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사진] 만주 집안에 있는 고구려의 옛 국내성 무덤군(上)과 안악 1호분의 기린도(下)
늙거든 내다 버려라?
불교경전 설화에서 기인 추측 실재 증거는 빈약…전설에 불과
우리가 사용하는 국어사전에는 고려장이란 항목이 있다. 민중서림의 '엣센스 국어사전’은 “고구려 때, 늙고 병든 사람을 산 채로 광중에 두었다가 죽으면 그 속에 매장하였던 일”이라고 기록하고 있고, 성안당의 '국어대사전’에는 “고구려 때에, 늙어서 쇠약한 이를 산 채로 구덩이나 묘실(墓室)에 옮겨 두었다가, 죽은 뒤에 그곳에서 장사지내는 풍습”이라고 적고 있다. 이처럼 고려장은 국어사전에까지 올라있기에 대부분 사실로 알고 있다. 그러나 고려장이 실제로 존재했던 증거를 대라면 별 증거를 대지 못하고 있다. 고려장은 실제 있었을까?
70세 넘으면 산에 유기 왕명·민간관습설 전래
고려장은 전설로 내려오고 있는데, 그 내용에는 크게 두 가지가 있다. 하나는 고려시대 때 국왕의 명으로 존재했다는 것이고, 다른 하나는 민간에서 시행하는 관습이었다는 것이다.
국왕의 명에 따른 고려장 전설은 이렇다. 노인들을 보기 싫어하던 국왕이 70세 이상의 노인은 산에다 갖다 버리라고 명령했다. 한 효자는 차마 부친을 갖다 버릴 수 없어 고려장했다고 소문내고 집에다 모셔두었다. 그 후 중국 사신이 와서 말의 어미와 새끼를 구별할 수 있는가? 나무의 상하를 구별할 수 있는가? 코끼리의 무게를 알 수 있는가? 등의 문제를 냈는데, 아무도 풀지 못했다. 결국 숨겨 두었던 효자의 부친이 이 문제를 풀어 나라를 위기에서 구했고, 문제를 푼 사람이 부친이라는 효자의 고백을 들은 국왕이 고려장을 폐지했다는 내용이다.
민간의 고려장 풍습 전설은 이렇다. 옛날에 70세(혹은 60세)가 되면 산 채로 산에다 갖다 버리는 고려장 풍습이 있었다. 한 아들이 70세가 된 아버지를 지게에 싣고 산으로 가서 버렸다. 함께 따라갔던 손자가 지게를 가져오려 하자 아버지가 말렸다. 손자가 나중에 아버지가 늙으면 갖다버리는데 쓰려고 한다고 대답하자, 크게 깨달은 아버지가 노인을 다시 모시고 내려와 효도했다는 내용이다.
여기에 늙은 아버지가 혹시 아들이 길을 잃을까봐 나뭇가지를 꺾어 표시하는 것을 보고 아들이 크게 반성했다는 변형된 내용도 있다.
고려 유·불교숭상 사회 부모 유기는 어불성설
국어사전은 '고구려’ 시대 때 일이라고 못 박고 있으나 대부분 사람들은 고려시대 때 일로 인식하고 있다. 그만큼 그 진상은 불분명한 것인데, 고구려의 구(句)자는 훗날 왕건이 건국한 고려와 구별하기 위해 넣은 글자라는 점에서 이런 혼동은 이해될 수 있지만 고려장이 실존했는지를 알아보기 위해서는 고구려와 고려의 장례 풍습을 모두 살펴보아야 한다.
3세기 때의 중국 기록인 '삼국지’ 위지 동이전 고구려조는 “장례는 후하게 하는데 금·은과 재화를 사자(死者)를 보내는데 다 쓴다. 돌을 쌓아 봉분을 만들고 무덤 둘레에는 송백(松柏)을 심는다.”라고 기록하고 있다.
이는 고구려가 환도성(만주 통구)에 있던 때의 기록인데 장례에 재산을 모두 다 쓸 정도였으며, 돌을 쌓아 봉분을 만들고 둘레에 송백까지 심어 장엄하게 꾸몄던 나라에서 나이 든 부모를 산에다 갖다 버릴 수는 없는 노릇이다.
고려는 불교와 유교가 성했던 나라인데, 불교나 유교 모두 부모에 대한 효도를 중시한다는 점에서 고려시대에 부모를 버리는 고려장이 있었다고 보기는 곤란하다. 고려도 장례를 후히 치렀던 풍습이 있었음은 여러 전거를 들 수 있다. '고려사’에 따르면 예종 11년에 왕은 천수사에 행차해 태후의 명복을 빌었다는 기록이 있으며, 목은 이색이 찬한 '농상집요(農桑輯要)’에는 “고려 풍속에 장례 때나 제사 때에 고기를 먹지 않고 소식(素食)한다”는 기록이 있다.
국왕이 절에 행차해 태후의 명복을 빌고 민간 풍습에 장례 때 고기를 먹지 않을 정도로 경건하게 지냈던 고려에서 고려장이 있었다는 것은 신뢰하기 어렵다. 결국 고구려나 고려 모두 고려장이 있었다고 보기는 어렵다.
中·日에도 유사 설화 존재 경로사상 강조 위해 변형
그러면 고려장 전설은 왜 생겨났을까? 이는 불교 경전의 설화에서 기인한 것으로 추측할 수 있다. 불교경전인 '잡보장경(雜寶藏經)’에 실려 있는 '기로국(棄老國:노인을 버리는 나라) 이야기’가 그것이다. 이 기로국 이야기는 앞에서 소개한 국왕의 명령으로 노인을 버리다가 중국 사신의 질문에 노인이 답변함으로써 고려장이 폐지되었다는 내용과 흡사한데, 중국 사신 부분이 천신(天神)으로 바뀐 것만 다르다. 이 점을 볼 때 고려장 설화는 불교의 기로국 전설이 변이된 것으로 추측할 수 있다.
중국과 일본에도 비슷한 설화가 있다. 중국의 '효자전(孝子傳)’이 그것인데, 여기에는 원곡(原穀)이란 인물이 할아버지를 갖다버리는 아버지를 회개시키는 주인공으로 등장한다. '효자전’은 할아버지를 갖다 버린 기구가 지게가 아니라 수레(輿)라는 점만 다르다. 일본에서는 '명의해(命義解)’란 책에 중국의 '선현전(先賢傳)’을 인용해 비슷한 내용을 전하고 있는데, 그 풍습이 중국의 유주(幽州) 가까운 곳에 사는 북적(北狄)이란 민족이란 점만 다르다. 결국 기로(棄老) 전설은 노인을 잘 모셔야 한다는 경로사상이 전설의 형태로 변형되어 전해진 것에 지나지 않는다.
이 덕 일<한가람역사문화연구소 소장>
노인의 지혜
중국 사신이 낸 문제 중 말의 어미와 새끼를 구별하는 문제에 대해서 노인은 먹이를 주어보면 어미는 반드시 새끼에게 먼저 먹이를 밀어줄 것이므로 나중에 먹는 것이 어미라고 답했다.
또한 나무의 상하를 구별하는 문제는 나무를 물속에 넣으면 뿌리 쪽이 가라앉고 위쪽이 위로 떠오른다고 답변하는 지혜를 발휘했다.
코끼리의 무게를 재는 문제는 코끼리를 배에 태워 못 속에 넣고 배에 나타난 금을 표시한 후 다시 무게를 단 돌을 넣어 그 금만큼 되면 그것으로 코끼리의 무게를 알 수 있다고 답변했다.
이외에 불교 기로국 전설에서 천신이 낸 문제 중에는 '두 마리 뱀의 암수를 구별할 수 있는가?’란 질문도 있는데 노인은 부드러운 것 위에 올려놓았을 때 요란하게 움직이는 것이 수컷이고, 움직이지 않는 것이 암컷이라고 답했다.
대한교원신문 2004.3.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