(上谷)과 한주(桓州)의 비밀.."에서 말씀하신 상곡과 같은 곳인가요?
만약 같은 곳이라면 보정과 상곡은 거리가 너무 먼데요....이부분이 이해가 잘 안되네요
그리고 텐진에서 동북방향으로 천황도시 아래에 창려현이라는 지명이 있습니다 이 지명은 옛 지명 그대로라고 하던데요
이곳 창려와 보정현에 있었다는 창려는 다른 곳인가요?
독사방여기요(讀史方輿紀要) 12권(卷) 기록에 따르면, 보정부(保定府)의 안숙현(安肅縣)에 속하는 수성(遂城)은 창려(昌黎) 일군에 해당하는 지명이라고 했습니다. 창려(昌黎)는 본디 처음부터 보정부(保定府)와 겹쳐진 지명으로서 존재해왔다는 말입니다.
천진(天津)에서 동북쪽으로 위치하는 창려(昌黎)는 사실 기록과는 전혀 다르게 중화인민공화국의 입장에 반영하여 동쪽으로 이동하는 가짜 지명이라고 생각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