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출처: 중앙소방안전학원 원문보기 글쓴이: 중앙소-
ㄱ |
가공전선(架空電線):전기를 보내기 위한 전선을 공중에 설치한 전선
기동용 수압개폐장치:소화설비의 배관내 압력변동을 검지하여 자동적으로 펌프를 기동 및 정지시키는 것으로서, 압력챔버 또는 기동용 압력스위치를 말함.
가시거리:짙은 연기 속에서 육안으로 사물을 식별할 수 있는 거리
가소성(可塑性):외부의 힘에 의해 영구적으로 변형된 상태의 성질 것. 塑性
가솔린(gasoline, 휘발유):인화점 -43~-20도, 발화점 300도, 무색, 투명한 액상으로 물에 녹지 않고 유지 등을 잘 녹이며 유기용제와 잘 혼합된다. 비전도성으로 정전기가 잘 발생되며, 다양한 연료로서, 증기는 공기보다 무겁다.
▶연소범위:1.4~7.6
가스계소화설비:이산화탄소, 할로겐화합물 등의 가스계 소화약제를 이용하여 화재를 진화하는 소화설비
가스누설경보기:가스가 새는 것을 탐지하여 관계자나 이용자에게 경보하여 주는 기구
가스누설경보기 단독형:가스누설경보기 탐지부와 수신부가 1개의 상자에 넣어 일체로 되어있는 형태의 경보기
가스누설경보기 부속장치:가스누설경보기에 연결하여 사용되는 환풍기 또는 지구경보부 등에 작동하여 신호원을 공급시켜 주기 위하여 경보기에 부수적으로 설치되어진 장치
가스누설경보기 분리형:가스누설경보기 탐지부와 수신부가 분리되어 있는 형태의 경보기
가스누설경보기 수신부:탐지부에서 발하여진 가스누설신호를 직접 또는 중계기를 통하여 수신하고 이를 관계자에게 음향으로서 경보하여 주는 부분
가스누설경보기 지구경보부:가스누설경보기의 수신부로부터 발하여진 신호를 받아 경보음을 발하는 것으로서 경보기에 추가로 부착하여 사용되는 부분
가스누설경보기 탐지부:가스누설을 검지하여 중계기 또는 수신부에 가스누설의 신호를 발신하는 부분 또는 가스누설을 검지하여 이를 음향으로 경보하고 동시에 중계기 또는 수신부에 가스누설의 신호를 발신하는 부분
가스비중:동일한 온도와 압력하에 있는 건조한 공기의 같은 양의 무게에 대한 가스 무게의 비율
가스폭발:가연성 가스가 폭발범위에 있을 때 가열 또는 점화원에 의해 일시에 연소되는 폭발 현상
가압송수장치:물을 송수할 수 있는 모터펌프(물올림장치, 압력챔버)를 말함
가압식 소화기:소화약제의 방출원이 되는 가압가스를 소화기 본체용기와는 별도의 전용용기에 충전하여 장치하고 소화기 가압용가스용기의 작동봉판을 파괴하는 등의 조작에 의하여 방출되는 가스의 압력으로 소화약제를 방사하는 방식의 소화기
가연성가스:공기 중에서 연소하는 가스로서, 폭발한계의 하한이 10% 이하인 것과 폭발한계의 상한과 하한의 차이가 20% 이상인 것을 말한다.
가연성 물질:쉽게 발화하여 연소할 수 있는 고체, 액체, 기체 등에 대한 총칭
가연성분해생성물:일산화탄소, 수소, 알코올류, 알데히드류, 고체가연물 등 열에 의해 분해된 것
가요전선관:굴곡 장소가 많은 곳에 구부러짐을 가질 수 있는 전선관
가역:물질의 상태를 변화시켰다가 원래의 상태로 복귀시켰을 때 외계에 아무런 변화가 없는 경우(비가역:열의전도, 마찰 등)
각지:소방기관이 화재 등의 통보를 받고 인지하는 것
간벽:사이벽. 외부에 접하지 아니한 건물내부 사이벽
간이완강기:지지대 또는 단단한 물체에 걸어서 사용자의 몸무게에 의하여 자동적으로 내려올 수 있는 기구중 사용자가 교대하여 연속적으로 사용할 수 없는 1회용의 것
간이형 화재경보기 가스누설수신용:수신부 및 탐지부로 구성된 것 또는 여기에 중계부 등이 함께 구성된 것으로서 도난경보, 원격제어 기능 등이 복합적으로 구성된 경보기
간이형 화재경보기 가스누설지구표시등:수신부가 가스누설신호를 수신하는 경우 가스누설이 발생한 경계구역의 위치를 자동적으로 표시하여 주는 표시등. 누설지구등
간이형 화재경보기 복귀스위치:화재등, 화재지구등, 누설등 및 누설지구등이 점등되는 경우 감지기 또는 탐지부가 작동상태로 있는지의 여부를 확인하기 위하여 수신부에 설치되는 스위치.
간이형 화재경보기 부속장치:화재경보기능 및 가스누설경보기능 외에 부수적 기능을 가지는 부분으로서 수신기에 추가적으로 설치하거나 분리된 상태로 연결하여 사용하는 도난경보, 인터폰, 전화기 및 기타 각종 가전제품 등의 원격제어, 지구경보부 또는 가스를 환기시키기 위한 환풍기 등의 장치
간이형 화재경보기 수신부:감지기에서 발하는 화재신호나 탐지부에서 발하는 가스누설신호를 직접 또는 중계부를 통하여 수신하고 이를 관계자나 이용자에게 음향경보 또는 음성경보를 발하여 주는장치
간이형 화재경보기 중계부:감지기에서 발하는 화재신호나 탐지부에서 발하는 가스누설신호를 받아 그 신호를 수신부로 중계하여 주는 장치
간이형 화재경보기 지구경보부:수신부에 추가로 연결하여 사용하는 음향장치로서 화재발생 또는 가스누설 발생시 수신부에서 발하는 경보신호를 받아 음향경보 또는 음성경보를 발하여 주는 장치. 지구경보부
간이형 화재경보기 탐지부:가스누설경보기 중 단독형경보기를 탐지부로 사용하는 장치
간이형 화재경보기 화재수신용 및 가스누설수신용:수신부․감지부 및 탐지부로 구성된 것 또는 중계부 등이 함께 구성된 것으로서 도난경보, 원격제어 기능 등이 복합적으로 구성된 경보기
간이형 화재경보기 화재지구표시등:수신부가 화재신호를 수신하는 경우 화재가 발생한 경계구역의 위치를 자동적으로 표시하여 주는 표시등. 화재지구 등
감광보상률:감광을 애당초 보상해 두는 것. 기호(D)
감식:화재원인의 판정을 위하여 전문적인 지식과 기술, 경험 등을 활용하여 시각 위주로 종합적인 판단에 따라 사실관계를 명확하게 규명하는 것
감열체(스프링클러):정상상태에서는 방수구를 막고 있으나 열에 의하여 일정한 온도에 도달하면 스스로 파괴ㆍ용해되어 헤드로부터 이탈됨으로써 방수구가 열리어져 스프링클러헤드가 작동되도록 하는 부분
감정:화재와 관계되는 물건의 형상, 구조, 재질, 성분 등과 관련된 모든 형상에 대해 과학적인 방법에 따라 필요한 실험 결과를 토대로 화재의 원인을 밝히기 위해 자료를 얻는 과정
감지기:화재시에 발생하는 열, 불꽃 또는 연기로 인하여 화재발생을 자동적으로 감지하여 그 자체에 부착된 음향장치로 경보를 발하거나 이를 수신기에 발신하는 기구
감지부:화재에 의해 발생하는 열, 연기 등을 이용하여 자동적으로 화재의 발생을 감지하는 것
갓복도식:복도가 중앙으로 되지 아니한 복도식
강풍:강하게 부는 바람이다. 특히 기상특보 측면에서 볼 때 육상에서 부는 강한 바람
강화액:소화효과를 증대시키기 위해 연소 억제 작용이 있는 염을 물에 첨가한 것으로, 일반적으로 알칼리금속염 또는 탄산칼리 등을 주성분으로 한 수용액
개구부:출입구와 같은 것으로서 벽을 설치하지 않는 부분을 총칭한다. 건축물에서 채광, 환기, 통풍, 출입 등에 쓰기 위한 창이나 출입구의 열린 부분을 말한다
개방형스프링클러헤드:감열체없이 방수구가 항상 열려져있는 스프링클러헤드
개별검정:개개의 소방용기계. 기구등의 형상등이 이미 형식승인을 얻은 소방용기계. 기구 등의 형상 등과 동일한가의 여부를 검정하는 것
개수(改修):고치어 바로 잡음
개축:기존 건축물의 전부 또는 일부(내력벽. 기둥. 보. 지붕틀 중 3개 이상이 포함되는 경우를 말한다)를 철거하고 그 대지 안에 종전과 동일한 규모의 범위 안에서 건축물을 다시 축조하는 것
개폐표시형밸브:밸브의 개폐여부를 외부에서 식별이 가능하면서, 또한 밸브의 개폐여부를 제어반에 신호로써 전달할 수 있는 스위치가 부착되어 소방용으로 사용할 수 있는 밸브 .개폐밸브
개폐기:옥내배선의 전기회로를 개폐하는 기기로 스위치라 함
객석유도등:객석의 통로, 바닥 또는 벽에 설치하는 유도등
건성유:공기 중에 방치할 경우 산소를 흡수해서 수지상의 투명한 고체로 변화하는 성질을 갖는 기름을 말한다
거실:거주․ 집무․ 작업․ 집회․ 오락 등을 대상으로 사람이 오랜시간 머무르는 장소(복도․현관․계단실․기계실․변소․욕실은 제외)
거실통로유도등:거실, 주차장등 개방된 복도에 설치하는 유도등으로 피난의 방향을 명시하는 것
건류:석탄, 숯 따위와 같은 고체를 가열하여 휘발성 물질을 모으는 일
건식 스프링클러:한냉지역에 이용되는 스프링클러의 한 방식으로 건식밸브의 이전은 물. 건식밸브 이후 헤드까지는 압축공기 또는 압축질소가 가압된 스프링클러의 한 방식
건식 스프링클러헤드:물과 오리피스가 배관에 의해 분리되어 동파를 방지할 수 있는 헤드
건식 유수검지장치:1차측에 가압수 등을 채우고 2차측에 가압공기를 가득 채운상태에서 폐쇄형 스프링클러헤드 등이 열린 경우 2차측의 압력저하에 의하여 시트가 열리어 가압수등이 2차측으로 유출하는 장치
건조사:마른 모래를 말한다. 소방에서 사용방법은 마른 모래를 이용하여 간이소화용구로 사용하거나 또는 위험물 지하탱크저장소의 탱크조실을 채우기도 한다
건축허가등:건축허가 및 사용승인을 말함
검인:점검실시자가 점검한 소방시설 중 당해 결과가 소방법령에 적정함을 나타냄으로써 점검책임과 관계인의 적정관리유지 책임을 확실히 할 수 있도록 하는 표지
검출기:자동제어의 검출부를 형성하는 기구
검출부:자동제어의 온도 등의 제어량을 검출하여 변위, 전류 등의 목표값과 비교제어 신호로 변화하는 부분과 검찰단을 조합하는 부분을 말한다.
격납고:비행기 따위를 넣는 창고
격벽:구조물을 간막이 하기 위하여 만든 벽체 그 간막이 벽
견직물:누에고치에서 뽑아낸 실로 짠 천(silk)
결합금속구:소방호스 및 소방용흡수관등의 접속부분을 결합하기 위한 이음쇠로서 그 종류는 소방호스용 연결금속구, 중간연결금속구, 흡수관용 연결금속구 등이 있다.
겸업자산:소방설비공사업 이외의 영업에 제공된 자산
경계:잘못이 없도록 미리 조심함
경계구역:소방대상물 중 화재신호를 발신하고 그 신호를 수신 및 유효하게 제어할 수 있는 구역
경계신호:화재예방상 필요하다고 인정시 또는 이상기상 경보시 발하는 소방신호.
경계전로:경계전선로를 말함
경년감가율:건축, 기계 등의 피해자산의 내용년수 경과에 따른 사용손모와 자연손모로 인한 자산가치의 체감을 정액비율로 표시한 것
경년용량저하:해가 거듭할수록 변하는 사용량의 저하
경방조사:지리, 수리 및 건물상황을 정기적으로 조사하여 화재 등의 재해 발생시에 신속 정확하게 활용할 수 있도록 사전에 조사하는 것을 말함
경보기구:자동화재탐지설비, 자동화재속보설비, 누전경보기, 가스누설경보기 등 화재의 발생 또는 화재의 발생이 예상되는 상황에 대하여 경보를 발하여 주는 설비
경보설비:화재발생 사실을 통보하는 기계. 기구 또는 설비를 총칭한다. 그 종류는 비상벨 및 자동식사이렌설비(비상경보설비), 단독경보형감지기, 비상방송설비, 누전경보기, 자동화재탐지설비 및 시각경보기, 자동화재속보설비, 가스누설경보기, 통합감지시설 등이 있다
경사강하식구조대:소방대상물에 비스듬하게 고정시키거나 설치하여 사용자가 미끄럼식으로 내려올 수 있는 구조대
경상:중상 이외의 가벼운 부상. 2주까지의 입원이나 입원을 포함하지 않는것
경종:경보기구 또는 비상경보설비에 사용하는 벨등의 음향장치
경판(압력챔버):몸체의 압력을 지탱하는 동체의 양단의 곡면판
계단통로유도등:피난통로가 되는 계단이나 경사로에 설치하는 통로유도등으로 바닥면 및 디딤바닥면을 비추는 것
계면활성제:용액 표면에 있어서 높은 표면 활성을 나타내며, 또 용액 내부에서 임계 미셀 농도 이상으로 미셀콜로이드를 형성하는 물질. 표면활성제
계벽:서로 접하는 건물사이에 경계를 이루고 있는 벽
고가수조:옥상 등에 설치되는 고가물탱크를 말함
고분자:분자량이 10,000 이상인 유기화합물
고발포:포소약제에 쓰이는 소화원액의 팽창비에 따른 구분으로 위험물 화재시에 팽창비를 80~1000미만으로 하여 표면을 포(거품)로 덮어서 소화시키는 소화방법의 일종이다
고압:601~7,000V 이하(직류 751~7,000 이하)
고압가스:압축 또는 액화되어 고압으로 충전되어 있는 가스. 고압가스는 압축가스, 액화가스, 용해가스로 분류됨
고정식사다리:항시 사용 가능한 상태로 소방대상물에 고정되어 사용되는 사다리(수납식․접는식․신축식을 포함)
고정포방출구:포를 주입시키도록 설계된 탱크, 방유제 또는 기타 구획 구조물에 영구적으로 부착된 포소화설비의 포방출장치
고층건축물:소방관련법상 지하층을 제외한 층수가 11층 이상인 건축물을 말한다
고체연료:기체연료나 액체연료에 대한 상대적인 뜻으로 목재, 석탄, 목탄, 코코스, 연탄 등을 말한다.
골재:시멘트와 섞어서 콘크리트를 만드는 전충재. 모래, 자갈 따위
공기관:공기를 수용하는 가운데가 텅빈 동관(화학공장은 비닐관을 사용)
공기밸브:디맨드밸브와 압력디맨드밸브의 총칭
공기안전매트:화재발생시 사람이 건축물내에서 외부로 긴급히 뛰어내릴 때 충격을 흡수하여 안전하게 지상에 도달할 수 있도록 포지에 공기 등을 주입하는 구조로 되어 있는 인명구조장비
공기포소화약제:물과 공기포를 혼합하여 만든 소화약제. 거품을 형성시키는 방법에는 화학반응에 의한 화학포와 포원액과 물이 혼합된 수용액에 공기를 혼합시키는 방법의 두 가지가 있다
공기호흡기:소화활동시에 화재로 인하여 발생하는 각종 유독가스중에서 일정시간 사용할 수 있도록 제조된 압축공기식 개인호흡장비로서 면체, 고압공기용기, 공급밸브, 배기밸브, 감압밸브, 등지게, 압력지시계, 경보장치, 급기호스 등으로 구성된 것
공동방화관리:그 건축물내 관리의 권원이 있는 사람이 협의하여 여럿이서 하는 방화관리
공용배전반:소방회로 및 일반회로 겸용의 것으로서 개폐기, 과전류차단기, 계기, 그 밖의 배선용기기 및 배선을 금속제 외함에 수납한 것
공용분전반:소방회로 및 일반회로 겸용의 것으로서 분기 개폐기, 분기 과전류차단기, 그 밖의 배선용기기 및 배선을 금속제 외함에 수납한 것
공용큐비클식:소방회로 및 일반회로 겸용의 것으로서 수전설비, 변전설비, 그 밖의 기기 및 배선을 금속제 외함에 수납한 것
공조:공기조화설비를 말함
공중선:전파를 발사하거나 흡수하기 위해 공중에 도선을 늘인 장치(안테나)
공진:어느 파동의 주파수와 그 물체 또는 전기회로등의 고유진동주파수와 일치시 일어나는 현상
공창작동전류:기기를 작동시키기 위한 일정한 전류의 값
공칭전압:송배전선 전기기구 등에 대하여 결정된 전압
공통선:회로의 저항치에 의하여 7경계구역마다 증설하는 지구선(회로선)
과도현상:스위치를 닫은 후 정상상태에 이르는 사이에 일어나는 여러 현상( 반짝하는 현상)
과산화수소:농도 36[wt%] 이상일 때 위험물로 분류. 무색액체로 소독제, 표백제로 쓰임
과전류:장비의 정격 전류치를 초과하여 전선이나 전선절연물의 온도를 위험 수위까지 상승케 하는 전류. 과부하나 단락, 지락 등에 의해 발생한다.
과전류차단기:전로에 이상전류가 흘렀을 때 순간적으로 차단하는 기기로 퓨즈, 배선용 차단기 등이 있다.
과태료:과실 태만에서 나온 말로서 공법상의 의무이행을 나태하게 한 사람이 벌로 과하는 돈
관계인:소방대상물의 소유자. 관리자 또는 점유자를 말한다.
관계지역:소방대상물이 있는 장소 및 그 이웃지역으로서 화재의 예방. 경계. 진압, 구조. 구급 등의 활동에 필요한 지역을 말한다.
관리 상황:당해 특수장소의 구조 및 설비 등의 물적인 관리와 그 관리계획등을 말한다.
관계자:소방에서는 소유자․관리자․점유자를 뜻한다.
관람집회시설:극장(연극장), 영화관 등
관리자:재산에 대해 처분권이 없고 관리만 하는 사람
관창:소방호스용연결금속구 또는 중간연결금속구등의 끝에 연결시켜 소화용구를 방수하게 하는 나사식 또는 차입식 토출기구
관창배치:소방대원이 방수활동을 효과적으로 하기위하여 방수위치를 설정하는것
광도:빛의 세기. 기호:I 단위:[cd]
광량:광속과 시간을 곱한 것
광속:빛의 다발, 양 F[lm]
광속표준전압:비상전원으로 유도등․비상조명등 등을 켜는데 필요한 축전지의 단자전압
광원:빛을 내는 원천
광전식감지기:주위의 공기가 일정한 농도의 연기를 포함하게 되는 경우에 작동하는 것으로서 일국소의 연기에 의하여 광전소자에 접하는 광량의 변화로 작동하는 연기감지기로 컴퓨터실등 널리 쓰여짐.
교류(Alternating Current):시간의 변화로 크기와 방향이 주기적으로 변하는 전류
교차배선:2개 이상의 감지기가 동시에 감지시 설비가 동작하는 방식. 가위배선
교차회로방식:오동작을 방지하기 위해서 2개 이상의 감지기가 동시에 감지시 설비가 동작되는 방식
구급대:구급차, 기자재 등 구급장비와 구급대원으로 구성, 위급환자를 의료기관에 긴급 이송하기 위한 조직체
구름:대기 중에 떠다니는 미세한 물방울이나 얼음 알갱이들이 모여 우리 눈으로 볼 수 있는 것을 말한다
구배:기울기의 구용어 , 경사
구조:화재 및 교통, 기계 등의 사고에 의해 생명, 신체의 위험이 절박하여 자력으로 탈출 또는 피난하는 것이 곤란한 사람을 안전한 장소로 구출 또는 위험으로부터 벗어나게끔 하는 행동을 총칭하는 말
구조대:주로 화재현장에서 곤경에 빠진 사람을 구조하는 일을 담담하는 소방공무원
규조토:담수나 해수에 양생하는 단세포의 미소식물(규조)이 쌓여서 된 백색, 황색, 회백색의 흙. 바다 밑이나 호수의 밑에서 자라던 규조(해초류, 단세포 조류)가 장구한 시일을 두고 침적하여 체내의 원형질이 분해되고 규산을 주체로 하는 유각(껍질,cell)이 집적되어 지층을 형성한 일종의 화석
국고보조:국가는 소방업무 필요시 경비의 일부를 보조하는 것
군집보행속도:후속보행자가 피난시 빠져나가기 어려워 앞의 보행자 속도에 동조하는 상태
굴절탑 소방펌프자동차:소방펌프자동차․물탱크 소방펌프자동차 또는 화학 소방펌프자동차의 차대 등에 바스켓이 부착된 굴절탑이 설치되어 특수기능을 발휘함으로써 사용되는 자동차
근린생활시설:가까운 이웃 공동생활의 터로서 보통의 규모를 말한다.
금고:노동을 하지 않는 감옥살이
금속분류:아연, 알루미늄, 구리, 니켈 등 알칼리 금속, 알칼리 토금속, 철 및 마그네슘이외의 금속이며 구리, 니켈분 및 150μm의 체를 통과하는 것이 50[wt%] 미만인 것을 제외한다.
급기구:신선한 바람을 불어 넣어주는 기구
급기댐퍼:신선한 공기를 불어넣어 주는 바람문 조절판
귀소본능:인간이 본능적으로 비상시 자신의 신체를 보호하기 위하여 원래 온 길 또는 늘 사용하는 경로에 의해 피난을 도모하는 본능
기압:지구를 둘러싸고 있는 공기는 무게에 의해 아래로 누르는 힘(압력)을 가지고 있다. 이러한 공기의 압력을 기압이라고 함
기온:공기의 온도를 기온이라고 부름
기전력:전류를 흐르게 하는 능력(전압을 연속적으로 만들어 주는 힘)
기초훈련:소화기, 옥내소화전등 설비 취급방법을 익히는 소방훈련
기타 구조:내화구조가 아닌 일반구조
기폭제:폭발을 목적으로 하는 가연물과 산화제의 혼합물로서 폭약규조토(硅藻土)로는 분류되어 있지 않는 물질. 즉, 약간의 충격이나 마찰 또는 점화 등에 의해 쉽게 폭발을 일으킬 수 있도록 뇌관 등에 사용하는 물질
기하학:물건의 형상, 크기, 위치 그밖의 공간에 관한 성질을 연구하는 수학의 한부분
긴급:소방에서는 응급에 앞서 일이 긴요하고도 급함을 뜻한다
긴급구조구난:재난이 발생할 우려가 현저하거나 재난이 발생한 때에 국민의 생명과 신체를 보호하기 위하여 긴급구조구난기관이 신속히 수행하여야 할 인명구조. 응급처치 기타 필요한 모든 긴급한 조치
ㄴ |
나화(裸火):가연성 혼합가스나 기타물질에 불을붙일 수 있는 불꽃. 성냥, 라이터, 양초 등
난연성:불에 잘 타지 않는 방화성능
난연재료:불에 잘 타지 아니하는 성질을 가진 건축재료로서 산업표준화법에 의한 한국산업규격이 정하는 바에 의하여 시험한 결과에 해당하는 것
난연테이프:케이블, 전선 등에 감아 케이블, 전선 등이 연소하는 것을 지연시키는 테이프.
내림식사다리:평상시에는 접어둔 상태로 두었다가 사용시에는 소방대상물에 걸어 내린 후 사용하는 사다리
내부연소:공기중의 산소 없이도 그 물질 자체의 산소만으로도 연소하는 현상. 자기연소
내세탁성:직물류 등에 방염처리를 한 경우 세탁하여도 방염성능을 갖는 것
내용년수:고정자산을 사용할 수 있는 최대년한
내장재불연화:영업장내에 설치한 내부시설의 마감재료를 건축법규에서 정한 불연재료. 준불연재료를 사용하거나 소방법규에서 정한 방염처리를 한 제품을 사용한 것
내화구조:불을 차단하는 성능이 있고, 불을 제거 후에도 강도의 변화가 없는 것. 철근콘크리트, 연와조(붉은 벽돌), 석조 등에 해당된다.
내화전선:옥내소화전설비, 스프링클러설비, 옥외소화전설비, 자동화재 탐지설비, 비상방송설비, 연결송수관설비, 비상콘센트설비 등의 배선에 사용되는 내화성을 가진 전선. FP
내화건물:화재시 열에 견딜 수 있는 구조의 건물
냉매:열교환기에서 열을 빼앗기 위하여 사용되는 열을 전달하는 매체
넝마:헌옷따위
노대:발코니(balcony)
농촌형 소방펌프자동차:적재중량 1.5ton 이하의 자동차의 차대에 동력소방펌프가 고정되어 있거나, 이동형소방펌프가 적재되어 있고 물탱크 또는 화학소화장치가 고정되어 있는 자동차
누설동축케이블:빌딩지하 터널안 등, 외부로부터 전파가 도달이 불가능한 장소 등에 사용되며, 외부도체는 절연되고 있고 내부도체로부터 전파가 누설되도록 한 동축케이블
누설전류:전로이외로 흐르는 전류
누전:절연이 불완전하여 전력의 일부가 전선의 밖으로 새어나가는 것
누전경보기:사용전압 600[V] 이하인 경계전로의 누설전류를 검출하여 당해 소방 대상물의 관계자에게 경보를 발하는 설비로서 변류기와 수신부로 구성됨
누전경보기의 공칭작동전류치:누전경보기를 작동시키기 위하여 필요한 누설전류의 값으로서 제조자에 의하여 표시된 값으로 그 값은 200mA 이하이어야 함.
누전경보기의 변류기:경계전로의 누설전류를 자동적으로 검출하여 이를 누전경보기의 수신부에 송신하는 기구. 구조에 따라 옥내형과 옥외형으로 분류.
누전경보기의 수신부:변류기로부터 검출된 신호를 수신하여 누전의 발생을 당해 소방대상물의 관계자에게 경보하여 주는 것
누전경보기의 차단기구:경계전로에 누설전류가 흐르는 경우 이를 수신하여 그 경계전로의 전원을 자동적으로 차단하는 장치
눈:눈은 비와 마찬가지의 강수 현상으로 구름에 포함되어 있는 작은 얼음 알갱이가 모여 낙하하는 것
능직:경사와 위사가 3올 이상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능선의 방향각도가 45도 경사된 조직의 재킷
니켈 카드뮴 축전기:알칼리 축전지로서 양극에서 발생되는 산소가스를 음극에서 소비시켜 밀폐형으로 한 것
니트로셀룰로오스:질산에스테르류에 속한 물질로 무연화약의 원료이며 발사약으로 많이 사용
니트로 화합물:유기화합물의 탄화수소 중 수소 대신에 니트로기가 치환된 화합물의 총칭이나 니트로기(-NO2)가 2 이상인 화합물
ㄷ |
다목적굴절탑 소방펌프자동차:소방펌프자동차․물탱크 소방펌프자동차 또는 화학 소방펌프자동차의 차대 등에 다기능의 굴절탑이 설치되어 특수기능을 발휘함으로써 소방용으로 사용되는 자동차
다신호식 감지기:1개의 감지기내에 서로 다른 종별 또는 감도 등의 기능을 갖춘 것으로서 일정시간 간격을 두고 각각 다른 2개 이상의 화재신호를 발하는 감지기
다이아프램:화재시 열에 의해 접점을 붙게 하는 신축성 있는 박막
다이오드:전류특성을 가진 반도체 소자
다중(多衆):많은 무리. 많은 사람
단독경보형:감지기에 음향장치가 내장되어 일체로 되어 있는 것
단독경보형 감지기:화재발생상황을 단독으로 감지하여 자체에 내장된 음향장치로 경보하는 감지기
단독형:탐지부와 수신부가 일체로 되어 있는 형
단락 또는 지락:합선 또는 지면에 접지된다는 뜻을 말함
단백포소화약제:단백질을 가수분해한 것을 주원료로 하는 포소화약제
단상교류:하나의 회로에 위상이 동일한 하나의 교류 전압이 흐르는 것
단열:열의 전도를 막음
단열변화:외부와의 열의 출입이 없이 행하여지는 물체의 팽창, 수축 따위
단열재:전류나 열의 전도율이 극히 작은 물체로 운모, 도자기, 고무, 에보나이트, 합성수지, 등을 말함
단일재킷:재킷에 고무 또는 합성수지가 접착되어 있는 것
단자:전선의 말단부분(터미널)
달시웨바스식:곧고 긴 관의 마찰손실 계산에 사용 되는식. 유속의 제곱과 길이에 비례하고 지름에 반비례한다.
대기:지구를 둘러싸고 있는 공기 또는 기체층
대기압:우리가 숨쉬고 있는 공기가 지구를 감싸고 있는 압력. 1atm(760mmHg)을 표준대기압이라함 .*토리첼리 시험에 의한 수은의 높이가 76쎈티임
대량주수:연소물질에 대량으로 방수(放水)하는 것
대류:유체의 실질적인 흐름에 의해서 열이 전달 또는 이동되는 현상 즉 화재시 실내의 따듯한 공기는 밀도가 작아 부력에 의해 위로 올라가고 찬공기는 내려와 순환되는 공기의 흐름
대류지밸브:스프링클러(일제살수식)에 쓰이는 일제개방밸브
대수선:대수선은 형태상의 변화 또는 구조의 안전상 위험할 정도의 수선으로 증축. 개축 또는 재축에 해당하지 아니하는 것으로서 허가나 신고를 받아야 한다
대지면적:지적법에 의하여 각 필지로 구획된 토지의 면적
대전:물체가 전기를 띠는 현상
대형화재:상부의 종합상활실에 보고해야하는 넓은 지역으로 불이 확대되는 대규모의 화재
댐퍼:바람문 조절판 제동기( 벽난로, 스토브공기조절판)
댐퍼스위치(TS): 슈퍼바이조리판넬 고장시 제어반에서 유수검지개폐 여부를 확인하기 위함과 함께 수동 조작하는 비상 스위치 즉 주밸브 지지틀에 걸어 밸브의 개폐상태를 수신반에 전달하여 주밸브의 개폐상태를 감시하는 스위치
더어미스트(Thermister):온도상승에 수반되어 저항이 현저하게 감소되는 것을 이용한 반도체 소자
덕트:관, 로( 갈비집 연기 빼는 관, 물, 가스 등의 도관)
도급:어떤 공사에 들 비용을 미리 정하고 도맡아 하게 하는 일. 청부
도급인:도급으로 일을 맡은 사람
도괴:붕괴. 무너짐
도로:보행 및 자동차 통행이 가능한 4m 이상의 것
도상훈련:화재진압 작전도에 의하여 실시하는 훈련
도시가스:가스관을 부설하여 가정, 공장에 연료용으로 공급되는 가스. 주로 LNG가 이용됨
도어체크(door check):여닫이문과 문틀에 장치하여 문을 열면 저절로 닫혀지는 장치가 되어 있는 창호 철물로서 강철, 청동제의 스프링과 피스톤 장치로 되어 있다
도통상태:회로가 단선하지 않고 저항을 가지는 상태 즉 정상상태를 말함
도통시험:전류를 통하여 회로의 단선유무와 기기들의 접속상황을 측정하는 시험
돌음계단:한곳에서 연속되는 계단이 아닌 돌아서 또 연결되는 계단
동력소방펌프:주로 1, 2층 화재확대방지 목적으로 고정 또는 이동식의 모터펌프장치(이륜이상의 자동차의 차대에 고정되어 기관과 연결하여 사용되는 소방펌프)
동식물유류:동물의 자육 등 또는 식물의 종자나 과육으로부터 추출한 것으로 아마인유, 들기름유, 동백류,정어리유, 해바라기유 등
동점도:유체를 움직이는 상태에서 측정하며 절대점도를 밀도로 나눈것. 단위[m2/sec]
동체(압력챔버):몸체의 압력을 지탱하는 몸통부분
드렌처:인접건물의 화재연소를 방어하기 위한 당해 건축물에 물을 살수, 수막을 형성하여 연소방지
들보:건축물의 간과간 사이를 건너지르는 나무. 일반적으로 “보”라고 불리움
등가회로:같은 작용을 하는 회로
등온변화:기체의 온도를 일정하게 유지하면서 그 압력이나 체적을 변화시키는 것
디젤기관:실린더 안에 공기를 흡입하고 압축시켜 고온상태에서 연료를 뿜어 넣어 점화하는 형식의 내연기관
디프렉타:스프링클러헤드의 방수구에서 유출되는 물을 세분시키는 작용을 하는 것
ㄹ |
라멘조:철근콘크리트조(내화구조에 해당됨)
라지드롭형 스프링클러헤드:동일조건의 수압력에서 표준형헤드보다 큰물방울을 방출하여 저장창고 등에서 발생하는 대형화재를 진압할 수 있는 헤드.ELO
라플라스:연산을 간단히 S에 대한 대수방정식으로 변환
락카페티:락카에나멜의 기초 도료
랙크형 스프링클러헤드:랙크식창고에 설치하는 헤드로서 상부에 설치된 헤드의 방출된 물에 의해 작동에 지장이 생기지 아니하도록 보호판이 부착된 헤드
루푸모니터:스모그 타워(smoke tower) 상부에 설치하여 옥외로 연기를 배출시키는 장치. Roof monitor
리세스드 스프링클러헤드:부착나사이외의 몸체 일부나 전부가 보호집안에 설치되어 있는 스프링클러헤드
리액턴스(Reactance):교류저항외 전류의 흐름을 방해하는 성분 X[Ω]
리크구멍:오보(비화재보)를 방지하기 위한 열의 조절구멍
래크식 창고(racked storage):여닫이문과 문틀에 장치하여 문을 열면 저절로 닫혀지는 장치가 되어 있는 창호 철물로서 강철, 청동제의 스프링과 피스톤 장치로 되어 있다
린넨슈트:호텔의 시트나 병원의 수술복 등을 던지는 통로
ㅁ |
마감재:일의 끝을 마감하는 재료의 총칭
마그네슘:소방에서는 2mm체를 통과하는 은백색광택이 나는 중금속분말을 말한다.
마노미터:액기둥을 이용한 유체의 압력을 측정하는 계기(공기관 누설시험 측정기)
마찰:마찰은 속도의 유무에 따라 정지마찰과 운동마찰로, 상대속도의 종류에 따라 미끄럼 마찰과 굴림마찰로 나눈다
마찰전기:그리스 탈레스가 BC 6세기경 호박(보석의 일종 즉 송진의 화석)을 닦다가 먼지가 달라붙는 것을 보고 발견 그것이 전기현상이라고 안 것은 18세기경
마찰항력:유체의 점성으로 인하여 작용하는 성분의 힘
망입붙박이창:철재망이 들어 있는 움직이지 않는 고정창
맞불:일반적으로 산림 화재시에 연소를 방지하기 위해서 연소경로의 전방에 있는 가연물에 의도적으로 불을 붙이는 것
맹화:맹렬하게 붙는 불로서 화재의 최성기에 해당됨
메탄(CH4):기체화합물 중 가장 가벼운 무색, 무취의 기체. 못이나 늪에서 침전된 식물질이 썩어 발생
메틸알코올(메탄올):목재를 건류할 때 생기는 공업용 알코올, 화학약품에 씀. 목정이라고 함.
면직물:솜을 짜서 만든 무명실로 짠 천 식물성 섬유(cotton)
면체공간:면체를 착용했을 때 면체(코 덮개가 있는 것은 코덮게)와 안면과의 사이의 용적
모직물:짐승의 털을 모아서 만든 털실로 짠 천 동물성 섬유(wool)
목조건물:건물의 뼈대를 주로 나무로 접합하거나 연결시킨 건축물
무기화합물:탄소를 포함하지 않는 화합물 및 이산화탄소 같이 간단한 탄소화합물
무도:춤을 춤(유흥:재미있게 놈)
무상강화액:안개처럼 주수되는 강화액 소화약제
무선통신보조설비:주로 지하 화재시 외부 소방관과 내부진압 소방관과의 원활한 무선통화를 위한 설비
무염연소:가연성 물질이 착화되어 연소되고 있으나 불꽃이 없이 연기만 나오면서 연소하는 것
무염착화:가연물이 재로 덮인 숯불모양으로 불꽃없이 착화하는 현상
무인굴절방수탑 소방펌프자동차:소방펌프자동차․물탱크 소방펌프자동차 또는 화학 소방펌프자동차의 차대 등에 무인굴절방수탑이 설치되어 특수기능을 발휘함으로써 사용되는 자동차
무창층:무창이거나 그 층 바닥면적 1/30 이하가 되는 창은 너무 작으므로 무창으로 해석
무향실:소리가 없는 실
무효전력:실제로 아무 일도 할 수 없는 전력 Pr[Var]
물분무소화설비:안개모양으로 방사되는 점이 스프링클러와 다름. 무상주수로서 방사됨
물의 증발열:물 100℃에서 수증기 100℃로 변화되는데 필요한 잠열(539kcal/kg)
물탱크 소방펌프자동차:소방펌프자동차의 차대에 자급식 물탱크가 고정되어 사용하는 자동차
밀도:단위체적당 질량(kg/m³)
ㅂ |
바람:따뜻한 공기는 밀도가 낮고 가벼우며 찬공기는 밀도가 높고 무겁다 밀도가 높은 공기(고기압)가 밀도가 낮은 공기(저기압) 쪽으로 평형을 이루기 위해 이동하는 공기의 흐름바이메탈:온도로 인한 팽창관계가 큰 합금과 작은 합금을 붙인 것인데 온도계전기나 항온기의 전 기 접점등에 이용
박:금, 은, 주석, 구리 등을 두드려 얇고 판판하게 늘인 것
반도체:도체와 절연체의 중간 성질의 도체로서 셀렌, 실리콘, 게르마늄 등이 있음
반면형(공기호흡기):안면에서 코 및 입 주위만을 덮는 면체
반응시간지수(RTI):기류의 온도ㆍ속도 및 작동시간에 대하여 스프링클러헤드의 반응을 예상한 지수
반자:방이나 마루의 종이나 나무 등으로 반반하게 만든 천장
발광식유도표지:빛을 발하는 유도표지를 말함
발신기:화재발생신호를 수신기 또는 중계기에 수동으로 발신하는 기계설비
발연량:연기의 발생량을 뜻함
발염착화:무염착화 상태의 가연물에 바람을 주어 불꽃이 발생되면서 착화하는 현상
발전기:자계안에서 코일을 움직임으로 기전력을 발생시킨다(제네레타).
발화:어떤 물질이 점화되지 않은 상태에서 주위로부터 열을 받거나 내부의 화학작용에 의하여 스스로 타기 시작하는 것
발화과정:발화원으로부터 발화시까지 이어진 연소현상으로서 관계된 현상, 상태 또는 행위를 말한다.
발화성:점화원 접촉없이 불을 일으킬 수 있는 성질의 것
발화원:발화에 직접 관계되거나 또는 그 자체에서 발화하는 것
발화점:가연물이 공기나 산소 중에서 외부에서 점화하지 않더라도 자발적으로 연소하기 시작하는 최저온도
발화신호:화재가 발생할 때 발하는 소방신호
발화온도:가연성 물질 또는 혼합물이 연소를 시작하는데 필요한 최저의 가열온도, 착화점, 착화온도, 발화점
발화장소:화재가 발생한 장소
발화지점:화재가 발생한 부위를 말한다
방수:화재를 진압하기 위하여 관창노즐을 이용하여 물을 뿌리는 작업
방수압력:정류통에 의하여 측정한 방수시의 정압
방수형:구조가 물이 스며들어오는 것을 막는 방수구조로 되어 있는 것
방수형 감지기:그 구조가 방수구조로 되어 있는 감지기
방어구역:화재 현장에서 1인 단위의 지휘관 아래서 작전이 전개되고 있는 화재 구역의 단위
방염도료:가연성재료에 대하여 형상등을 변화시키지 아니하고 방염화하기 위하여 방염성이 있는 물질을 도료와 혼합한 것
방염성:화재의 발생초기 단계에서 화재의 확대방지를 위하여 불꽃의 전파를 지연 또는 단절시키는 성질을 말하며, 이러한 성질의 정도를 “방염성능”이라 함.
방염성능검사:제조 또는 생산과정에서 방염처리하거나 난연성소재로 제조 또는 생산되는 것으0로서 소방법시행령에 대하여 행정자치부장관이 정하여 고시하는 방염성능기준에 적합한지의 여부를 하는 검사
방염성 물질:가연성재료에 대하여 형상등을 변화시키지 아니하고 방염화하기 위하여 방염성이 있는 물질을 고체 또는 분말형태로 만든 것
방염액:가연성 재료에 대하여 형상등을 변화시키지 아니하고 방염화하기 위하여 방염성이 있는 물질을 물 또는 용제에 용해하여 만든 액체
방염제:가연성 재료에 방염성능을 부여하는 약제로서 재료에 물리적 또는 화학적으로 결합시켜 불꽃이 닿거나 열을 받았을 때 연소하기 어렵게 하기 위한 목적으로 사용되는 액체상태 또는 고체상태 등의 약품을 총칭하여 방염액․방염도료 및 방염성물질로 구분
방염화:무기재료 또는 유기재료등에 방염액․방염도료 또는 그 밖의 방염성이 있는 물질을 사용하여 방염처리하는 것
방재센터:화재예방 및 소화, 피난활동을 수행하기 위한 방화관리자가 근무하는 곳
방진작용:가연물이 숯불형태로 연소되는 것까지 방지하는 작용
방출구:화재의 소화를 위하여 소화약제를 유효하게 방사되도록 하는 부분
방출도관:소화약제를 저장용기로부터 방출구에 이르는 굽힘성 있는 관
방출유도관:소화약제 저장용기로부터 방출구에 이르는 캐비넷 내부의 유도관
방폭형 감지기:폭발성 가스가 용기내부에서 폭발하였을 때 용기가 그 압력에 견디거나 또는 외부의 폭발성 가스에 인화될 우려가 없도록 만들어진 형태의 감지기
방화:고의로 불을 냄(동기유형으로는 가정불화가 큰 비중을 차지함).
방화구획:화재가 발생한 지역에서 불이 계속 확대되지 않도룩 주요 구조부가 내화구조 또는 불연재료로 된 건축물에서 내화구조의 바닥, 벽 및 갑종방화문, 자동방화셔터에 의해서 일정부분을 구획한 부분
방화경계구역:화재현장에 설정하는 구역
방화관리자:아파트를 제외한 연면적 15,000m² 이상 등에 두어야 하는 방화를 관리하는 사람
방화구조:철망모르타르바르기. 회반죽바르기 등 화염의 확산을 막을 수 있는 성능을 가진 구조
방화구획:화재확대 방지목적으로 내화성능을 가진 벽․바닥․천장 등을 수직․수평으로 가르는 일
방화문:건축법시행령 규정에 따른 갑종방화문 또는 을종방화문으로서 언제나 닫힌 상태를 유지하거나 화재로 인한 연기의 발생 또는 온도의 상승에 따라 자동적으로 닫히는 구조를 말한다. 즉방화문은 건축물의 방화구획에 설치하는 문으로 갑종방화문과 을종방화문으로 구분된다
방화벽:화재시 불의 확대를 막기 위해 구획마다 설치하는 벽
배기구:공기를 배출하는 개구부(연기를 배출할 수 있기에 소방에서 연기감지기는 그 부근에 설치하여 감지시킨다.)
배기댐퍼:연기를 배출시켜 주는 바람문 조절판
배선용 차단기:퓨즈를 사용하지 않고 바이메탈(Bimetal)이나 전자석으로 회로를 차단하는 소형 경량인 저압용 차단기로서 No fuse Breaker라 한다. MCCB
배전반:각 수용소마다 배전계통을 지배하기 위한 개폐기, 차단기․계기 등을 설치한 판
백 드래프트(back draft):역화현상으로서 통기력이 좋지 않은 상태 하에서 연소가 계속되면 심한 산소 결핍 상태가 된다. 이 때, 개구부를 통하여 산소가 갑자기 흡입되면 실내의 가연성 혼합공기가 공급되는 산소의 방향과 반대로 흐르며 급격히 연소하는 현상을 말한다
밸브 1차측:밸브 본체로의 유입측
버너:방염성능기준을 검사할 수 있는 연소기구
버너의 불꽃을 올리지 아니하고:불꽃이 붙은 연후 점화원을 제거한 때부터라는 뜻
벌금형:재산형의 한가지. 판결확정일로부터 한달 이내에 납입해야 하며 불입자는 1일~3년 이하 기간 노역장에 유치하여 작업에 복무하게 함
법의 경중:사형→징역→금고→자격상실→자격정지→벌금→구류→과료→몰수
ㅊ:헌법→법률→명령→조례→규칙
벤젠:석유타르에서 분류 정제한 휘발성 액체. 벤졸이라고 함.
벨용 푸시버튼:벨을 울리는 누름버튼을 말함
변전설비:전력용변압기 및 그 부속장치
변질시험후의 포소화약제:포소화약제를 65±2도로 216시간 유지한 후 실온으로 환원하고, 다시 섭씨 영하18±2도로 24시간 유지한 후 실온으로 환원시키는 시험을 실시한 소화약제
변질시험후의 포수용액:변질시험후 포소화약제에서 정하는 시험을 실시한 포소화약제의 포수용액
병렬:2개 이상의 회로 각각의 2단자가 모두 공통의 2단자로 접속되는 것
병원:주로 내과, 외과 등 종합적인 종목으로 진찰치료 하는 곳(의료법에서는 의업 또는 치과의업을 하는 처소로 입원환자 20명 이상의 환자를 수용하는 설비를 말함)
병진 운동:질점계 또는 강체의 운동중에서 각점의 동일한 평행 이동만으로 성립되는 운동
보:들보의 준말(가로기둥)
보안거리(스프링쿨러):스프링클러헤드의 살수 장애를 방지하기 위한 이격 거리
보상식스포트형 감지기:차동식스포트형 감지기와 정온식스포트형 감지기 성능을 겸한 것으로 두 개의 성능 중 어느 한 기능이 작동되면 작동신호를 발하는 감지기
보수율(유지율):조명계산에서 경년감광시에 소요조도가 유지됨을 나타내는 계수. M(1/D)
복사열:열복사가 물체에 흡수되면 열로 변화되듯이 복사에 의해서 발생되는 열을 말한다
보안기:낙뢰등의 위험으로부터 인축(人畜) 또는 통신기기 등을 보호하는 장치
보정율(보정지수):피해액 산정을 보다 정확하게 하기 위하여 피해물품의 상태별로 일정한 지수를 정하여 모자라는 것을 보충하고 바로 잡아 주기 위한 것을 말한다
보조마스크:피구조자에게 착용시키기 위한 호흡보호장비
보행거리:최단으로 걸었을 경우의 거리 즉 수평면의 직선거리가 아닌 걸음으로 잰 거리
복도통로유도등:피난통로가 되는 복도에 설치하는 통로유도등으로서 피난구의 방향을 명시하는 것
복소전력:실수와 허수로 구성되는 전력
복합건축물:하나의 건축물 안에 소방관련법에서 정하는 2 이상의 특정소방대상물의 용도로 사용되는 건축물
복합식 수신기:수신기의 성능과 자동소화설비의 제어반의 기능을 겸한 수신기
복합표시형피난구유도등:피난구유도등의 표시면과 피난목적이 아닌 안내표시면이 구분되어 함께 설치된 유도등
복합형불꽃감지기:자외선 및 적외선 불꽃감지기 성능 또한 자외선․적외선겸용 불꽃감지기 성능을 둘 다 가진 것으로서 자외선에 의한 화재신호 및 적외선에 의한 화재신호를 발신하거나 또는 두개의 화재신호를 각각 발신하는 기능을 가진 감지기
복합화재:철, 목재, 플라스틱, 종이 등 실내가연물의 복합성의 화재를 말함(1500~1800℃).
볼트미터:전위차 전압을 측정하는 계기.Volt meter
봉인:점검실시자가 실시한 점검한 소방시설중 증거로 보존하여야 할 필요성이 있는 부분 또는 기능을 정지시킬 수 있는 부분에 대하여 임의로 변경. 폐쇄 또는 조작할 수 없도록 일련의 조치를 하는 장치
부대운용:화재 등에 의한 피해를 최소한으로 줄이기 위하여 필요한 소방부대 선정, 출동지령, 출동제한, 진압명령 등을 하는 것을 말한다.
부력:유체에 완전히 또는 부분적으로 잠긴 물체는 그 물체에 의해 밀려난 유체의 무게에 해당되는 힘만큼 부력을 받는다. 즉 유체에 잠긴 물체는 유체에 의해 위로 떠오른다고 생각할 수 있는데 이 힘을 부력이라고 한다.
부분훈련:소화, 통보, 피난, 대피, 유도, 구급등 개별적으로 익히는 훈련
부피팽창(기화):열에 의해 물이 수증기로 약 1700배 이상 부피가 팽창되는 현상을 말함.
부하:에너지를 소비하는 전기.기계설비, 또는 그 설비가 소비하는 동력의 크기를 말함.
분리형:탐지부와 수신부가 분리되어 있는 형
분무관창:물의 미립자 또는 안개 상태로의 방수를 할 수 있는 관창
분말소화설비:물소화가 적합지 않는 화재에 사용. 억제, 질식작용을 하며 인화성 액체에 적합
분자:몇 개의 원자가 모여서 본성을 잃지 않는 물리적 방법으로 다시 더 분석할 수 없는 최소입자
분전반:배전반에서 배선된 간선을 다시 각 실에 분기 배선하기 위해 개폐기나 차단기를 설치한 판
분체화재:가연성 고체가 공기 중에 떠돌면 어느 정도 공기와 혼합하여 화기 또는 정전기. 충격 등에 의해 폭발하는 화재
분포정수회로:선로 정수 R, L, C, G가 균등하게 분포되어 있는 회로
분해(분해연소):완만한 산화 또는 열이나 빛이 발생하지 않는 연소 현상
분해열:화합물(1mol)이 분해할 때 발생되는 열
불꽃감지기:불꽃(적외선 및 자외선을 포함)에서 방사되는 불꽃의 변화가 일정량 이상이 되었을 때 화재신호를 발신하는 것으로서 자외선식, 적외선식, 자외선․적외선겸용, 복합형으로 구분됨.
불연성:불에 타지 않는 방화성능
불연재료:불에 타지 않는 성질의 가진 재료로서 콘크리트. 석재. 벽돌. 기와. 석면판. 철강. 알루미늄. 시멘트모르타르. 회 및 기타 이와 유사한 불연성 재료
불활성가스:아르곤, 헬륨, 질소, 이산화탄소 등 다른 물질과 화합하지 않는 비활성 기체
불활성 가스 청정소화약제:헬륨, 네온, 아르곤 또는 질소가스 중 하나 이상의 원소를 기본성분으로 하는 소화약제를 말한다.
브레비(Boiling Liquid Expanding Vapor Explosion):가연성 가스를 액화 저장시켰을때 액체가 비등하고 증기가 팽창하면서 폭발을 일으키는 현상을 말함.
브레이커(Breaker):이상전류를 차단하는 차단기
블록선도:제어계에서 신호가 전달모양을 표시하는 것
비내력벽:자체하중을 받지 않는 벽
비산(飛散):날아 흩어짐
비상경보설비:비상벨 등 경보를 울리는 설비
비상경보설비의 축전지:감지기․발신기 또는 경종등과 연결하여 사용하는 비상전원장치
비상근:상시 출근하지 않고 필요시만 통근 근무하는 것
비상방송설비:11층 이상 등에 설치하는 천장의 스피커설비
비상용광원:비상전원에 의해 점등되는 광원
비상조명등:화재발생 등에 의한 정전시에 안전하고 원활한 피난활동을 할 수 있도록 거실 및 피난통로 등에 설치하는 조명등으로서 비상전원용 축전지가 내장되어 상용전원이 정전되는 경우에는 비상전원으로 자동전환되어 점등되는 조명등을 말하며 정상상태에서는 상용전원에 의하여 점등되는 조명등
비상조명등 겸용형:동일한 광원을 상용광원과 비상용광원으로 겸하여 사용하는 비상조명등
비상조명등 전용형:상용광원과 비상용광원이 각각 별도로 내장되어 있거나 또는 비상시에 점등하는 비상용광원만 내장되어 있는 비상조명등
비상콘센트:화재시 소방대원들이 사용하는 전기콘센트․11층 이상 등에 설치
비상콘센트설비:화재발생시 소화활동에 필요한 전원을 전용회선으로 공급받기 위해 플럭접속기와 보호함 등으로 구성된 설비
비압축성유체:체적이 변화하지 않는 성질을 가진유체
비업무용자산(공사업):소방설비공사업에 투자되지 않은 임야, 토지, 전답, 건물, 투자유가증권 및 관계회사 유가증권
비열:물질 1g의 온도를 1도 올리는데 필요한 열량과 물1g의 온도를 1도 올리는데 필요한 열량과의 비
비유전율:물질과 진공의 유전율의 비
비전도체:전기가 통하지 않는 도체
비중:4℃ 1기압에서 순수한 물의 중량의 비(물과 비교한 중량)
비화:화재 현장에서 날려온 불씨에 의하여 다른 장소에 화재를 발생시키는 것
비화재보방지기:자동화재 탐지설비의 수신기가 검출한 화재신호를 축적하여 비화재보의 신호를 방지할 수 있는 기능을 부가하는 장치
ㅅ |
사다리 소방펌프자동차:소방펌프자동차․물탱크 소방펌프자동차 또는 화학 소방펌프자동차의 차대 등에 직강식 사다리가 설치되어 특수기능을 발휘함으로써 소방용으로 사용되는 자동차
사류:실과 누에고치
사무실의 면적:임원 및 직원의 집무실, 제도실, 공작실 또는 응접실 등 당해 공사업에 실제 사용하는 면적
사상자:화재현장에서 사망 또는 부상당한 사람을 말한다. 화재현장에서 부상당한 후, 72시간 이내에 사망한 경우에는 당해 화재로 인한 사망자로 간주, 처리함
사용압:구부러진 부분이 없는 상태에서 소방호스에 물을 흘릴 때의 상용최고사용수압
사용압력범위(가스관):당해 선택밸브가 사용되는 소화설비의 작동시 소화약제 저장용기에 가해지는 압력범위(장치의 기능에 지장을 일으키지 아니하는 1차측의 압력범위)
사위:거짓으로 남을 속임
사전시험:성능시험을 할 수 있는 소방용기계. 기구. 제품에 대하여 개개의 제품에 대한 성능시험을 하거나 제품 출고 이전에 실시하는 성능시험
사후시험:성능시험을 할수 있는 소방용 기계기구 제품에 대하여 성능 등에 관한 서류심사, 제품시험 및 공장심사 등을 실시하여 기준에 적합한 경우 성능시험증지를 우선 부착할 수 있도록 하고 제품의 품질유지를 위한 성능시험을 제품출고이후에 실시하는 시험
산화반응:산소와 혼합하거나 수소를 잃는 반응
산화주석:인공적으로는 금속주석을 공기중에서 가열하여 만드는 무색의 분말(내열성 내식성이 강하여 투명전극, 가스센서 등에 쓰임)
산화칼슘:탄산칼슘을 가열하여 만듦. 회, 백회, 생석회
살수:관창으로부터 분출된 물이 상부에서 화재 표면에 낙하되는 것
상각율:자산의 사용년수 경과에 따른 자산가치의 감소 비율
상온(常溫):평상의 온도
상용광원:상용전원에 의해 점등되는 광원
상호제연구획:따로따로 제연구역을 구획한다는 뜻
상황실:소방관서 또는 소방기관에서 화재. 구조. 구급 등 각종 소방상황을 접수. 전파. 처리 등의 업무를 행하는 곳
서셉턴스:리액턴스의 역수, 어드미턴스의 허수부 B[℧]
석면:유연성과 내열성이 많고 열전도율이 작아 보온재나 전기절연재료로 사용된다(사문암류의 섬유상 광물).
석회(탄산칼슘):생석회, 소석회의 총칭
선거:선박에 화물을 싣고 내리고 수리하는 부두의 시멘트 축조물(선박회사에서는 dock이라 함)
선화(lifting):가연성 가스의 연소시 노즐에서 혼합가스의 방출속도가 연소속도보다 클 때 불꽃이 노즐에서 떨어져 연소하는 현상
선택밸브:가스계소화설비 및 분말소화설비에서 2개소 이상의 방호구역 또는 방호대상물에 대해 소화약제 저장용기를 공용으로 사용하는 경우에 사용하는 밸브로서 자동 또는 수동개방장치에 의해 개방되는 것 즉 화재시 방호구역을 선택할 수 있는 밸브
선형소자:전압과 전류특성이 직선적으로 비례하는 소자로 R, L, C가 이에 해당된다.
설계하중:폐쇄형스프링클러헤드에서 방수구를 막고 있는 감열체가 정상상태에서 이탈하지 못하게 하기 위하여 헤드를 조립할 때 헤드에 가하여지도록 미리 설계된 하중
성능시험:관계자등의 요청에 의하여 소방용기계. 기구 등의 성능에 대하여 행정자치부
행자부장관이 정하여 고시한 성능시험기준에 따라하는 시험
성상(性狀):사물의 성질과 상태
셀룰로오스(Cellulose):식물세포막 및 섬유소의 주성분. 목화는 95%, 나무는 45% 정도를 포함함.
소결식:니켈을 주성분으로 한 금속분말을 소결해서 만든 알칼리 축전지의 한 형식
소량:대통령이 정하는 지정수량 미만의 위험물 등의 양
소방대장:화재현장에서 잠정적으로 파출소장, 구조대장 ,진압대장 및 현장초동지휘관. 중간지휘간으로서 소화활동등 책임지휘를 할 수 있는 사람
소방본부장:시.도단위에 둘 수 있는 소방서장을 지휘․감독할 수 있는 본부의 장
소방서장:소방서의 장을 이하 “소방서장”이라 칭한다.
소방서장권장물품:피검사자가 의무를 가지고 있지 않지만 가능한 소방서장이 방염을 권하는 물품으로서 침구류․책상․소파가 기본법에 명시되어 있다.
소방시설:소방과 관련되는 소화설비․경보설비․피난설비․소화활동설비․소화용수설비를 말함.
소방시설관리사:소방시설을 관리감독 할 수 있는 사람. 소방시설관리업의 주인력
소방안전관련학과:산업안전공학과. 전기, 화공, 기계, 건축공학과 등 소방과 유사한 학과
소방안전관리학과:소방안전관리를 전공으로 하는 학과
소방용 고무내장호스:재킷에 고무 또는 합성수지를 내장한 소방호스(소방용 젖는 호스 제외)
소방용 아마호스:아마사로 직조된 소방호스
소방용 젖는 호스:물의 흐름에 의해 호스전체가 균일하게 젖는 소방호스
소방용수시설:대형건물화재시 소화전, 급수탑, 저수조의 물을 소방대원이 활용하기 위한 시설
소방펌프:펌프, 내역기관, 그밖에 필요한 기계ㆍ기구로 구성되어 소방용으로 사용되는 펌프
소방펌프자동차:동력소방펌프가 자동차의 차대에 고정되어 소방용으로 사용되는 자동차(소방펌프가 부착되지 아니한 사다리․굴절탑소방자동차를 포함)
소방호스:화재시 소화전 또는 소방펌프의 방수구 등에 연결하여 소화용수를 방수하기 위한 도관으로서 재킷부분과 결합금속구로 구성된 것
소방호스용 연결금속구:소방호스 양끝에 삽입 부착되어 각종 소방기구와 연결시키기 위한 이음쇠로서 나사식과 차입식으로 구분
소방회로:소방부하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기회로
소선:연선을 구성하는 각 단선
소실피해:열에 의한 탄화, 용융, 파손의 피해
소유자:사용․임대․파괴할 수 있는 물건의 임자
소화약제:방염성능이 있는 물질을 가공하여 소화에 사용하는 약제 또는 물을 말함.
소화약제 저장용기등:소화약제(축압식의 저장용기에 있어서는 소화약제와 압력원 가스)를 저장하는 용기, 압력원 가스를 저장하는 용기 및 그것에 부속된 부품
소화전함:소방대상물의 옥내. 외에 설치하여 방수용 기구를 보관할 수 있는 함
소화용구:수동식소화기의 형식승인 및 검정기술기준에서 규정한 수동식 및 자동식소화기이외의 것으로서 소화약제(물은 제외한다)가 충전되어 소화용으로 사용하는 기구
소화활동설비:화재시 소방대원이 직접 사용하는 본격소화설비. 종류에는 제연설비, 연결살수설비, 연결송수관설비, 비상콘센트설비, 무선통신보조설비, 연소방지설비가 있다
속보기:감지기 또는 P형 발신기로부터 발신하는 신호나 중계기를 통하여 송신된 신호를 수신하여 관계자에게 화재발생을 경보함과 동시에 소방관서에 자동적으로 화재신호, 전화신호를 발신하여 당해 소방대상물의 위치 및 화재발생을 음성으로 통보하여 주는 것으로서 A형과 B형으로 구분한다.
솔레노이드:도체에 코일을 일정하게 감아 놓은 것
솔레노이드밸브(SV):소화설비 배관에 주로 부착하여 감지기에 의해 작동되는 전자개방밸브로서 전자석의 자력을 이용하여 밸브를 열어주는 전기적 장치. 내부가 스프링작용으로 됨
송배전식:접촉저항이 생기지 않게 하기 위해 배선도중에 분기하지 않는 방식. 보내기 배선방식
송수구:소화설비에 소화용수를 보급하기 위하여 건물 외벽에 설치하는 관
수납식사다리:횡봉을 종봉내에 수납해 두었다가 사용할 때 이것을 꺼내어 사용 가능한 고정식사다리
수동식소화기:물이나 소화약제를 압력에 의하여 방사하는 기구로서 사람이 조작하여 소화하는 것
수동펌프식소화용구:소화약제를 충전하여 수동펌프로서 방사시키는 소화용구
수력반경:면적을 접수길이로 나눈 것
수성막포소화약제:합성계면활성제를 주원료로 하는 포소화약제로서 기름표면에서 수성막을 형성하는 포소화약제
수신기:자동화재탐지설비 중 감지기나 발신기에서 발하는 화재신호 또는 탐지부에서 발하는 가스누설신호를 직접 수신하거나 중계기를 통하여 수신하는 것으로서 소방대상물의 관계자에게 경보를 발하거나 소방관서에 통보하여 주는 장치
수신부:감지부 또는 탐지부에 발하는 신호를 수신하여 음향장치(음성장치를 포함)로 경보를 발하고 가스차단장치 또는 작동장치에 신호를 발신하는 것
수손피해:소화활동으로 발생한 피해
수원:물을 모아 두는 곳
수지(樹脂):수목이 분비하는 점액. 나무의 진
수직강하식구조대:소방대상물 또는 기타 장비등에 수직으로 설치하여 사용하는 구조대
수전설비:전력수급용 계기용변성기. 주 차단장치 및 부속기기
수치퍼센트형:포수용액에 있어서 포소화약제의(수치)용량의 퍼센트 농도
수평거리:직선으로 자로 잰 거리
순시값:교류의 임의의 시간에 있어서 전압 또는 전류값
슈퍼바이조리판넬:스프링클러의 준비작동밸브의 사령탑으로(각 회로의 고장을 알리는 경보기능, 전원이상 경보감지기와) 준비작동밸브의 작동을 연결하는 외에 문, 공조장치, 댐퍼등 폐쇄작동가능을 할 수 있다(supervisory[sjú:pǝrváizǝ- ri]:관리의, 감독의).
스테이플(Staple):전선 등을 벽이나 천장에 고정시키기 위한 ㄷ자 모양의 작고 가느다란 금속성 재료를 이용한 기구로서 독일의 “호치케트”가 발명. 보통 호치케트 라고도 부르고 있다
스펙트럼:파장에 따라 분해 배열한 가시광선, 복사선의 배열
스프링클러:천정, 벽의 상부에 설치한 헤드에 의해 화재감지와 동시에 펌프의 기동과 경보를 발하고 가압된 물이 헤드로부터 방사되는 주수(적상주수:방울모양주수)
스트레이너:소방설비의 배관에 설치하여 오물 등의 불순물을 여과시켜 원활하게 소방용수를 공급하는 장치. 소방용 스트레이너. 여과기
스프링클러설비 신축배관:스프링클러 설비의 배관중 가지배관과 헤드를 연결하는 구부림이 용이하도록 유연성을 가진 배관. 죠인트
스프링클러헤드:화재시의 가압된 물이 내뿜어져 분산됨으로써 소화기능을 하는 기구
슬리브(Sleeve):배관 등을 접속할 때 사용되는 신축성 있는 관
슬롭 오버(slop over):중질유 화재시에 고온의 열유층의 유면이 밑쪽에 형성되는데, 이 때 표면의 온도보다 비등점이 낮은 액체(소화용수나 포)가 주입되면 급격한 기화의 압력으로 연소하고 있는 기름을 밖으로 비산. 분출시키는 현상
습식 스프링클러:송수펌프에서 폐쇄형 헤드까지 항상 물이 가압되어 있고 열에 의해 헤드가 개방되어 살수되는 설비
습식 유수검지장치:1차측 및 2차측에 가압수 또는 가압 포수용액을 가득 채운상태에서 폐쇄형 스프링클러헤드 또는 일제개방밸브, 그 밖의 밸브가 열린 경우 2차측의 압력저하로 시트가 열리어 가압수 등이 2차측으로 유출되도록 하는 장치
시각경보장치:자동화재탐지 설비에서 발하는 화재신호를 시각경보기에 전달하여 청각장애인에게 점멸형태의 시각경보를 하는 것을 말함
시퀀스(Sequence):차례로, 연속적인 진행의 자동제어 방식
식모벽지:식물성 모 벽지
신고:법률상의무로 관청에 일정한 사실을 진술․보고하는 일(알리는 일)
신축:건축물이 없는 대지에 새로이 건축물을 축조하는 것
신축단가:한국감정원에서 격년으로 발간하여 건축업계에 배포하고 있는(건축물 단가표)에서 정하고 있는 건물의 m2당 신축 소요비용
신축식 사다리:사다리 하부를 신축할 수 있는 구조로 되어 있는 사다리
신호선:소방에서는 회로선, 지구선, 표시선, 지구회로선, 지구표시선과 공용으로 쓰이는 같은 개념
실드선:정전, 전자 유도를 방지하기 위한 차폐층을 실시한 선
실제유체:유체유동시 마찰이 존재하는 유체. 점성의 영향이 있슴, 점성유체
실질자본금:실질자산에서 비업무용 자산 및 실질부채를 공제한 자본금. 이 경우 겸업자본이 있을 때에는 겸업자본을 차감한 금액을 실질자본으로 한다.
실질자산:제시된 자산중 부실자산을 공제한 자산
실화(失火):잘못하여 실수로 불을 냄
실효전압:교류를 저항에 흘렀을 경우에 생기는 저항중의 손실과 같은 것을 주는 직류전압을 그 교류의 실효전압이라 함
심벽(心壁):주로 흙으로 맞벽치기한 벽 사이에 있는 벽
심부:표면에서 깊은 곳(중심부)
심부화재:불꽃을 내지 않고 주로 빛만을 내는 연소현상을 말하며, 가연물 내부에서 서서히 화재가 진행되는 훈소화재의 개념이다
ㅇ |
아날로그:수치를 길이․각도․전류라고 하는 연속된 물리량으로 나타내는 일
아날로그식 감지기:주위의 온도 또는 연기의 량의 변화에 따라 각각 다른 전류치 또는 전압치 등의 출력을 발하는 방식의 감지기
아메리슘:원자번호 95. 1944년에 발견된 인공방사성 원소
아세톤:아세틸렌 등을 원료로 하여 얻은 무색 투명한 액체 의약품. 아세테이트섬유의 원료
아세트알데이드(초산알데이드):무색의 자극성 액체와 산화물 생성으로 공기와 접촉을 피하고 동, 은, 수은, 마그네슘 등 접촉시 폭발성 화합물의 성질
아세틸렌:탄화칼슘(카바이트)과 물의 합성. 무색유독성 기체로서 산소와 혼합 철판, 용접, 절단에 씀
안전간격:화염이 전달되지 않는 측정시험치의 한계 틈새
안전거리:위험물시설 또는 그 구성부분과 다른 건축물 사이에 소방 또는 환경안전상 확보해야 할 거리
알칼리 금속의 과산화물:리튬(Li), 나트륨(Na), 칼륨(K), 루비튬(Rb), 세슘(Cs)의 금수성 물질
알코올형 포소화약제:단백질 가수분해물이나 합성계면활성제중에 지방산금속염이나 타계통의 합성계면활성제 또는 고분자 겔 생성물 등을 첨가한 포소화약제로서 “알콜류”등 수용성용제의 소화에 사용하는 약제
암적색:연한 적색을 말하며 분홍색에 가깝다.
압력설정치:2차측에 압력의 설정을 필요로 하는 유수검지장치에서, 사용압력범위에 있어서의 1차측의 압력에 대응하는 2차측의 압력의 설정치
압력스위치(PS):① 압력을 받으면 내부의 벨로우즈(주름형)가 팽창 전기스위치를 연결 신호발생시키는 스위치 ② 자동소화설비 등에 설치하여 유수의 흐름 또는 배관내 압력장소에 의해 화재를 신호하고 가압송수펌프를 가동시킬 수 있는 스위치
압력챔버:소화설비의 배관내의 압력변동을 검지하여 자동적으로 펌프를 가동 또는 정지시키는 수압개폐장치
압력항력:물체의 형상에 의하여 압력 분포에 생기는 항력
압축가스:수소, 산소, 질소 등과 같이 가스의 임계온도가 상온보다 낮고 압축되어도 액화하지 않고 가스상태로 있는 것
액화가스:프로판.염소 등과같이 가스의 임계온도가 상온보다 높기 때문에 고압용기속에서 액화하고 그온도에 상당한 증기압을 나타내고 있는것
양극:단상 2선식회로에서 +와 -의 전원양극
양력:유동속도와 직각 방향으로 작용하는 성분의 힘
압축성 유체:체적이 변화하지 않는 성질을 가진유체
양부(良否):좋음과 나쁨
양압형 공기호흡기:면체내의 압력이 외기압보다 항상 일정압 만큼 높은 것으로서 면체내에 일정 정압이하가 되면 작동되는 압력디맨드밸브를 갖춘 것
양자:어떤 양을 분할할 수 없는 극미량
양정:펌프가 물을 퍼 올리는 높이이며 흡입수면에서 펌프높이까지를 “흡입양정” 펌프중심에서 토출수면까지를 “토출양정” 흡입수면에서 토출면까지를 “실 양정”이라 하며, 여기에 관내 기타의 마찰손실수두를 가한 것을 “전 양정”이라 정의한다.
어드미턴스:임피던스의 역수(콘덕턴스+서셉턴스) Y[℧]
얼음의 융해열:얼음 0℃에서 물 0℃로 변화되는데 필요한 잠열(80kcal/kg)
에멀젼:기름과 물이 섞여진 상태(유화)
에어졸식소화용구:사람이 조작하여 압력에 의하여 방사하는 기구로서 능력단위의 수치가 1미만이고 소화약제의 중량이 0.7킬로그램 미만이며, 한번 사용한 후에는 다시 사용할 수 없는 형
엔드로피:열량과 온도에 관한 물질에의 상태를 나타내는 열역학적 물리량의 하나
엔탈피:계(係)밖에서 가해진 압력과 그것에 의해 변화된 부피의 곱을 계 내부 에너지에 보탠양
에테르:알코올에 황산을 섞어 증류하여 얻은 무색액체, 에틸에테르라고도 함.
에틸알코올(에탄올):전분(녹말) 등의 발효에 의해 얻어진 식용알코올, 화학약품, 알코올성 음료로 씀. 주정이라고 함.
엘리베이터 권상기실:엘리베이터의 부속기계실
여자(勵磁):권선에 전류를 흘러 기자력 주는 것
역률:유효전력과 피상전력의 비. 전압과 전류의 위상차를 코사인 취하는 것
역화:연소 중에 버너의 노즐에서 혼합기류의 분출되는 속도가 연소속도보다 늦어짐으로 인하여 연소불꽃이 버너의 내부로 진입하는 현상. 라이팅백, 플래시백, 백화이어 라고도 한다.
연기:가연성 물질이 연소할 때 생성된 연소 생성물이 공기 중에 부유하는 고체 및 액체의 입자와 가스 등의 혼합 기체
연결살수설비:주로 지하가 지하층 화재시 연기층만으로 소화활동곤란시 소방대원이 소방펌프차로 수원을 연결살수설비 송수구로 연결하여 지하의 살수헤드로 방사되는설비로서 규모가150제곱미터 이하인 지하나 판매영업시설로서1000제곱미터 이상인곳에 해당
연결송수관설비:화재시 소방대원이 고층건물 외부에 튀어나온 송수관에 연결 화재발생층에 주수소화하는 설비(건물구조상 외부에서 내부로 호스를 연장시키기 곤란한 장소에 설치하며 건식과 습식이 있음. 송수구, 배관, 방수구로 구성)
연돌효과:건물 내의 화재발생에 의한 온도 상승과 건물구조상 계단실이나 파이프 덕트 등을 통한 연소의 확대 또는 소화 작업 여건의 악화 등에 대한 효과
연동(連動):연계 동작
연면적:각층 바닥면적의 합계(옥상도 포함)
연복합형감지기:이온화식과 광전식연기감지기 성능이 있는 것으로서 두 가지 성능의 감지기능이 함께 작동될 때 화재신호를 발신하거나 또는 두 개의 화재신호를 각각 발신하는 기능을 가진 감지기
연선:복수개의 소선을 꼰 것
연성계:대기압 이상의 압력과 대기압 이하의 압력을 측정할 수 있는 계측기
연소방지:소방부대의 소화활동에 의해 화세확대 위험이 없도록 하는 것
연소방지설비:전력․통신용의 전선 등이 설치된 지하구의 화재시 지상의 송수구를 통하여 소방펌프차로 송수하며 배관을 통하여 개방형헤드(연소방지전용헤드 또는 스프링클러헤드)로 방수되는 설비이다.
연소범위:가연물이 기체상태에서 공기와 혼합하여 일정농도 범위내에서 연소를 일으킬 수 있는범위로서 폭발범위, 폭발한계, 연소한계라 한다.
연소점:인화한 후 연소를 계속하기에 충분한 양의 증기를 발생시키는 온도의 최저치. 점화원의 제거 후에도 지속적으로 연소할 수 있는 최저 온도로서, 인화점보다 약 10도정도(5초이상) 높다.
연소한계:기체의체적과 공기의 체적이 점화원에 의해 연소될 수있다는 의미로서 수소가 4~75이면 공기가 96~25일때 연소가 일어나는 범위를 말한다 즉 연소를 일으킬 수 있는 범위로서 폭발범위, 폭발한계, 연소범위라 한다
연와(煉瓦):적벽돌
연화(軟化):부드럽게 변화
열동계전기:전동기 과부하(과전류)보호용 기계기구. 써멀릴레이
열류층:비중이 적은 성분은 유류표면층에서 먼저 증발되고 비중이 큰 성분은 가열 축적되어 형성되는 층
열반도체 소자:비스무드(Bi), 안티몬(Sb), 텔루트(Te) 등 화합물로서 열기전력을 발생하는 부분
열복합형감지기:차동식스포트형과 정온식스포트형 성능의 감지기능이 함께 작동될 때 화재신호를 발신하거나 또는 두개의 화재신호를 각각 발신하는 기능을 가진 감지기
열연복합형감지기:차동식스포트형 또는 정온식스포트형 열감지기와 이온식 또는 광전식 연기감지기 성능이 있는 것으로서 두가지 성능의 감지기능이 함께 작동될 때 화재신호를 발신하거나 또는 두개의 화재신호를 각각 발신하는 감지기
열용량:어떤 물질에 대한 이동열량과 이로 인해 생기는 온도 변화와의 비
열의 전달:발열체로부터 발생된 열이 다른 곳으로 차츰차츰 옮아가는 형태를 말하며, 그 방법에는 전도, 대류, 복사가 있다.
열전대:2개의 금속을 조합 화재 부위온도측정에 쓰임
열전도율:열의 축적률 및 고체, 액체, 기체의 순으로 연소순서의 반대개념에 해당됨.
열파:중질유 탱크의 화재시 고열의 열유질(熱油質)을 유면(油面)의 밑쪽으로 형성하여 그 층의 두께가 연소시간의 경과와 더불어 증대한다. 이 때 밑쪽으로 전파하는 열유층을 열파라 한다.
영상음향장치:영상모니터에 화상 및 음반재생장치가 있어 영화. 음악감상을 동시에 할 수 있거나 또는 화상장치나 음반장치 중 한가지 기능만 가능할 수 있도록 설치한 시설
예방검사:화재예방을 위한 확인검사
예비전원:상용전원 고장시 또는 잠시(보통 20여분 이하) 기능을 유지하기 위한 전원. 비상전원과 구별됨. 소방용기계. 기구 등에 사용되는 원통형 니켈카드뮴 축전지 또는 무보수 밀페형 연축전지를 말함.
예비전원 감지장치:예비전원의 퓨즈단선, 예비전원이 없을 때, 예비전원의 용량이 부족할 때등 예비전원의 상태가 정상적이 아니라는 것을 램프점등 등으로 나타내 주는 장치
예비주수:호스연장이 끝나면 즉시 방수 할 수 있도록 호스연장이 끝나기 전부터 서서히 송수를 개시하는 것
오보:비화재보시에 울리는 경보를 말함
옥내소화전:복도등에 설치되는 소화전 함내의 호스등을 이용 초기화재를 거주자가 진화 작업할 수 있도록한 형태의 소화전
옥내소화전방수구:건물내부에 설치되어 있는 소화전을 말하며 나사식 또는 차입식으로 구분
옥내통신기구 1차측:옥내에 있는 통신기구로 직접 연결되는 선로 이전을 말함.
옥외소화전:건축물외부의 고정설치설비로서 자체소화 인접건축물 화재확산 방지목적으로 주로 1, 2층 저층화재소화용
올림식사다리:소방대상물에 올려 받쳐서 사용하는 사다리
와트:1볼트의 전원차를 가진 두점사이를 1암페어의 전류가 흐를때 소비되는 일의 양 1와트는 1/746마력 *기호:[w]
완강기:지지대에 걸어서 사용자의 몸무게에 의하여 자동적으로 내려올 수 있는 기구 중 사용자가 교대하여 연속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것
외기:실내공기와 구분하여 옥외의 공기를 말함
외함:기기를 보호하는 금속성함으로 접지시 전류를 흘릴 수 있는 것이어야 한다.
용량 리액턴스:콘덴서의 충전작용에 의한 리액턴스
용융:고체가 열에 녹아 액체로 되는 것
용해:고․액․기체의 물질이 다른 액체 속에 녹아 균일하게 혼합되는 일
용해가스:고압용기 속에 충전된 용제에 용해상태로 존재하는 것
원도급자:소방설비공사를 최초로 도급한 소방설비공사 면허업자
원동기:열, 수력, 화력을 이용 이것을 기계적 에너지로 변화시키는 기계
원소:같은 종류 원자만의 집합으로 된 물질(화학적 성능 구조가 가장 간단)
원자:물질을 구성하는 최소단위. 각 원소의 각기 특성을 잃지 않는 범위내에서 최소미립자(중심에 원자핵이 있고 주위에 전자가 있음)
위상:주파수가 동일한 2개 이상의 교류가 동시 존재시 상호간의 시간차
위험물:인화성 또는 발화성 등의 성질을 가지는 것으로서 대통령령이 정하는 물품을 말한다
위험물시설안전원:위험물안전관리자의 감독과 지시를 받아 제조소등의 구조․설비에 관한 안전업무를 행하는 사람
위험물안전관리자:위험물에 대한 안전관리 및 감독을 행하는 사람
위험물제조소등:위험물을 제조하거나 저장 또는 취급하는 시설을 말한다
위험물취급기능장:기능사를 지휘․감독할 수 있는 최고의 기술자
유기기전력:전자유도에 의해 발생된 기전력. 유도기전력
유기화합물:탄소를 주성분으로 하는 화합물.
유도등:화재시에 긴급대피를 안내하기 위하여 사용되는 등으로서 정상상태에서는 상용전원에 의하여 켜지고, 상용전원이 정전되는 경우에는 비상전원으로 자동전환되어 켜지는 등
유도장애:약 전류 전선에 규격이상의 전압이나 잡음이 생겨 일어나는 장애
유리벌브:감열체중 유리구안에 액체 등을 넣어 봉한 것
유수검지장치:습식유수검지장치, 건식유수검지장치, 준비작동식유수검지장치를 말하며, 본체내의 유수현상을 자동적으로 검지하여 신호 또는 경보를 발하는 장치
유수검지장치 1차측:본체의 유입구에서 시트까지의 부분
유수검지장치 2차측:시트에서부터 본체의 유출구까지의 부분
유인(誘因):어떤 작용을 일으키는 직접적인 원인
유전율:진공중에 있어서의 정전용량의 비
유전체:전도체 사이에 절연물이 있고 양자사이의 전기작용을 매개한다고 볼 때 이것을 말함
유체:액체와 기체를 말함
유황:순도가 60[wt%] 미만인 것을 제외한 황색의 고체 또는 분말. 화약, 성냥의 원료
유효전력:전원에서 부하로 실제 소비되는 전력 P[W]
융해:고체가 열을 가했을 때 액체로 되는 일
음량조정기:신호음의 대소를 조절하며 배선은 업무용 배선, 긴급용 배선, 공통선의 3선으로 한다.
음압형 공기호흡기:흡기에 따라 열리고 흡기가 정지했을 때 및 배기할 때에 닫히는 디맨드밸브를 갖춘 것
음속:소리의 속도, 공기 중에서의 음파의 전파속도는 15도에서 매초340m, 시속 약1,200km임
응급:급한대로 우선처리함
응력:변형력을 말함
의용소방원:그 지역 주민의 희망자로서 비상근 소방원
의원:주로 안과, 산부인과 등 한가지 종목으로 진찰치료 하는 곳
이동용 소방펌프:인력에 의해 운반되는 펌프, 인력에 의해서 견인되는 차량에 부착되어 운반되는 펌프(견인소방펌프)또는 자동차의 차대에서 분리할 수 있도록 부착되어 운반되는 소방펌프
이산화소화설비:CO2 가스를 고압용기에 저장하여 소화하는 설비로서 질식․냉각 효과가 있다.
이산화탄소:화학식은 CO2, 기체는 탄산가스, 액체는 액화탄산가스, 고체는 드라이아이스라 함.
이상기체상태방정식:실제기체를 기본으로 하지 않고 이상(가상)기체를 기본으로 하여 세운 공식
이상유체:점성이 없어 마찰이 존재하지 않는 유체, 완전유체, 비점성유체
이온:양 또는 음의 전기를 띤 원자 또는 원자단
이온화식감지기:주위의 공기가 일정한 농도의 연기를 포함하게 되는 경우에 작동하는 것으로서 일국소의 연기에 의하여 이온전류가 변화하여 작동하는 연기감지기로 주로 도서관에 사용됨.
이전:건축물의 주요구조부를 해체하지 아니하고 동일한 대지 안의 다른 위치로 옮기는 것
이중재킷:소방용 고무내장호스의 바깥쪽에 재킷을 피복한 구조의 것
인가:제3자의 행위를 보충하여 법률상 효력을 부여시키는 일
인덕턴스:전류가 전선에 흐를 때의 자력선의 현상 L[H]
인산암모늄:암모늄과 인산의 염
인입선:배전선로부터 수용가의 인입선 부착점에 이르는 전선
인출선:전력을 외부로 공급하거나 신호를 송출할 때 쓰이는 선
인터록회로:동시투입방지회로(병렬우선회로)
인화성:점화원(불씨) 접촉시 불을 일으킬 수 있는 성질의 것
인화성 고체:고형 알코올과 인화점이 40℃ 미만인 고체
인화점:가연성 증기를 발생하는 액체 또는 고체에 불꽃이 닿았을 때 연소가 발생될 수 있는 최저의 온도
일제개방밸브:스프링클러설비, 물분무소화설비 또는 포소화설비에 사용하는 밸브로서 화재발생시 자동 또는 수동식 기동장치에 의하여 밸브가 열려지는 것
일제살수식 스프링클러:감지기에 의해 화재를 감지하면 일제개방밸브가 작동 모든 헤드가 일제히 살수되는 설비(극장무대, 특수가연물 저장취급소, 대형건물에 많이 씀)
임계온도:기체가 액화될 수 있는 최고 온도
임피던스:교류저항 이외의 전류흐름을 방해하는 작용 성분 R, L, C 벡터의 합 Z[Ω]
ㅈ |
자기반응성 물질:가연성 물질로서 그 물질 자체 내에 산소를 함유하고 있고 외부에서 가열하면 분해되어 가연성 기체와 산소를 발생하며 공기 중의 산소 없이도 자체의 산소만으로도 연소하는 물질. 즉 소방에서는 5류위험물과 같은 물질.
자기연소:화원이 없이도 스스로 연소하는 것
자기인덕턴스:코일의 권수형태 및 철심의 재질등에 의해 결정되는 상수 L[H]
자동식소화기:가연성가스의 누출이나 화재발생시 경보를 발하고 가연성가스의 누출을 자동으로 차단하여야 하며, 화재발생시 소화약제에 압력을 가하거나(가압형, 축압형 등) 기타방식에 의해 자동적으로 방사하는 소화기
자동화재속보설비:화재시 자동으로 소방관서로 화재를 표시하는 설비
자동화재탐지설비:화재발생을 자동적으로 감지하여 당해 소방대상물의 화재발생을 소방대상물의 관계자에게 통보할 수 있는 설비로서 감지기, 발신기(M형 발신기를 제외한다), 수신기(M형 수신기를 제외한다), 경종 또는 중계기 등으로 구성된 설비
자동확산소화용구:밀폐 또는 반밀폐된 장소에 고정시켜 화재시 화염이나 열에 의해 자동적으로 소화약제가 확산하여 소화하는 소화용구
자속:자극에서 나오는 전체의 자력선 수
자연발화:가연성 물질 또는 혼합물이 외부에서의 가열없이 단지 내부의 반응열 축적만으로 발화점에 도달하여 연소를 일으키는 현상
자외선․적외선겸용 불꽃감지기:불꽃에서 방사되는 불꽃의 변화가 일정량이상 되었을 때 작동하는 것으로서 자외선 또는 적외선에 의한 수광소자의 수광량 변화에 의하여 1개의 화재신호를 발신하는 기능을 가진 감지기
자외선식 불꽃감지기:불꽃에서 방사되는 자외선의 변화가 일정량이상 되었을 때 작동하는 것으로서 일국소의 자외선에 의하여 수광소자의 수광량 변화에 의해 작동하는 기능을 가진 감지기
자유전자:금속등의 도체안에서 움직이며 전기나 열의 전도역할을 하는 전자
작동압력(압력챔버):스위치가 작동될 수 있도록 설정한 압력치
작동장치:수신부 또는 감지부로부터 발하여진 신호를 받아 밸브 등을 개방하여 소화약제 저장용기등으로부터 소화약제를 방출하기 위한 장치
잔염시간:버너의 불꽃을 제거한 때부터 불꽃을 올리며 연소하는 상태가 그칠 때까지 20초의 시간
잔진시간:버너의 불꽃을 제거한 때부터 불꽃을 올리지 아니하고 연소하는 상태가 그치는 시간 즉 불꽃이 붙은연후 점화원을 제거한때부터 연소상태가 그치는시간. 30초
잔화(殘火):타고 남은 불
장뇌:녹나무를 증류해 얻은 고체 성분
재난(인위):화재. 붕괴. 폭발. 교통사고. 화생방사고. 환경오염사고 등 국민의 생명과 재산에 피해를 줄수 있는 사고를 말한다.
재난(자연):홍수․호우․폭풍․해일․폭설․가뭄․지진․황사․적조 등을 말함.
재난관리:재난발생의 위험성을 제거하고, 재난 발생시 피해의 수습과 복구를 행하는 모든 활동
재난의 수습:재난이 발생한 때에 행하는 인명구조등 응급대책의 시행, 피해시설의 복구, 인적. 물적피해에 대한 보상협의와 관련하여 행하는 모든 활동을 말하며, 재난으로 인한 피해를 경감하기 위한 모든 대책의 수립. 시행을 포함
재개업:다시 엶
재용형 감지기:다시 사용할 수 있는 성능을 가진 감지기
재조달가액:화재 당시를 기준으로 피해자산에 대한 신품의 재취득가액 또는 재건축비(설계감리비 포함)를 말한다.
재축:건축물이 천재. 지변 기타 재해에 의하여 멸실된 경우에 그 대지 안에 종전과 동일한 규모의 범위 안에서 다시 축조하는 것
재킷:경사와 위사로 짜여진 섬유제의 원통형 직물
저압:교류 600V 이하(직류 750V 이하)
저항(Resistance):전류가 통과시 장애가 되는 것 R[Ω]
적외선식불꽃감지기:불꽃에서 방사되는 적외선의 변화가 일정량이상 되었을 때 작동하는 것으로서 일국소의 적외선에 의하여 수광소자의 수광량 변화에 의해 작동하는 기능을 가진 감지기
전계:정전력의 영향을 받는 영역
전기:전자의 이동으로 생기는 에너지의 한 형태
전기량:전하가 가진 전기의 양
전기실:전력을 사용 기계를 다루는 곳
전달함수:초기값을 0으로 했을 때 입․출력 라플라스의비
전도(顚倒):거꾸로 함
전도체:전기가 통하는 도체
전동기:전기를 동력으로 바꾸는 기계장치.
motor(모터)
전력:전기적인 일의 진행속도(1초 동안에 전기기구에 공급되는 에너지) P[W] ; VI=P
전류:전기적인 유동현상. 즉 전하의 이동 I[A]
전류의 세기:1초 동안 흐른 전하량
전면형(공기호흡기):안면렌즈를 갖춘 것으로서 안면전체를 덮는 면체
전압:전류를 흐르게 하는 힘. 능력 E[V] ; V=IR
전소:화재발생 건물의 70% 이상이 소손된 경우 또는 잔존부분을 보수하여도 다시 사용할 수 없는 경우
전용배전반:소방회로 전용의 것으로서 개폐기, 과전류차단기, 계기 그 밖의 배선용기기 및 배선을 금속제 외함에 수납한 것
전용분전반:소방회로 전용의 것으로서 분기 개폐기, 분기 과전류차단기, 그 밖의 배선용기기 및 배선을 금속제 외함에 수납한 것
전용큐비클식:소방회로 전용의 것으로서 수전설비, 변전설비, 그 밖의 기기 및 배선을 금속제 외함에 수납한 것
전압강하:출력 전압과 입력 전압의 차 .전압하강
전위:임의의 점에서 전압의 값
전자:소립자의 하나(수소원자의 1/1840질량)물질의 기본적 구성단위 원자안에 그 원자번호와 같은 수가 들어 있음.
전자개방밸브:소화설비배관에 부착하여 감지기에 의해 전류가 흐르면 전자석의 자력을 이용 밸브시트를 열어주는 역할을 하는 밸브 .솔레노이드 밸브
전자계:전계와 자계를 뜻하여 유도전자계와 방사전자계를 나눈다.
전자파:전자계의 주기적인 변화로 전파와 자파가 동시에 동반하여 널리 공간에 전반되는 파동
전하:대전된 전기(물질이 가지고 있는 전기의 양) Q[C]
절대온도:-273℃에서 기체부피는 0이 된다. 이 온도를 가장 낮은 온도라 생각 절대온도라 함(일정 압력에서 기체부피는 온도가 1℃ 증가할 때마다 0℃ 부피의 1/273씩 변한다).
절대점도:유체를 정지 시킨후 측정하는 점도. 단위는 [g/cm . sec]
절연저항:절연된 두 물체간의 저항절연물질에 전압을 가했을 때 표면과 내부에 작은 누설 전류가 흐른다. 이때 전압과 전류의 비를 말함
절연저항측정기:절연물에 직류전압을 가해 흐르는 미소전류를 미터가 지시하게 하여 절연저항을 측정하는 기기 일명 “메거”라고도 한다.
점검실시자:소방법 규정에 의한 소방시설의 자체검사를 실시하는 특정소방대상물의 관계인 또는 소방법 규정에 의한 소방시설점검업자
점성(粘性):유체가 운동할 때 나타나는 내부마찰, 차지고 끈끈한 성질
점유자:자기를 위한 의사로서 유체물을 소지하는 권리를 가진 자
점화원:불을 붙일 수 있는 모든 것. 연소반응에 필요한 에너지를 외부에서 공급하는 에너지원으로서, 전기불꽃, 화염, 충격, 마찰, 단열압축, 충격파, 열복사, 정전기, 자외선 등이 있다
접는식 사다리:사다리 하부를 접는 구조로 되어 있는 고정식사다리
접지:안전을 위하여 전로 혹은 기기 등을 대지에 접속시키는 것
접지단자:기기나 장치의 접지를 목적으로 설치하는 단자
접합부(가스관):선택밸브에서 배관연결․결합 또는 접합시키는 기능을 가진 부위
접합부(관창):관창과 결합금속구 등을 연결결합 또는 접합시키는 기능을 가진 부위
접합부(소화전):옥내소화전방수구․옥외소화전과 결합금속구간을 연결․결합 또는 접합시키는 기능을 가진 부위
접합부(송수구):송수구․방수구와 결합금속구간을 연결․결합 또는 접합시키는 기능을 가진 부위
정격전류:전기기기의 정격출력상태에서 흐르는 전력
정격전압:전기기기의 정격출력을 정할 때에 지정하는 전압
정온식:주로 온도에 민감한 부분에 설치하여 바이메탈식과 감지선형으로 구분되기도 한다.
정온식감지선형감지기:일국소의 주위온도가 일정한 온도 이상이 되는 경우에 작동하는 것으로서 외관이 전선으로 되어 있는 감지기
정온식스포트형감지기:일국소의 주위온도가 일정한 온도 이상이 되는 경우에 작동하는 것으로서 외관이 전선으로 되어 있지 아니한 감지기로 주로 주방․보일러실등에 사용됨.
정온점:감지기가 동작할 수 있도록 맞춰진 온도
정전기:물체에 정지된 전하. static electricity
정전력:+, -전하사이 작용하는 힘
정전용량:콘덴서가 전하를 측정할 수 있는 능력
제거소화법:화재를 진압하는 방법의 하나로서, 가연물을 제거하여 소화하는 방법
제어동력:밸브를 개방하기 위한 동력
제어백 효과:다른 종류 금속에(양단에 결합) 온도차를 주었을 때 전기가 발생하는 효과
제연:연기를 제어함. 배연과 방연으로 구분함
제연구역:제연경계(제연설비의 일부인 천장을 포함한다)에 의해 구획된 건물 내의 공간
제연설비:화재로 인하여 발생되는 연기를 옥외로 배출하여 연기로 인한 피해를 감소시키고 거주자의 안전한 피난을 확보하며 소화활동을 용이하게 하기 위하여 설치하는 소화활동설비
제조소:소방에서는 위험물제조소를 말함
조도:빛의 밝기. 기호:E 단위:[lx]
조례:지방자치단체입법의 한 형식. 자치행정에서 집행의 주체가 되는 예규
조명률(이용률):빛을 받는 조명효율 기호:U
조사면:유도등에 있어서 표시면의 조명에 사용되는 면
조해(潮解):고체가 대기중 습기를 흡수 액체가 됨
종단저항:회로의 단선유무 등을 확인하기 위해 감지기 회로의 끝부분에 설치하는 10kΩ의 저항
종합방재센터:건물의 방재설비를 종합적으로 집중감시하는 중앙관리실
종합훈련:부분훈련을 동시에 종합해서 하는 훈련
좌회본능:오른손잡이인 경우 오른손, 오른발이 발달해 있기 때문에 왼쪽으로 돌려는 본능
주거형스프링클러헤드:폐쇄형헤드의 일종으로 주거지역의 화재에 적합한 감도ㆍ방수량 및 살수분포를 갖는 헤드(간이형스프링클러헤드를 포함)
주기율표상 0족 원소:원소의 장주기형. 주기율표상의 불활성기체. 8족이라고도 하며 대체로 안정
주수:화재현장에서 화점에 물을 뿌리는 것
주염:가연성 가스가 연소하면서 바람을 타고 흘러가는 현상을 말한다. 풍속이 강할 때의 불길은 100~150m 정도에 미치는 경우도 있다.
주요구조부:변형이나 훼손이 되면 복구하기가 어렵고 건물의 자립에 크게 영향을 미칠 수 있는 벽, 기둥, 바닥, 보, 지붕틀 그리고 주계단
주음향장치:수신기 내부 혹은 직근에 설치하는 음향장치
주인력:주된 기술인력을 말함
주전원:평상시 쓸 수 있는 상용전원
준불연재:목모시멘트판, 석고보드, 기타 이와 유사한 불연성 재료로서 건설교통부장관이 정하는 기준에 적합한 것
준불연재료:불연재료에 준하는 방화성능을 가진 재료(재료가 반은 타고 반은 안타는 재료를 혼합하여 만든 것) 시험한 결과 난연 2급에 해당하는 것
준비작동식 스프링클러:화재시 헤드가 작동전 감지기가 화재를 감지하여 준비작동밸브를 개방하면 헤드까지 물을 송수 준비시켜 놓고 열에 의해 헤드가 개방되면 소화하는 방식
준비작동식유수검지장치:1차측에 가압수 등을 채우고 2차측에 공기를 가득 채운상태에서 화재감지설비의 감지기․화재감지용 헤드, 그 밖의 감지를 위한 기기의 작동에 의하여 시트가 열리어 가압수 등이 2차측으로 유출하는 장치
줄의 법칙:도선 내를 흐르는 정상전류가 일정시간내에 내는 줄열의 양은 전류의 제곱 및 저항과 시간에 비례. 이때 발생하는 열은 H=0.24I²Rt
중간연결금속구:결합금속구간을 연결시킬 수 있는 중간이음쇠(Y형 연결금속구를 포함)
중결점:사용목적을 충분히 발휘할 수 없거나 장래 성능상 나쁜 영향을 미칠 염려가 있다고 예상되는 것
중계기:감지기 또는 발신기의 작동에 의한 신호 또는 가스누설경보기의 탐지부에서 발하여진 가스누설신호를 받아 이를 수신기, 가스누설경보기, 자동소화설비의 제어반에 발신하며 소화설비, 제연설비 그밖에 이와 유사한 방재설비에 제어신호를 발하는 장치의 설비
중상:3주 이상의 입원치료를 필요로 하는 부상
중성대:일반적으로 건물 내의 화재시 실내 공기는 밀도가 작고 부력으로 상승하므로 상층부는 실내의 공기압이 실외보다 크고 하층부는 그 반대이다. 그 중간지점이 ‘0’의 지대가 형성되는데 이를 중성대라 한다.
중조(NaHCO3):중탄산소다, 중탄산나트륨
중지압력(압력챔버):압력스위치가 단절될 수 있도록 설정한 압력치
중탄산나트륨:탄산소다 수용액에 탄산가스를 통해 얻음. 중탄산소다, 중조라고 불림
중합열:작고 많은 다수의 작은 분자가 결합, 큰 분자량의 화합물로 되는 변화
즉소화재:화재의 규모가 작아서 소방대가 현장에 도착하였을 때 이미 진압된 상태의 화재. 소방에서는 화재발생 즉시 소화된 화재로 인명피해가 없고 피해액이 경미한 화재를 말함
증기:액체나 고체가 증발 또는 승화하여 생긴 기체
증기압:액체가 증기 사이에 한번 평형이 이루어지면 증기에서 단위부피당 분자의 수는 시간에 따라 변하지 않는다
증기공기밀도:어떤 온도와 압력에서 액체와 평형상태에 있는 공기와 증기의 혼합 기체의 밀도
증기운 폭발:가스의 비중이 공기보다 큰 인화성 액체가 누설되면서 그 가스가 주위의 낮은 공간에 서서히 확산되어 가스 증기와 공기가 연소범위 사이로 혼합된 상태에서 인화, 폭발되는 것
증발:액체 또는 고체의 표면에서 물체가 기화하는 현상. 고체가 증발하는 것을 승화라고 하고, 액체의 기화가 내부에서 일어나는 경우를 비등이라 한다.
증발연소:황이나 나프탈렌(naphthalene)등과 같은 고체위험물을 가열하면 열분해를 일으키지 않고 증발하여 그 증기가 연소하거나 혹은 열에 의한 상태변화를 일으켜 액체로 변한 후 어떤 일정한 온도에서 발생된 가연성 증기
증발열:일정한 온도에서 액체와 그 물질의 증기가 평형하게 유지될 경우 액체가 기체로 변하기 위하여 필요한 열량
증축:기존 건축물이 있는 대지 안에서 건축물의 건축면적, 연면적 또는 높이를 증가시키는 것
정결점:사용목적을 발휘하는 데는 거의 영향이 없으나 경미하게 성능시험기술 기준을 만족시키지 못하는 것
지구음향장치:경계구역 소화전 함마다 설치된 경종
지구표시등:하나의 경계구역을 표시할 수 있는 표시등
지시압력계:축압식소화기(이산화탄소소화기, 하론1301소화기 및 한번 사용한 후에는 다시 사용할 수 없는 형의 소화기를 제외한다)에 부착되어 소화기 내부의 압력을 표시하는 압력계
지광본능:화재시 정전 또는 검은 연기의 유동으로 주위가 어두워지면 사람들이 밝은 곳으로 피난하고자 하는 본능
지정수량:위험물등을 대통령령으로 정한 지정된 수량
지진:땅속의 거대한 암석이 갑자기 부서지면서 그 충격으로 땅이 흔들리는 것으로 지진은 지구 내부 어딘가에서 급격한 지각변동이 생겨 그 충격으로 생긴 파동, 즉 지진파가 지표면까지 전해져 지반을 진동시키는 것. 학술적으로는 지진이란 탄성에너지원으로부터 지진파가 전파되면서 일으키는 지구의 운동
지하가:지하도의 상점거리와 차량등의 통행을 목적으로 만든 터널
지하구:지하의 통행이 보장되는 범위의 것. 폭이 1.8m 이상
지하층:건축물의 바닥이 지표면(G. L)아래에 있는 층으로서 건축물의 용도에 따라 그 바닥으로부터 지표면까지의 높이가 당해 층 높이의 1/2 이상인 것
진압진화:화재현장 최고지휘자가 소방대에 의한 소화활동의 필요가 없게 되었다고 판단한 상태
직렬:하나의 출력이 다른 입력이 되도록 접속하는 것
직류(D.C):시간과 함께 전류치가 변하지 않는 전류. 일정한 방향을 가진 전류
질식가스:질식을 일으키는 가스
질식소화:포소화약제나 담요 등으로 화재의 연소부위를 덮는 방법으로 공기를 차단하여 화재를 진압하는 행위, 즉 공기를 15% 이하로 낯추는 행위
직통계단:한곳에서 연속된 계단
질산:비중이 1.49 이상일 때 위험물로 분류. 무색액체로 금속을 녹이며 비료, 염료 등의 원료. 초산이라 함
질화면:질산에스테르류에 속한 5류 위험물로 니트로셀룰로오스, 질산셀룰로오스. 면약이라고도 함
집합형 누전경보기의 수신부:2개 이상의 변류기를 연결하여 사용하는 수신부로서 하나의 전원장치 및 음향장치 등으로 구성된 것
징역:노동을 함께 하는 감옥살이
ㅊ |
차단기:전류를 개폐함과 동시에 이상 상태에서 회로를 차단하는 기기
차동식분포형감지기:주위온도가 일정 상승률 이상이 되는 경우에 작동하는 것으로서 넓은 범위 내에서의 열 효과의 누적에 의하여 작동하는 감지기
차동식스포트형감지기:주위온도가 일정 상승률 이상이 되는 경우에 작동하는 것으로서 일국소에서의 열 효과에 의하여 작동하는 감지기로 주로 사무실․일반실에 사용됨.
차연:연기를 차단함
착화:연료를 공기 또는 산소와 함께 가열하면 어느 온도에서 점화를 하지 않아도 연소하기 시작한다. 이러한 현상을 착화라고 한다
착화물:발화원에 의해 최초로 착화된 가연물
창문등:창문․출입구 그 밖의 개구부를 말함
채수구:물을 채취(뽑아냄)할 수 있는 구멍
체절운전:펌프의 성능시험을 목적으로 펌프토출측의 개폐밸브를 닫은 상태에서 펌프를 운전하는 것을 말한다
철분:53mesh 표준체를 통과하는 것이 50[wt%] 이상인 것으로 은백색 광택이 나는 금속분말이다.
청문:허가, 취소, 중지 등에 대한 의견 진술기회를 주는 것
청원소방원:화재의 예방․경계 및 진압업무를 행할 사람
청원주:청원소방원을 배치하고자 하는 사람
청정소화약제:할로겐화합물(할론 1301, 할론 2402, 할론 1211 제외) 및 불활성 기체로서 전기적 비전도성이며, 휘발성이 있거나 증발 후 잔여물을 남기지 않는 소화약제를 말한다. 오존층을 파괴하지 않는 할로겐소화약제 대체품이다
초기소화:건축물의 소유자․관리자․점유자가 소방차가 도착하기 전 할 수 있는 소화
초기진화:화재가 초기단계를 넘어서 진전되지 않았을 때, 즉 화재가 연소확대되기 이전에 소화작업이 이루어진 상태
촉매:자신은 변화됨이 없이 반응속도만을 변화(반응열의 변화에도 영향을 미치지 아니함)시키는 물질을 촉매라고 한다
최고사용압력:사용압력범위의 최대치의 압력을 말함.
최고주위온도:폐쇄형스프링클러헤드의 설치장소에 관한 기준이 되는 온도
최대사용하중:완강기를 사용함에 있어서 당해 완강기에 가할 수 있는 최대하중
최종잔가율:내용년수를 경과하여 사용하던 자산 등에 대하여 처분가액의 재조달가액에 대한 비율
추종본능:비상시에 많은 군중이 한 사람의 리더를 추종하려는 본능
축간거리:소방펌프자동차의 앞차축과 뒤차축의 거리
축광:전원의 공급없이 전등. 태양빛 등의 에너지를 흡수하여 이를 축적시킨 상태에서 일정시간 동안 발광이 계속되는 것
축광위치표지:옥내소화전설비의 함, 발신기, 피난기구(완강기, 간이완강기, 구조대, 금속제 피난사다리) 및 연결송수관 설비의 방수구 등의 위치를 표시하기 위하여 사용되는 표지로서 외부의 전원이 공급받지 아니한 상태에서 축광에 의하여 어두운 곳에서도 도안. 문자 등이 쉽게 식별될 수 있도록 된 것
축광유도표지:화재발생시 피난방향을 안내하기 위하여 사용되는 표지로서 외부의 전원을 공급받지 아니한 상태에서 축광에 의하여 어두운 곳에서도 도안․문자 등이 쉽게 식별될 수 있도록 된 것을 말하며, 피난구 축광유도표지, 통로 축광유도표지, 안내 축광유도표지로 구분할 수 있다.
축압식 소화기:본체용기중에 소화약제와 함께 소화약제의 방출원이 되는 압축가스(질소 등)를 봉입한 방식의 소화기
축압형자동식소화기:소화약제저장용기에 소화약제와 함께 소화약제의 방출원이 되는 압축가스(질소 등)를 봉입한 방식의 소화기
축적형 감지기:일정농도 이상의 연기가 일정시간(공칭축적시간) 연속하는 것을 전기적으로 검출하므로서 작동하는 감지기(다만, 단순히 작동시간만을 지연시키는 것은 제외한다)
축전지:전기적 에너지를 화학적 에너지로 축적후 필요시 다시 전기적 에너지로 쓸 수 있는 전지
충압펌프:배관 내의 압력손실에 따른 주펌프의 빈번한 기둥을 방지하기 위하여 충압역할을 하는 펌프를 말한다.
출동:화재 등의 재해가 발생하였거나 또는 발생의 우려가 있을 때에 소방대가 그 피해를 최소한으로 줄이기 위하여 현장에 출동하는 일련의 행동
출화(出火):불이 남
출화장소:화재가 발생한 장소
측벽형스프링클러헤드:가압된 물이 분사될 때 축심을 중심으로 한 반원상에 균일하게 분산시키는 헤드
치명결점:성능시험기술기준에 적합하지 아니한 것으로서 사용목적을 전혀 발휘할 수 없는 것. 사람에게 상해를 미칠 염려가 있는 것 또는 신청된 것과 다른 것 등
ㅋ |
칼륨, 나트륨, 알킬알루미늄:소방법상 3류 위험물 금속으로서 자연발화성 및 금수성 물질
캔버스(Canvas):두껍게 짠 면표지
컨실드스프링클러헤드:리세스드스프링클러헤드에 덮개가 부착된 스프링클러헤드
케이블:전기 절연물로 피복한 전화, 전력 등의 전선
코덮개:배기(숨을 밖으로 내쉬는 기운)가 면체공간 이외의 공간으로 확산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코 및 입근처를 덮는 부품
코크스:석탄을 건류하여 만든 다공질 고체. 표면연소하며 착화점이 높다.
콘덕턴스:저항의 역수로 전류의 흐르는 정도를 나타내며 전류를 이끄는 능력, 어드미턴스의 실량부 G[℧]
콘덴서:유전체를 끼운 양면에 절연물을 넣어 정전 용량을 가진 소자 C[f]
클레드식:납 합금으로 된 심금속에 유리섬유 등의 미세한 구멍이 많은 튜브를 삽입한 그 속에 양극물질 납합금으로 된 격자에 음극물질을 채운 것. 급방전이 아닌 완방전형(C.S형)
ㅌ |
탄산칼슘:칼슘의 탄산염, 석회석
탄소쇄:쇠사슬 모양 탄소결합길이
탄화:물질이 연소되어 검게 된 것
탄화면적:불이 붙은 연후 탄소만 남아 까맣게 타버린 면적
탄화수소:탄소와 수소만으로 이루어진 탄소화합물로서 사슬모양과 고리모양으로 분류
탄화칼슘:산화칼슘과 탄소를 가열하여 만듦. 카바이트
탐지부(자동식소화기):가스누설을 검지하여 수신부에 가스누설신호를 발신하는 부분 또는 가스누설을 검지하여 이를 음향으로 경보하고 동시에 수신부에 가스누설신호를 발신하는 부분
텅스텐:회백색의 굳고 질긴 금속. 원자번호 74
토출량:물을 뿜어(토해) 내는 양
통로:피난 및 소화에 필요한 통행의 길
통로유도등:피난통로를 안내하기 위한 유도등
통로축광유도표지:피난통로가 되는 복도, 계단 등에 설치하는 것으로서 피난구의 방향을 표시하는 유도표지
통보:화재 등을 발견한 사람이 소방기관에 알리는 행위 따위를 말한다.
퇴피본능:긴급사태가 확인되면 반사적으로 그 지점에서 멀어지려고 하는 본능
투척용소화용구:화재가 발생한 곳에 던져서 소화하는 소화용구
트랜스:철심에 감은 2개의 권선사이에 생기는 전자 유도 작용을 이용하여 교류 전압이나 전류의 크기를 바꾸는 장치. 변압기
트랜지스터:증폭이나 발진등의 작용을 하게 하는 전자회로 소자
특별고압:7,000V를 넘는 전압(7001V부터)
특별피난계단:특별피난계단은 피난계단에 화염과 질식 또는 피난의 장애요인이 되는 연기의 침입을 방지하고 침입된 연기를 유효하게 배출시킬 수 있도록 전실을 설치한 것
특성임피던스:선로에서 전압과 전류가 일정한 비
특수가연물:화재시 그 확대가 빠른 물품
특수인화물:1기압, 20도에서 액체로 되는 것으로, 발화점이 100도 이하인 것 또는 인화점이 -20도 이하이고 비점이 40도 이하인 것을 말한다
특수화재:위험물제조소 등 , 가스제조. 저장소, 원자력발전소, 지하철, 터널, 지하가 등의 화재
특정소방대상물:소방시설을 설치하여야 하는 소방대상물로서 대통령령이 정하는 것을 말한다.
ㅍ |
파이프닥트:파이프를 넣는 관․로
패닉(Panic):공포, 불안, 떨림
팽창진주암:진주처럼 빛을 내는 팽창암
팽창질석:질석을 1000℃ 이상에서 팽창시켜 만든 것
평직:경사와 위사가 각 2올씩으로 1순환이 되고, 경․위사가 각 1을 사이에 한번씩 상호 교착하고 있는 조직의 재킷
폐쇄형 스프링클러헤드:정상상태에서 방수구를 막고 있는 감열체가 일정온도에서 자동적으로 파괴ㆍ용해 또는 이탈됨으로써 분사구가 열려지는 스프링클러헤드
폐업:문을 닫고 영업을 쉼
폐이스트식:납합금격자에 양극․음극 물질을 채운 것. 급속방전형(H.S형)
폐회로:닫혀진 회로
포소화설비:물과 소화약제를 혼합, 수용액을 공기로 발포시켜 소화함(대규모 화재, 물에 의한 소화방법이 효과가 적을 때). 포는 공기포와 화학포로 나뉨
포소화약제:주원료에 포 안정제등을 첨가한 액상의 것으로 물과 일정한 농도로 혼합하여 공기 또는 불활성 기체를 기계적으로 혼입시킴으로써 거품을 발생시켜 소화에 사용하는 약제
포수용액:포소화약제에 물을 가한 수용액
포지(包紙):포장지의 준말
포케트식:구멍 뚫은 니켈도금 강판의 포캣속에 양극․음극 물질을 채운 것
폭굉:폭발 중에서 반응이 일어나는 면(화재면)이 정지 매질에 대해 음속보다 빠른 속도로 이동하는 것
폭발:급속히 진행되는 화학반응에 있어서 반응에 관여하는 물체가 급격히 또는 현저하게 그 용적을 증가하는 반응형태로서, 압력이 급격히 상승되어 용기가 파열하거나 또는 기체가 급격히 팽창하여 폭발음이나 파괴작용을 수반하는 현상
폭발범위:혼합기체의 조성이 연소될 수 있는 어느 농도의 범위로 형성되면 점화원에 의해 착화되어 일순간에 연소폭발하는 현상. 폭발범위. 연소범위 연소한계라 한다.
폭연:폭풍압의 파풍속도가 음속 이하인 것을 말한다.
폭발한계값:공기중 가연물의 연소범위를 백분율로 나타낸 것(=연소범위값, 위험도)
폰(phon):음의 강도나 소음을 나타내며 소음계 지시값으로 측정. 속삭임 10폰, 대화 40폰, 비행기 110폰 정도이다. 데시벨(decibel)
표면연소:공기와 접촉하고 있는 고체 또는 액체 표면에서만 연소가 일어나는 현상이다. 모탄, 코크스, 숯, 금속분, 나트륨 등이 표면연소를 한다.
표시등:옥내소화전설비. 자동화재 탐지설비의 발신기 및 연결송수관 설비의 방수구 등의 위치를 표시하는 등
표시면:유도등에 있어서 피난구나 피난방향을 안내하기 위한 문자 또는 부호등이 표시된 면
표시온도:폐쇄형스프링클러헤드에서 감열체가 작동하는 온도로서 미리 헤드에 표시한 온도
표준반응, 특수반응, 조기반응:표준형스프링클러헤드의 감도를 RTI값에 따라 구분한 것
표준형스프링클러헤드:가압된 물이 분사될 때 헤드의 축심을 중심으로 한 원상에 균일하게 분산시키는 헤드
푸트밸브:흡수관 말단에 설치하는 수직형 첵크밸브로서 역류방지 기능을 하며, 이물질이 유입되지 않도록 여과장치를 설치한 밸브. 소방용 푸트밸브. 후두밸브
풍상방향:바람이 부는쪽
풍랑:바람과 물결을 아울러 이르는 말로, 해상에서 바람이 강하게 불어 일어나는 물결
풍하방향:바람이 흐르는쪽
퓨즈:과전류를 차단하는 납, 주석, 아연의 띠 모양의 금속편
퓨지블링크:감열체중 이융성금속으로 융착되거나 이융성물질에 의하여 조립된 것
프로판(C3H8):LPG가스 중 65%를 차지하여 무색, 무미, 무취인 연소범위 2.1~9.5%인 공기보다 무거운 가스
프리액션형:스프링클러의 준비작동식
플러그(Plug):코드를 콘센트에 접속하기 위한 전선 끝에 부착한 접속기구
플러쉬스프링클러헤드:부착나사를 포함한 몸체의 일부나 전부가 천정면 위에 설치되어 있는 스프링클러헤드
피난교:피난시의 다리로서 폭이 0.6m 이상
피난구:건물 내의 화재로 인하여 긴급하게 대피 또는 탈출하여 옥외나 기타 안전한 장소로 이동할 수 있는 탈출구
피난구 유도등:피난구 또는 피난경로로 사용되는 출입구가 있다는 것을 표시하는 녹색등화 유도등
피난구축광유도표시:피난구 또는 피난경로로 사용되는 출입구가 있다는 것을 지시하는 유도표지
피난유도선:햇빛이나 전등불에 의해 축광하거나 또는 전류에 의해 빛을 발하는 유도체로서 화재발생시 어두운 상태에서 피난을 유도할 수 있는 시설
피난사다리:화재시 긴급대피에 사용하는 금속제의 사다리
피난층:곧바로 지상으로 통하는 출입구가 있는 층
피상전력:전원에서 공급되는 전력(상에서 바로나온 전력) Pa[VA] ․ Pa=
피스톤릴리스:실린더에 공급된 기동용가스가 일정압력에 도달하면 피스톤을 작동시켜 일시적으로 방출되는 구조의 기계적 장치
피아노선:가느다란 선
필라멘트:전구내부에 전류를 통하게 하며 열전자를 방출하는 선
ㅎ |
하나의 계단:피난시에 거실로부터 가장 가까운 계단(첫 번째 계단을 말함)
하도급:당해공사 일부를 1차에 한하여 주는 도급
하자(瑕疵):흠
한시동작접점:“한”정된 “시”간후 동작하는 접점( 타이머)
할로겐화합물 청정소화약제:불소, 염소, 브롬 또는 요오드 중 하나 이상의 원소를 포함하고 있는 유기화합물을 기본성분으로 하는 소화약제를 말한다.
할론소화설비:할로겐화합물 소화약제를 사용, 억제, 냉각효과(탄소, 불소, 염소, 취소의 혼합)
합성계면활성제 포소화약제:합성계면활성제를 주원료로 하는 포소화약제
합성수지:화학적인 합성에 의하여 인공적으로 만듦. 흔히 플라스틱을 칭한다.
항력:유동속도와 평행 방향으로 작용하는 성분의 힘
해일:해일은 바닷물이 육지로 범람하는 현상을 말하며, 발생하는 원인에 따라 크게 폭풍해일과 지진해일로 나뉜다.
해제신호:소화활동상 필요가 없을 때 발하는 소방신호
행자부령:행정자치부령
허가:법률이 어떤 행위를 특별히 정한 경우 조건을 붙여 허락하는 일
허용농도:성인남자가 1일 8시간 근무해도 인체에 해를 느끼지 않는 농도. 단위는 [ppm]
허용전류:전선에 안전하게 흘릴 수 있는 최대전류
형식검정:소방용기계. 기구등의 견품에 대하여 그 형상․구조․재질․성분 및 성능이 행정자치부장관이 정하여 고시하는 소방용 기계․기구 등의 검정기술기준에 적합한가의 여부를 검정하는 것
형식변경검정:규정에 의한 형식승인을 얻은 소방용기계․기구 등의 형상등의 부분적인 변경이 검정기술기준에 적합한가의 여부를 하는 검정
헤모글로빈:척추동물 적혈구속에 들어있는 성분, 이것으로 인해 피가 붉게 보임(혈홍소, 혈색소).
호환(互換):서로 교환함
화이어 볼:대량으로 증기화된 가연성 기체가 급격하게 연소했을 때 발생하는 불의 덩어리
화원:불이 난 근원
화재:사람의 의도에 반하거나 고의에 의해 발생하는 연소현상으로서 소화시설 등을 사용하여 소화할 필요가 있는 것
화재감식:화재원인의 판정을 위하여 전문적인 지식, 기술 및 경험을 활용하여 주로 시각에 의한 종합적인 판단으로 구체적인 사실관계를 명확하게 규명하는 것
화재감정:화재와 관계되는 물건의 형상, 구조, 재질, 성분, 성질 등 이와 관련된 모든 현상에 대하여 과학적 방법에 의한 필요한 실험을 행하고 그 결과를 근거로 화재원인을 밝히는 자료를 얻는 것
화재경계지구:화재손실이 많을 것으로 예상되는 곳을 시도지사가 지정한 지역
화재속보설비:자동 또는 수동으로 화재의 발생을 소방관서에 통보하는 설비
화재조기진압형스프링클러헤드:화재를 초기에 진압할 수 있도록 정해진 면적에 충분한 물을 방사할 수 있는 빠른 작동능력의 스프링클러헤드
화재조사:화재의 원인을 규명하고 화재로 인한 피해를 산정하기 위하여 자료의 수집, 관계자 등에 대한 질문, 현장확인, 감식, 감정 및 실험 등을 하는 일련의 행동
화재조사관:화재조사업무를 총괄하는 간부급 소방공무원
화재조사자:화재조사업무를 수행하는 소방공무원
화재표시등:P형 또는 R형 수신기의 표시장치이며 적색으로만 점등한다.
화재표시작동시험:회로선택 스위치를 원위치로 돌려도 복귀스위치 조작시까지 작동상태를 지속하는 방법
화재현장:화재가 발생하여 소방대 및 관계자 등에 의해 소화활동이 행하여지고 있는 장소
화학 소방펌프자동차:소방펌프자동차 또는 물탱크 소방펌프자동차의 차대에 포소화장치․분말소화장치 또는 할론소화장치 등이 각각 또는 복합 고정되어 소방용으로 사용하는 자동차
환원반응:산소를 잃거나 수소와 화합하는 반응. 즉 산화된 물질을 원래의 상태로 되돌리는과정
활성화에너지:반응물질이 활성화물을 거쳐 생성물로 되는데 필요한 에너지
황린(백린):황백색의 고체 마늘냄새가 나며 공기를 차단 가열하면 적린이 됨. 자동발화점 30℃ 착화온도 50℃로서 물속에 넣어 저장 함
황산:무색, 무취의 끈끈한 유상액체로서 저온에서 결정함. 유산이라 함.
효율:기계의 한 일과 그에 공급된 에너지와의 비
후드밸브:체크밸브와 여과밸브기능을 겸한 흡수구 말단에 설치하는 밸브. 푸드밸브
후레쉬 오버:실내에서 화재시 일어나는 현상으로, 물체의 표면 또는 전체의 온도가 발화온도에 이르면 전면에 걸쳐 거의 동시에 타오르는 화재의 단계로서 분발연소라고도 한다.
후레임(스프링클러):스프링클러헤드의 나사부분과 디프렉타를 연결하는 이음쇠 부분을 말한다.
훈련신호:훈련상 필요시 발하는 소방신호
훈소화재:화재초기 공기가 막혀 정상연소를 하지 못하는 상태의 화재
휘백색:눈부신 백색을 말하며 완전연소시 공기의 공급이 충분할 때 나타남.
휴업:영업을 어느 기간 동안 쉼.
흡수관용 연결금속구:소방펌프 흡수구에 연결시켜 소화용수를 끌어올리기 위하여 흡수관의 양끝에 삽입 부착되어 있는 나사식 이음쇠
영문 |
A접점:회로상 평상시 열려있는 접점을 말한다.
A형 속보기:P형, P형복합식, GP형, GP형복합식, R형, R형복합식, GR형 또는 GR형복합식의 수신기로부터 발하여지는 신호를 수신하여 소방관서에 자동적으로 신호를 발하고, 당해 소방대상물의 위치를 관할 소방관서에 자동적으로 통보하여 주는 것을 말한다. 지구 등이 없는 구조이다.
AND회로(논리적):입력신호 A, B가 동시일 때 출력신호가 된다(직렬, 반달모양).
BLEVE:Boiling Liquid Expanding Vapor Explosion의 준말.
Boilover:중질류탱크 바닥에 물과 기름의 에멀젼이 섞일때 물의 비등으로 인해 갑자기 분출되는 현상
Breaker:이상전류를 차단하는 기기
Btu:British thermal units의 준말. 영국의 열량단위
B접점:도면이나 회로상 평상시 닫혀있는 접점을 말한다.
B형 속보기:수신기와 A형 속보기의 성능을 복합한 것으로서 감지기 또는 P형 발신기로부터 발하여지는 신호나 중계기를 통하여 송신된 신호를 수신하여 화재발생을 당해 소방대상물의 관계자에게 통보함과 동시에 소방관서에 자동적으로 신호를 발하고, 당해 소방대상물의 위치를 관할 소방관서에 자동적으로 통보하여 주는 것을 말한다. 지구등이 있는 구조이다.
C(탄소):카본의 약자로 가장 중요한 원소로 자연계 생물체 안에 널리 존재.
CDE:compatible dry chemical의 약자로서 포(거품소화약제)와 함께 사용할 수 있는 분말소화약제
cotton:솜을 짜서 만든 무명실로 짠 천 식물성 섬유를 말함.
D.C(Direct current):일정한 방향으로 크기가 변화하지 않는 전류(직류)
D.M.F(Dimethylformamid):디메틸포름아미드. 제2석유류에 해당되는 물질
dB:decibel의 약자. 벨의 1/10로서 음의 강도 단위로 쓰인다.
ELO:동일조건의 수압력에서 표준형헤드보다 큰물방울을 방출하여 저장창고 등에서 발생하는 대형화재를 진압할 수 있는 헤드를 말함.
EXIT:출구
flare:너울거리는 불길. 확타오름. 섬광신호. 플레어
flare-back:후염(後焱). 되돌아 가는 화염
flare-up:확타오름. 섬광
flash over:순발적인 연소 확대현상. 폭발적인 착화현상. 프래쉬오버
froth over:물이 점성의 뜨거운 기름 표면 아래서 끓을 때 화재를 수반하지 않고 over flow되는 현상. 후로스오버
GP형 복합식 수신기:GP형 수신기의 성능과 자동소화설비의 제어반의 기능을 겸한 수신기
GP형 수신기:P형 수신기의 기능과 가스누설경보기의 수신부 기능을 겸한 수신기
GR형 복합식 수신기:GR형 수신기의 성능과 자동소화설비의 제어반의 기능을 겸한 수신기
GR형 수신기:R형 수신기의 기능과 가스누설경보기의 수신부 기능을 겸한 수신기
H(수소):하이드로겐의 약자. 무색, 무미, 무취의 가장 가벼운 원소. 대기권 상층부 및 동식물에 존재
IC:트랜지스터, 다이오드저항, 콘덴서 등 부품을 하나의 기판 위에 집적하여 담은 회로부품
L:폭발에서는 Lower limit(하한계)를 지칭함
LNG(액화천연가스):석유가 든 지층에서 나온 메탄을 주성분으로한 가스를 액화시킨 것
LOI:연소를 계속 유지시킬 수 있는 산소의 최저 체적온도
LPG(액화석유가스):석유성분 속의 탄화수소가스를 압축, 냉각하여 액화시킨 것 프로판, 부탄이 주성분
mole:각 물질의 분자량에 g단위를 붙힌 물질량
M형:Municipal type(공유형)을 지칭한다
M형 발신기:수동으로 각 발신기의 고유신호를 M형 수신기에 발신하는 발신기
M형 수신기:M형 발신기로부터 발하여지는 신호를 수신하여 화재의 발생을 소방관서에 통보하는 수신기
MCCB:퓨즈를 사용하지 않고 바이메탈(Bimetal)이나 전자석으로 회로를 차단하는 소형 경량인 저압용 차단기. No fuse Breaker.
N(질소):니트로겐의 약자. 무색, 무미, 무취. 동식물을 구성하는 단백질의 요소. 암모니아 등의 원료
O(산소):옥시겐의 약자. 무색, 무미, 무취. 모든 원소 중 가장 다량 존재. 물의 8/9. 지각 질량 1/2 차지
OR회로(논리합):입력신호 A, B 중 어느 하나이면 출력신호가 된다(병렬, 초생달모양).
Over flow 현상:넘쳐흐르는 현상
racked storage:여닫이문과 문틀에 장치하여 문을 열면 저절로 닫혀지는 장치가 되어 있는 창호 철물로서 강철, 청동제의 스프링과 피스톤 장치로 구성
Roof monitor:스모그 타워(smoke tower) 상부에 설치하여 옥외로 연기를 배출시키는 장치
RTI:기류의 온도ㆍ속도 및 작동시간에 대하여 스프링클러헤드의 반응을 예상한 지수
PGS:Platinum(백금), Gold(금), Silver(은)의 약자
ppm:part per million(1/106). 백만분의 일 퍼센트
PS:press swich.압력스위치
PVC(PolyVinylChloride):폴리염화비닐, 비닐론의 중합체
P형 1급 발신기:전화잭과 응답램프를 갖추어 화재시 통화가 가능한 발신기
P형:Proprietary type(소유자형)
P형 발신기:수동으로 각 발신기의 공통신호를 수신기 또는 중계기에 발신하는 것으로서 발신과 동시에는 통화가 되지 아니하는 발신기
P형 복합식 수신기:P형 수신기의 성능과 자동소화설비의 제어반의 기능을 겸한 수신기
P형 수신기:감지기 또는 발신기로부터 발하여지는 신호를 직접 또는 중계기를 통하여 공통신호로서 수신하여 화재의 발생을 당해 소방대상물의 관계자에게 경보하여 주는 수신기
R형:Record type(기록형)
R형 복합식 수신기:R형 수신기의 성능과 자동소화설비의 제어반의 기능을 겸한 수신기
R형 수신기:감지기 또는 발신기로부터 발하여지는 신호를 직접 또는 중계기를 통하여 고유신호로서 수신하여 화재의 발생을 당해 소방대상물의 관계자에게 경보하여 주는 수신기
SI단위:System international dunits. 국제 단위계
SV:솔레노이드밸브
Slop over:물의 연소유의 뜨거운 표면에 들어갈 때 발생되는 오버현상
Thermister:온도상승에 수반되어 저항이 현저하게 감소되는 것을 이용한 반도체 소자
TS:탬퍼스위치
TNT:니트로화합물류에 속한 5류 위험물로 톨루엔에 진한 황산과 진한 질산의 혼합산으로 만든 것. 트리 니트로 톨루엔의 약자. 폭약으로 쓰임
T형:Telephone type(통화형)
T형 발신기:수동으로 각 발신기의 공통신호를 수신기에 발신하는 것으로서 발신과 동시에 통화가 가능한 발신기
U:폭발에서는 Upper limit(상한계)를 지칭함
Volt meter:전위차 전압을 측정하는 계기
Y-Δ기동:유도전동기의 기동전류를 적게 하기 위해 Y결선으로 감전압기동하고 잠시 후 Δ로 변경 전전압으로 운전하는 방식
1> SP 설치시 고려할 사항
가연물의 내용 및 연소특성, 주위조건(동결), 공사비 등을 감안
1. 습식의 장려
: 습식이 가장 바람직하다.
단, 상시 난방여부, 보온만으로 가능한지, 아니면 별도 열선 보호 필요성 등 검토
2. 건식 채택시
소화수 공급의 지연성 검토 (60초 이내 방수가능할 것 : 말단 시험 밸브 설치)
건식밸브 자체에 열선 코일 안됨 - priming water의 급속한 증발 초래
- 밸브 seat의 경화 : 고착유발
2차측 용적제한 : 750Gal 이하, 500Gal이상시 신속개방설치
3. 준비작동식 채택시
오작동이 허용되지 않는다는 조건하에 동결우려가 있는 장소채택
-2차측 배관에도 감시용 공기 충진 필요성 ( 0.5kg/cm²이상) : 국내 규정 없다.
-화재감지기는 차, 정 사용 (연감지기 불꽃감지기 사용금지)
-교차회로 (설비의 작동지연 우려 장소 사용 안됨 F.M기준 : 단일화로 구성 요구)
2> SKIPPING 현상
S,P 헤드 배치시 유의할 사항으로서 헤드간 간격이 너무 가까울 경우 개방된 헤드로부터 방사된 물이 주변을 냉각시켜서 인접한 S,P 헤드의 개방을 방해하는 현상.
1. 미치는 영향 : 초기 진압효과 지연 연소확대요인
2. 방지책 : 헤드 간격을 일정 이상 확보 2.1m (ESFR : 2.4m) 이상 가급적 정사각형으로 헤드 배치
3. 국내실정 : skipping 에 대한 고려없이 천정의 미관, 조명, 공조그릴 등의 배치에 따라 일률적 시공
3> 최고주위온도 : 폐쇄형 S,P헤드만 해당
T = 0.9×Tm - 27.3℃
Tm : 표시온도 : 감열체가 작동하는 온도로서 헤드에 표시됨
단, 표시온도 79℃미만의 경우 : 39℃로 한다.
4> 유리벌브 : 감열체 중 유리구 안에 액체 등을 넣어 봉한 것.
5> 감열체 : 평상시엔 방수구를 막고 있다가 열에 의해 일정 온도에 도달하면 녹아 헤드에서 이탈하여 소화수가 살수될 수 있도록하는 물질.
6> 휴즈블링크 : 감열체 중 이융성(녹는 성질) 금속으로 융착되거나 조립된 것.
7> 소방호스반동력 : 1인당 한도 : 20㎏ : 0.015×B²×P
P = 20 = 7.89㎏/cm²
0.015×B²
※ 7㎏/cm²를 넘느 경우 감압 방법 : -고가수조분리방법
- 배관계통 분리방법
- 중계펌프 사용방법
- 감압기능의 감압밸브 사용 방법
8> 동결방지조치
: 보온, 가열(난방), 전열선가열(히팅코일감기), 물의 유동(자체순환),
매설(동결심도 이상), 부동액 첨가, 물의 배수 등
9> 일재개방밸브 사용할 때
① 방호구역이 1개일 경우 : 프리액션밸브 사용
② ″ 2개 이상일 경우 : 주배관 : 알람밸브설치
: 구역별로 : 데류지밸브(자동밸브) 사용할 것.
10> APT, 수원량 설계시
헤드 수를 층으로 보는가, 세대내의 설치수로 보는가
: 1 세대내의 헤드설치수로 본다. 10개 이상 : 10개로 기준×80ℓ×20분 용량
배관경은 : 해당 방호구역의 전체 헤드 설치수로 계산한다.
11> 국내 SP헤드 표시온도
72℃용 : 사무실 용도
105℃용 : 주방, 보일러실 등에 설치 : (이 경우 자탐감지기 면제 안됨 : 별도설치)
12> SP 토너먼트배관 안되는 이유
: 유체의 마찰손실이 커지므로 안됨
단, 가스계 또는 분말은 헤드에서 균일하게 약제가 방출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채택
13> 드라이펜던트현 헤드
: 롱니플 사용한 헤드로서 : 동결을 방지하기 위해 헤드 튜브에 N 등을 충진한 것
건식, 준비작동식의 하향식 배관에도 설치 가능하다.
(일반용은 반드시 상향식일 것)
14> 송수구 연결방법
-국내 : 유수검지장치 1차측에 연결.
여러 개의 송수구를 전부 연결.
펌프토출측 입상관에 연결사용.
-NFPA : 유수검지장치 2차측에 송수구 연결 (NFPA 13-A-6-1-1 참조 )
유수검지 장치별로 송수구 필요 (복잡)
15> 준비작동식의 음향장치 기준
감지기 1회로 작동시 : 경종
밸브 작동시 : 싸이렌 : 준비 작동 밸브마다 설치
음색 구분할 것 : 어느 경우던지 싸이렌 설치 (잘못됨)
16> 방호구역과 방수구역의 차이
방호구역 : 폐쇠형 헤드를 사용하는 경우 ( 방호할 대상 )
방수구역 : 개방형 헤드를 사용하는 경우 ( 살수할 대상 )
17> PIV밸브 ( Post Indicatior Valve )
1. 밸브의 개방상태를 육안으로 식별할 수 있도록 open, close 상태표시
2. OS Y 밸브도 outside screw (중심봉)의 상태로 개폐여부가 확인되므로 PIV밸브의 일종이다.
3. 사용장소 : Loop배관 등에서 블록밸브로 사용할 때 개폐확인이 쉽도록 설치
18> 계단형 APT 경우 습식 SP적용시(16층 이상) 적용사항
※전층을 하나의 방호구역으로 할 때
1. 배관경의 설정은 : 알람밸브 1개 : 전층 헤드수로 적용하는가 또는 층별 헤드수인가
유권해석 : 전층의 헤드수로 배관경을 설정할 것
2. 알람밸브의 설치 위치 : 방호구역과 가까우면서 배수를 고려
: 16층에 설치함이 타당. 단, 배수관 지하까지 별도
3. 경보방식 : 알람 1개일 때 전층경보인가 또는 직상층 우선 경보인가
고시개정 : 전층경보로 할 것
원칙 : 층별로 구분함이 타당하나 계단식APT의 특성상 문제점
19> Churm Pressure (체절압력 )
소방펌프의 성능 test시 토출측 개폐밸브를 차단한 상태에서 운전될 때 나타나는 최고압력
20> Auxiliary Drain Valve (건식설비의 보조배수밸브)
21> 표면장력
표면장력이란 물방울을 유지하려는 힘으로서 분자간의 결합을 증가시키려는 에너지
1. 소화에 미치는 영향
① 염분 : 표면장력을 증가시킨다. 증점제 → 산림화재 등에 활용.
Na (바닷물 : 소금) = 화재진압효과증대 (방제기술 I 220P)
② 비누 등(유기물질), 알콜, 산 : 표면장력 감소시킨다 → 계면활성제 역할
2. 표면장력이 적어지면
① 심부화재 경우 : 침투력 증대, 냉각능력 상승,
(물의 표면적 커질 때 냉각 소화효과 증대)
② 물분무설비 경우 : 물안개 형성에 도움을 준다. (효과적)
22> Safety 와 Relief Valve 의 차이점
1. 안전밸브 : 가스나 공기 등에 사용하는 것. 조절불가. 제조사 작동치 고정.
2. Relief valve : 주로 액체에 사용된다. 상부조절나사 조절가능 (小폭)
23> SP 가지배관을 신축배관으로 하는 경우 시험방법
1. 최고사용압력 : 14㎏/cm²이상일 것
최고사용압력의 1.5배의 수압에서 변형 누수되지 않을 것.
2. 시험방법 :① 진폭 5㎜ 진동수 25회/sec 로 6시간 작동시키거나
② 3.5 ∼35㎏/cm²/매초당 압력변동을 4,000회 실시한 경우
변형, 누수되지 않을 것
24> SP 헤드 시험방법
폐쇠형헤드 진동시험 : 전진폭 5㎜ , 진동싸이클 25회/초 로 3시간 시험 후
25㎏/cm²압력을 5분간 가하여 새지 않을 것.
폐쇠형헤드 수격시험 : 피스톤형펌프를 사용 3.5∼35㎏/cm²/매초당 압력변동 4000회 실시후
25㎏/cm² 압력을 5분간 가하여 새거나 변형이 없을 것.
25> 옥내소화전함의 시험방법
1. 함의 재질 : 강판 1.5㎜ 이상 또는 합성수지재 4㎜ 이상 두께일 것
문짝의 면적 0.5㎡ 이상일 것
2. 시험 : 강판의 경우 : 염수분무시험 방법으로 시험시 변색, 부식 안될 것
합성수지재 : 내열성 및 난연성의 것으로서
80℃로 24시간 가하여 열로 인한 변형 생기지 않을 것
26> CO₂ 상태도
기체비중 : 44 / 28.96 = 1.52
평상시 압력 20℃ :59㎏/cm²
체적팽창율 : 534배
비점 : - 78.5℃
전기절연성 : 공기의 1.2배
액화조건 : 온도↓ 압력↑ 용이하게 액화 가능 (N₂는 액화 어렵다 -147℃)
※ 공기의 조성 : N₂: 78% O₂ : 21% Ar : 1%
⇒ (0.78×28)+(0.21×32)+(0.01×40) = 28.96
27> 분말 에어로졸 system
알칼리급속염이 주성분인 분말소화약제를 수마이크론의 적은 미립자상태로 대기 중에 에어로졸로 분사시켜 소화성능을 향상시키는 system
소화효과 : 부촉매 효과가 크고, 냉각 및 불꽃 전파속도의 지연효과도 기대.
- 에어로졸 : 연기, 안개, 구름 (공기중에 분산)
- 졸(sol) : 먹물, 잉크, 아교, 녹말 (액 또는 고체)
- 겔(gel) : 젤리, 묵, 실리카겔 (반고체상태)
- 에멀젼 : 우유, (크림상태)
28> Fire Control : 화재의 제어
29> SP 헤드의 종류 : 일반용, 주택용, 산업용
1. 싸이클링 SP : 밸브클래퍼가 ON, OFF : 수손피해감소목적. CYCLE SP
2. 증발수 SP (Ablative SP)
소화수에 증발약제를 주입. 물방울을 크게하여 랙크식창고 등에 적용 = 침투력 증가
3. 라지드릅 SP (Large Drop SP)
일반 SP와 비슷하나 큰 물방울로 대량열을 방출하는 고속의 불기류 화재에 적용.
표준형의 2배 : 1.75㎏/cm²이상 - 208ℓpm 이상
4. 속독형 SP (Quick response SP)
인명안정용 APT, 고층건물등에서 적은 면적에 신속히 제압하는데 효과적.
5. ON, OFF식 SP
헤드 자체가 ON,OFF 기능 : 수손감소
6. 즉동형 SP (Fast response SP)
RTI 50√m․s 이하로서 표준형보다 작동시간이 빠르다. 연소확대방지 목적
7. 주거용 SP (Residential SP)
주거용도의 인명안전용.
속동형감지특성 = 표준형보다 벽면을 더 높이 적시는 방사형태
8. E.L.O SP (Extra Large Orifice)
표준형보다 압력이 낮을 경우 적용.
K․factor : 161 ℓpm ×√P 압력 : 0.7㎏/cm²
9. Intermediated Level SP
우산모양의 덮개를 가진 SP. 랙크식창고 중간에 설치 : 감열방해 방지
※기술기준 제정 : 1998년 5월 12일 행정자치부령 제 6호
간이형 SP : 다중이용업소에 설치 : 영업장의 홀, 각실, 주방, 보일러실, 탈의실 등
: 상수도에 연결하거나 별도 수조 설치.
방수량 및 압력 : 헤드수 4개 × 65ℓpm(5.2m³) × 20분 용량
⇒ 0.66㎏/cm²
30> 펌프의 삼사법칙
유량 Q : (N₁/ N₂)¹×(D₁/ D₂)³ N :회전수 D : 상사, 능력배수
양정 H : (N₁/ N₂)²×(D₁/ D₂)²
동력 KW: (N₁/ N₂)³×(D₁/ D₂)
EX) 동일펌프가 아닐 경우
어느 펌프가 2000rpm으로 회전하여 축동력 250PSI 양정 100m에 0.17m³/min을 방수한다.
이것과 상사로서 크기가 2배되는 펌프가 1500rpm으로 운전시 양수량 등은 ?
Q₂: ( 1500 / 2000 )¹× ( 2 / 1 )³× 0.17m³/min = 1.02m³/min
H : ( 1500 / 2000 )²× ( 2 / 1 )²× 100m = 225m
PSI : ( 1500 / 2000 )³× ( 2 / 1 ) × 250PSI = 3375PSI
31> 펌프의 단수
단수 : ε = (log P₂ - log P₁ )
log γ
(1 /ε)
압축비 : γ : ( P₂/ P₁) = ε√P₂/P₁
ε
토출압 : P₂: P₁× γ
흡입압 : P₁: P₂/ γ
32> 펌프식 직병렬 연결시 양정과 토출량 관계변화
33> 소화활동설비
1. 제연설비
제연설비란 건축물의 화재시 건물내 수용되어 있는 사람들을 안전한 장소로 신속하게
피난 또는 대피할 수 있도록함과 동시에
발생한 연기가 피난과 화재진압활동에 지장을 주지 않도록 신속하게 제어하는 설비이다
※ 제연 : 연기를 제어하는 것 : 자연 또는 동력이용
※ 방연 : 연기 침입을 방지 하는 것 : 연기의 이동 방지
2. 연결송수관 설비
고층 건물 아케이트 등에 설치하여 소방차가 현장에 도착 후 소방관에 의해 조작되어
화재발생층 등에 주수할 수 있도록 하는 설비.
건물 구조상 외부에서 내부로 호스를 연장하기 곤란한 장소에 설치하며
신속한 시간내에 효과적으로 소화활동을 전개할 수 있는 설비이다.
3. 연결살수 설비
지하가, 지하층 등에서 연기가 충만되어 소화활동이 곤란하게 되는 장소에 설치
화재시 송수구 및 설치된 헤드를 통하여 소방펌프차로 송수시켜 소화하는 방식.
SP와는 달리 자동소화 system이 아니며 자체 수원이 없어도 무방하다.
4. 비상콘센트 설비
11층 이상 또는 지하층 등에서 소방대의 소화활동에 필요한 동력을 얻기 위한 설비로서 비상조명, 피난기구 등의 전원으로 사용되는 것
비상전원은 : 자가발전 설비 또는 비상전원 수전설비가 있다.
고층이나 지하층은 일반적인 층보다 소화활동이 어려워지므로 원활한 소화활동을 위해 설치
5. 무선통신보조설비
지하층의 무선통신이 원할하지 못한 것을 보완하기 위해 설치하는 설비로서
화재현장에서 소방대간에 통신을 원할하게 한다.
누설동축케이블, 무선기기 접속단자, 증폭기, 분배기 등으로 구성된다.
6. 연소방지 설비
지하구는 화재시 연소 확대 속도가 빠르며 개구부가 적어 연기가 충만하기 쉽고
소방대의 진입이 어려운 점이 있다.
이에 대처하기 위해 방수헤드를 설치하고 지상의 송수구로부터 소방차로부터 송수시켜 소화하는 설비
※ 지하구란? 전력, 통신용의 전선이나 가스, 냉난방용의 배관
또는 이와 비슷한 것을 집합수용하기위해 설치하는 지하공작물로서 사람이 점검보수하기 위해 출입이 가능한 것 중 내무부령이 정한 것.
(폭 1.8m이상 높이 2m이상 길이 50m이상(전력,통신용 경우 500m이상)급,배수용 이외의것)
문제점 : 화재발생시 발생지점을 파악하기 어렵고 진압에도 어려움이 크다.
특히, 통신용케이블(광케이블 등)의 화재시 모든 정보채널의 두절로 사회적인 혼란이 크며, 이로인한 간접피해가 막대해질 수 있다.
대 책 : ① 지하구에서 화재 초기에 신속하게 발견 및 진압한다.
사용감지기 : (정)감지선형 (차)분포형
(광)분리형 또는 장관고시감지기
② 주요 통신망은 Loop화할 필요가 있다.
34> 사람이 상주하는 장소란? <NFPA규정>
사람이 상시 거주하는 공간(장소)를 말하며
사람이 가끔 방문하는 변전실, 지하층, 위험물저장지역 등은 정상 거주지역이 아니다.
(설계농도 이상의 청정소화약제 사용 가능하다.)
35> 강관의 규격 표시법
1. SPP (배관용 탄소강 강관) : 350℃↓, 10㎏/cm²↓의 유체수송용으로 주로 사용
△ ⓚ - SPP - E - 50A - 1998 - 6 |
상표 한국공업규격 관의종류 제조방법 호칭경 제조년월 길이m
① 제조방법
E : 전기 저항 용접관
A : 아크용접관
B : 단접관
SH : 이음이 없는 관 <열선기공>
EC : 전기저항 용접관 < 냉간기공>
② 흑관과 백관의 차이
흑관 : 배관용 탄소강관으로 도금처리 안한 것 <백색문자 표기>
백관 : ″ ″ 내식성을 주기위해 아연도금 처리한 관
<400g/m당> <녹색문자표기>
③ 배관의 두께
SCH No : 사용압력 ―→ 1000×P(㎏/cm²)
허용능력 S
S = 재료의 인장강도 : (㎏/cm²)
안전율
안전율 : 인장강도
허용능력
인장강도 : P (내압 kg/cm²) × D (cm)
2 × T (두께 cm)
2. SPPS (압력배관용탄소강관)
△ ⓚ SPPS - SH - 1998.6 - 150A - SCH40 - 6 |
상표 K.S 관종류 제조법 제조년월 호칭경 스케쥴No. 길이
① 용도 : 350℃ 이하에서 압력 10∼100㎏/cm²정도의 유체 수송용으로서
이음이 없는 강관과 전기저항용접관이 있다.
② 관의 호칭법
SCH 10 20 30 40 50 60 80 160
No.가 커질수록 외경은 같더라도 두께가 두꺼워진다.
STD - XE : 중량계표시법 : X, XX, XS, XXS, XE
3. 이음이 없는 관 <Seamless Pipe>
소방에서는 주로 고압이 요구되는 CO₂, 하론, 분말 등의 소화설비에 주로 이용되며
만네스식 제조법에 의해 제조된다.
※ 만네스식 제조법이란 ?
저 탄소강의 원형 단면 빌렛을 1250℃ 정도로 가열한 후 심봉을 밀어넣고 천공하여
중공의 원통형관을 제조한 후 다시 압연기를 통해 규정된 치수로 완성시키는 방법
일반적으로 열간가공으로 제조하나 치수의 정밀을 요하는 것은 냉간가공으로 제조한다.
4. 이음이 있는 관 <Seamed Pipe>
1. 종류
① 전기저항 용접관 :
두께가 얇고 지름이 적은 띄강이 몇 개조의 성형 로울러 사이를 통해서 점점 원형으로 가공되어 마지막으로 용접이 되며 씸용접을 한다.
② 아아크 용접관 :
강관을 원형으로 성형하여 자동 아크용접으로 제조하며
지름이 큰 것은 띄강을 말아서 접합부를 용접한다.
③ 가스 용접관 :
띄강을 열간 가공에 의해 원형으로 만들어 이음매를 산소용접하여
주로 50mm 이하의 가는관을 만든다.
④ 단접관 :
단접관은 소재를 단접온도(1450℃)까지 가열한 후 “다이”를 통과시키면
둥글게 말리면서 끝면은 통과시에 압축되어 단접관이 된다.
36> 대규모 건축물에 적용시킬 수 있는 특수방재 설비.
1. 방수총 소화설비 <Water Cannon System>
대규모의 중앙홀 또는 아트리움, 실내체육관등 드넓은 공간을 방호할 수 있는 설비로
화재발생시 불꽃감지기가 신속히 감지하여 화재를 파악,
컴퓨터 system에 의해 정확하게 “각도, 방수거리” 등을 계산 발사하여
진화할 수 있는 설비
① 적용대상
가. 천정공간이 높아 SP효과를 기대하기 어려운 장소
나. 천정이 높아 기존의 화재감지기로는 감지가 어려운 장소
다. 건축구조상 SP배관을 시공하기 어려운 장소(중량으로 작용)
② 능력
|
방수압력 |
최대방수량 |
유효사거리 |
수평.선회정렬 |
선회시간 |
중거리용 방수총 |
8 ㎏/cm² |
2800ℓpm |
최대 65m |
180° |
20초 |
장거리용 방수총 |
8 ㎏/cm² |
3600ℓpm |
″ 95m |
180° |
5초 |
2. IBS형 자동화재 탐지설비 <인공지능형 대용량회로의 자탐>
최고층 대형 건축물, 대형공장, 대규모 산업시설 등에서 완벽한 신뢰도가 요구되는 장소에 적용하는 인공지능형 자탐설비로서
수천∼수십만 회로의 아나로그식 감지방식 수용.
① System 의 구성
가. R형 수신기 : Network 기능 : 수백대의 수신기 연결기능.
수신기〓〓 중계기간 〓〓감지기간 |
다. 아나로그식 감지기 채택
㉮ 자동환경 변화 감지기능 : 매초마다 주변환경 감시 [CPU]
㉯ 주야간 자동 감도 설정.
㉰ 자기 진단기능 및 전체 감지기 시뮬레이션 Test
3. 저압식 CO₂설비
원자력, 화력발전소, 제철소 등 대형산업설비에 적용.
고압식인 봄베식에 비하여 적은 공간에 설치할 수 있으며 경제적인 면에서도 유리하다.
대량의 CO₂를 냉동기가 장착된 저장시설에 액화시켜 저장했다가
화재시 적정량을 방출시켜 소화하는 설비
① 탱크용량 등.
용량 : 1.5∼60ton 충전비 : 1.1∼1.4ℓ/㎏
저장압력 -18℃에서 21㎏/cm² 압력유지.
냉동기 1∼6H°정도 사용
② 고압식과 저압식의 비교
|
CO₂고 압 식 |
저 압 식 |
용 기 저장용량 용기내 압력 저장온도 경 제 성 관 리
설치실적 |
실린더(봄베) 68ℓ/45㎏ ×용기 58㎏/cm² 상온 21℃ CO₂량, 3000㎏ ↓ 경제적 용기내 가스누설등 관리 어려움
다수 사용 중 |
탱크 1.560ton까지 다양한 용기 선택 21㎏/cm² -18℃ (냉동기로 유지) 대용량 3000㎏ ↑ 경제적 냉동기의 운전상태가 항상 정상적일 것 발전소 등에 설치 사용중 |
※ 울진원자력 3, 4호기 : 20ton×2기
삼천포화력 1, 2호기 : 20ton×2기 5, 6호기 : 20ton×1기
영광원자력 3, 4호기 : 16ton×2기
영주삼양금속 : 6ton×1기
37> 리리팅 챔버
누수로 인한 자동경보 밸브의 오작동 방지.
사용압력범위 : 2∼10㎏/cm²
지연시간 : 10∼30sec
알람밸브의 클레퍼가 개방되어 압력수가 리리팅 챔버로 유입되어 챔버가 만수되면 상단에 설치된 압력을 전달시켜 신호를 발신한다. 일시적인 오작동이나 소량의 크래퍼 누설량은 자동으로 배수시켜 오작동을 방지하기 위한 설비
38> 펌프 기동방식
1. 압력챔버 기동방식
① 방수에 따라 유수에 기동용 수압개폐장치 내의 압력강화가 발생하면
② 압력강하를 압력 스위치로 검출하여
③ 신호를 펌프제어반으로 보내어 소화펌프를 기동한다.
2. 낙차기동방식
39> 방출시간 (청정약제 및 HALON 1301)
분사노즐로부터 최저설계농도에 이르기 까지의 실린더내에 있는 소화약제 저장량의 95%가 방출되는 시간을 말함.
즉, 방출시간은 분사노즐에서 액체상태의 소화약제가 나오기 시작해서 더 이상 액체가 나오지 않고 기체가 방출될 때 까지의 시간.
※ 청정소화약제의 방출시간
FM - 200 : 10초 이내
NAF S - III : 10초 이내
INERGEN : 60초 이내
FE - 13 : 10초 이내
▷하론 1301은 10초 이내 (한국, 일본은 30초 이내)
40> Percent in Pipe (배관내 허용용적 비율)
설계평형점(액체상태의 소화약제 반이 노즐을 통해 방출될 때)에서의
관내 저장된 약제의 체적 대(對) 저장용기내 소화약제량의 체적비
FM - 200 : 80%
NAF S - III : 95%
INERGEN : 67%
FE - 13 : 80%
▷ 내무부고시(청정소화약제의 종류 및 소화설비의 기준) 제 5조 ③항
하나의 방호구역을 담당하는 저장용기의 소화약제 체적합계보다 소화약제 방출시
방출경로가 되는 배관(집합관 포함)의 내용적의 비율이 청정소화약제의 설계기준에서 정한 값 이상일 경우에는 당해 방호구역에 대한 설비는 별도 독립방식으로 하여야 한다
▷ 하나의 방호구역을 담당하는 소화약제 저장용기의 약제량의 체적합계보다 그 소화약제 방출시 경로가 되는 배관(집합관 포함)의 내용적이
0.95배 이상인 경우 (NAF S - III)
0.8 배 이상인 경우 (FM- 200, FE - 13)
0.67배 이상인 경우 (INERGEN)
에는 당해 방호구역에 대한 설비는 별도 독립방식으로 하여야 함.
▷ 여러 방사구역을 1군의 약제용기로 공용하고자 할 때에는 집합관 및 배관의 일부도 공용하게 된다. 이 경우 방사구역별로 소요 소화약제량에 현저한 차이가 날 때에는 소요 소화약제량이 적은 방사구역의 소화약제 방출시 방출경로가 되는 고용의 집합관 및 배관의 내용적이 소화약제량의 체적에 비하면 필요이상 크게되면 약제의 완전 방출시간을 지연하게 된다.
41> 청정약제 (Clean Agent)
기화시 잔여물을 남기지 않으며 전기적으로 비전도성, 휘발성인 가스상태의 소화약제
42> 충전밀도 (Fill Density)
저장용기의 단위 체적당 소화약제량 (㎏/m³, Ib/ft³)
▷ 충전비 : 용적과 소화약제의 중량과의 비 (ℓ/㎏)
구 분 |
(충전밀도) |
국내(충전비) |
CO₂ |
60∼68% |
1.5이상 1.9이하 35.8∼45.3㎏(고압식) |
HALON 1301 |
1121㎏/m³이하, 70Ib/ft³ |
0.9이상1.6이하 |
FM - 200 |
1153.3㎏/m³이하, 72Ib/ft³ |
1153.3㎏/m³ |
FE - 13 |
865.01㎏/m³이하, 54Ib/ft³ |
865.0㎏/m³ |
충전비 = 용기의 내용적 (ℓ)
충전약제량 (㎏)
※충전밀도가 크면 온도의 상승에 비례하여 용기의 내부압력이 높아짐.
43> 릴리프밸브와 안전밸브
- RELIEF VALVE : 설정된 압력 바로 밑에서 작동되도록 사용자가 압력을 조정해서 사용
- SAFETY VALVE : 설정된 압력 이상에서만 작동되도록 조립시 제조처에서 고정
※ 가스소화설비에서 릴리프 밸브와 안전밸브
-RELIEF VALVE : 관경 : 6Φ
목적 : 배관내 발생한 응축수 제거 목적
사용압력 : 1.5∼3㎏/m³
특성 : 저압시 개방 고압시 폐쇄
-SAFETY VALVE :설정된 압력 이상에서만 작동
종류 : 15A, 20A
하론용 : 작동압력 55∼80㎏/m³(극동)
62∼82㎏/m³(세진,한국하론)
CO₂용 : 작동압력 130∼160㎏/m³(세진,한국하론)
44> 할로겐탄소화합물 약제 (Halocarbon Agent)
불소(F : fluorine), 염소(Cl : chlorine), 브롬(Br : bromine), 또는 요오드(I : iodine) 등의 원소 가운데 하나 이상을 함유하는 유기화합물 또는 그 이상을 주요 구성물로 하는 소화약제
45> 불활성가스 약제 (Inert Gas Agent )
주요 구성물로 헬륨, 네온, 아르곤, 질소 또는 이산화탄소 등의 가스 가운데 한가지 이상을 함유하는 소화약제
46> NOAEL (No Observed Adverse Effect Level)
독극물학상이나 생리학상으로 반대효과(나쁜영향)가 심장에 미치는 값이 관찰되지 않은 값 중에서 최고의 농도
- 노출사의 아무런 규제없이 소화약제를 사람 거주지역에서 사용할 수 있는
최대 허용사용 농도
- 개를 실험대상으로 한 심잔독성시험 (대부분의 경우)
47> LOAEL (Lowest Observable Adverse Effect Level)
독극물학상이나 생리학상으로 반대효과(나쁜영향)가 심장에 미치는 값이 관찰되는 값중에서 가장 최저의 농도
- 사람이 거주하는 지역에서 사용할 수 있는 최대 허용농도
- 단, 1분내에 대피
48> ALC (Approximate Lethal Concentration)
근사 치사 농도
LC 50 : 쥐집단을 4시간동안 그대로 노출시킨 상태에서 그 중의 50%가 죽는 농도
(60마리의 쥐, 14일간 관찰)
49> ALT (Atmospheric Life Time) : 대기 잔존 지수
50> 할로겐화합물의 소화농도
사람이 상시 근무하는 장소에서는 소화농도가 24%를 초과해서는 안됨(질식위험)
51> Engineered System
각 노즐, 약제량, 노즐의 수량과 형태 및 위치에 의하여 방호되는 흐름율, 노즐압력, 파이프크기, 면적 또는 용적을 구하기 위하여 각 개개의 설계가 요구되는 설비
52> Pre-engineered System
흐름율, 노즐압력, 파이프 크기, 소화약제량 등이 사전에 결정된 설비.
이들 설비는 공인시험소의 시험에 의하여 파이프의 크기, 길이, 플렉시블 호스의 사양, 연결부 속의 개수, 노즐 개수와 형태등이 정해져 있음
53> SOAKING TIME
- 할로겐화합물 소화약제는 저농도(약 5∼10%)로 약제가 방출하고 있는 시간내에
화학반응에 의한 연소의 연쇄반응을 억제함으로서 소화하는 것이므로
초기에 소화가 가능한 표면화재(Surface Fire)에 주로 사용하나
심부화재(Deep Seated Fire)의 소화에 적용 할 때에는 소화가 가능한 고농도로써 일정시간 유지시켜 주어야 한다. 이 때 소요되는 시간을 soaking Time이라 한다.
halon 소화약제를 심부화재에 적용하는 것은 비경제적이므로 통상 사용하지 않는다.
- 전역방출방식(total flooding)이 밀폐할 수 없는 개구부(noncloseable opening)가 있는 경우
하론/공기 혼합물과 공기의 경계면(interface)이 밀폐공간의 중앙(center)까지 내려 오는데 걸리는 시간.
보통 10분간의 soaking time이 요구된다.
※ Surface Fire (표면화재, Fiash Fire)
1) 가연성 물질의 표면에서 연소하는 화재
2) 인화성 또는 가연성 액체나 가스의 표면을 타고 순간적으로 확산하는 분출성 화재
※ Deep - seated Fire (심부화재)
1) 짐더미, 곡물창고, 가구 등의 가스의 가연물 속으로 깊숙이 파고 들어간 화재
2) 잘 진화되지 않는 화재
3) 구조재를 심각하게 훼손시키는 화재
▷ 표면화재/ 심부화재 [내무부정의 (97. 10. 예방 13807-657)]
일반적으로 표면화재의 연소특성은 가연물 자체로부터 발생된 증기나 가스가 공기중의 산소와 혼합기체를 형성하여 연소하며, 연소속도가 매우 빠르고 불꽃과 열을 내며 연소하므로 일명 불꽃연소라고 하며 이에 연소시 가연물․열․공기의 수조로운 연쇄반응이 필요합니다. 반면, 심부화재는 표면화재와 달리 순조로운 연쇄반응이 아닌 가연물․열․공기 등의 화재의 요소만 가지고 가연물이 연소하는 것으로서 연소속도가 느리고 불꽃이 없이 연소하며 가연물과 공기의 중간지대에서 연소가 국부적으로 되는 표면연소의 형태를 보이기 때문에 일명 표면연소 또는 직열연소라고 합니다.
54> ODP (Ozone Depletion Potential : 오존파괴도)
CFC-11 (Ccl3F), CFC-12 (Ccl2F2)응 1.0으로 정하고 오존층에 대한 영향을 비교 환산한 것.
명칭 |
ODP |
명칭 |
ODP |
명칭 |
ODP |
명칭 |
ODP |
CFC-11 |
1 |
CFC-113 |
0.8 |
CFC-115 |
0.6 |
HALON-1301 |
10 |
CFC-12 |
1 |
CFC-14 |
1 |
HALON- 1211 |
3 |
HALON-2402 |
6 |
※ GWP ( Global Warmming Potential : 지구온난화 지수)
CFC-11을 1.0으로 정함
ODP = 어떤물질 1㎏이 파괴하는 오존량/ CFC-11 1㎏이 파괴하는 오존량
GWP = 물질 1㎏이 기여 하는 온난화정도/ CFC-11 1㎏이 기여하는 온난화 정도
▷ 100yr GWP : 100년 지구온난화계수
100년 단위로 지구온난화에 미치는 효과가 같은 이산화탄소의 중량
55> LD (Lethal Dose) : 치사선량
- LD 50 : 50% 치사선량
56> EPA (Environmental Protection Agency) : 미국 환경보호청
57> 임계정수 (critical properties)
액체와 그 증기가 평형상태를 유지하면서 존재할 수 있는 최고온도를 임계온도,
이 때의 증기압을 임계압,
물질의 단위량에 대한 용적을 임계용적이라 한다.
58> 하론(HALON) 사용량 및 계획량
구 분 |
1995년 |
1996년 |
1997년 |
1998년 |
Halon-1211 |
68 |
62 |
56 |
54 |
Halon-1301 |
247 |
252 |
239 |
237 |
계 |
315 |
314 |
295 |
291 |
※95년의 경우 영세충진업체가 많아 실제 사용량은 30%가 많은 400톤 정도로 파악
◎ 국내 오존층 파괴 특정물질의 사용 실태
- 국내 오존층 파괴 특정물질의 사용량 : 1995년 실량 기준 20,612톤
- 대체물질(HCFC/HFC)/CFC 및 Halon : 12,679톤(전체의 62%) ≪Halon은 315톤≫
▷ 오존파괴지수 환산량
- 전체 사용량 : 15,514톤
- CFC 및 Halon 등의 사용량 : 14,810톤(전체의 95.5%)
≪Halon은 2,674톤으로 규제물질 전체의 18%, 전체 사용량의 17.2%≫
59> 액화가스 (고압가스 안전관리법)
가압, 냉각에 의하여 액체상태로 되어있는 것으로서 대기압에서의 비점이 40℃이하 또는 상용의 온도이하인 것을 말함.
※ 법적용(고압가스저장소 설치허가 대상) : 5톤 이상
60> 압축가스 (고압가스 안전관리법)
상온에서 압력을 가하여도 액화되지 아니하는 가스로서 일정한 압력에 의하여 압축되어 있는 것을 말함
※법적용(고압가스저장소 설치허가 대상) : 500m³이상
61> 탄소세
이산화탄소를 많이 내뿜는 석유등 각종 화석연료 사용량에 따라 부과되는 세금으로 지구온난화 방지를 위해 환경운동가들이 만들어낸 용어
- 91년 12월 유럽공동체 에너지환경 각료회의가 최초로 탄소세 도입 방침에 합의
- 합의내용 : 93년부터 도입을 시작하되 첫해엔 원유 1배럴에 3달러를 부과하고
2000년까지 매년 1달러씩 부과액을 올린다는 것.
※ 그 뒤 리우환경회의에서 공식 논의돼 세계 각국의 비상한 관심의 대상으로 떠올랐으며
97년 도쿄에서 열리는 기후 협약 재협상에서 이 제도 도입이 확실시 됨에 따라 우리나라를 포함한 협약 가입국은 빠르면 98년부터 의무적으로 이 제도를 도입 할 것으로 보임
62> 미분무 소화설비 (Water Mist System)
할론 대체 소화설비로 기대되는 소화설비
※ Water spray extinguishing System (물분무 소화설비)
63> 조정실(소방법)
조정실은 감시제어반 및 동력제어반 등과 같은 각 시설 등을 자동 및 수동으로 작동시키거나
작동을 중단시킬 수 있는 장소를 의미 (내무부정의)
64> 양압시설
일한 압력을 유지하여 외부에서 화기등이 침입하지 못하도록 설치된 시설을의미(내무부정의)
65> 파열판, 봉판(Rupture disc)
안전판의 일종. 사전에 설정된 압력에 도달하면 파열하도록 설계된 다이어프램
66> 자유유출, 자연유출 (Free Efflux)
CO₂전역방출에 있어서, 주어진 농도를 달하기 위한 CO₂의 체적은 최종적으로 남아있는 구역(밀폐공간)내의 체적보다 커야 될 것이다. 대부분에 있어 CO₂는 대기와의 혼합을 점진적으로 증가시키는 방법에 적용되어야 한다. CO₂가 투입됨에 따라 치환(교체)된 대기는 다양하고 작은 개구부나 특수한 벤트를 통하여 밀폐구역으로부터 자연스럽게 배출된다. 어떤 CO₂는 배출되는 대기와 같이 손실된다. 이러한 손실은 고농도에서 더 크게된다. 이러한 적용방법을 자연유출이라고 한다.
위와 조건하에서 대기상태에 주어진 농도가 되기위한 의 CO₂체적을 다음식으로 나타냄
e = 100
100 - % CO₂
x : 2.303 log10 100
100 - %CO₂
x : 구역체적당 추가되는 CO₂체적,
e :자연대수 (2.718)
※ CO₂방출시 인명대한 위험성
- CO₂소하농도를 방출시 질식, 방출동안이나 그 후 시야가림
- 방호구역의 인접장소에 체류 가능성
- 저장용기의 안전장치가 작동되어 방출시 가스가 체류하는 장소
※ CO₂경고 표지 (NFPA)
장 소 |
표 시 내 용 |
비 고 |
방호구역내 |
경 고 CO₂가스 경보가 작동되면 즉시 대피하시오 |
|
방호구역 입구 |
경 고 CO₂가스 경보가 작동되면 환기될 때까지 들어가지 마시오 |
|
인근지역 |
주 의 CO₂가스가 이곳에 체류될 수도 있으니 경보가 작동되면 즉시 대피하시오 |
|
약제 저장실 |
주 의 들어가기 전에 CO₂가스를 환기 시키시오 CO₂가스가 이곳에 체류될 수도 있어 질식을 일으킬 수 있음 |
|
수동조작반 |
경 고 이 장치를 작동하면 CO₂가스가 방출됨 작동시키기 전에 사람이 있는지 확인하시오 |
|
※ 인명안전 대책
◎ 위험성
- CO₂소화농도로 방출시 질식, 방출동안이나 그 후 시야가림
- 방호구역의 인접장소에 체류 가능성
- 저장용기의 안전장치가 작동되어 방출시 가스가 체류하는 장소
◎ 고려사항
- 즉각적인 대피
- 들어가지 못하게
- 인명구조 위한 안전보호장구(공기호흡기)
- 인명구조 훈련
- 예비 방출경보
67> 오리피스 상당 면적 (오리피스 등가면적, Equivalent Orofice Area)
오리피스 상당면적은 총유량에서 오리피스의 방출율(면적당 방출량)을 나눈 값
오리피스 상당면적 = 유량(lb/min, kg/min)/오리피스 방출율(lb/min/in², kg/min/mm²)
CO₂오리피스의 선정기준(NFPA기준)
압력 : kg/cm³ 방출률 : ㎏/min/mm²
오 리 피 스 크기
|
압 력 당 방 출 량 ( kg/min ) | |||||||
CODE NO. |
구경 (mm) |
면적 (mm³) |
압 력 21.1 |
압 력 22.8 |
압 력 24.6 |
압 력 26.3 |
압 력 28.1 |
압 력 29.8 |
방출률 0.690 |
방출률 0.760 |
방출률 0.830 |
방출률 0.908 |
방출률 0.985 |
방출률 1.063 | |||
1 |
0.79 |
0.49 |
0.338 |
0.372 |
0.407 |
0.445 |
0.483 |
0.521 |
1.5 |
1.19 |
1.11 |
0.766 |
0.844 |
0.921 |
1.008 |
1.093 |
1.180 |
2 |
1.59 |
1.98 |
1.366 |
1.505 |
1.643 |
1.798 |
1.950 |
2.105 |
2.5 |
1.98 |
3.09 |
2.132 |
2.348 |
2.565 |
2.806 |
3.044 |
3.285 |
3 |
2.38 |
4.45 |
3.070 |
3.382 |
3.694 |
4.41 |
4.383 |
4.730 |
3.5 |
2.78 |
6.06 |
4.181 |
4.606 |
5.030 |
5.502 |
5.969 |
6.442 |
4 |
3.18 |
7.94 |
5.479 |
6.034 |
6.590 |
7.210 |
7.821 |
8.440 |
4.5 |
3.57 |
10.00 |
6.900 |
7.600 |
8.300 |
9.080 |
9.850 |
10.63 |
5 |
3.97 |
12.39 |
8.549 |
9.416 |
10.28 |
11.25 |
12.20 |
13.17 |
5.5 |
4.37 |
14.97 |
10.33 |
11.38 |
12.43 |
13.59 |
14.75 |
15.91 |
6 |
4.76 |
17.81 |
12.29 |
13.54 |
14.78 |
16.17 |
17.54 |
18.93 |
6.5 |
5.16 |
20.90 |
14.42 |
15.88 |
17.35 |
18.98 |
20.59 |
22.22 |
7 |
5.56 |
24.26 |
16.74 |
18.44 |
20.14 |
22.03 |
23.90 |
25.79 |
7.5 |
5.95 |
27.81 |
19.19 |
21.14 |
23.08 |
25.25 |
27.39 |
29.56 |
8 |
6.35 |
31.68 |
21.86 |
24.08 |
26.29 |
28.77 |
31.20 |
33.68 |
8.5 |
6.75 |
35.74 |
24.66 |
27.16 |
29.66 |
32.45 |
35.20 |
37.99 |
9 |
7.14 |
40.06 |
27.64 |
30.45 |
33.25 |
36.37 |
39.46 |
42.58 |
9.5 |
7.54 |
44.65 |
30.81 |
33.93 |
37.06 |
40.54 |
43.98 |
47.46 |
10 |
7.94 |
49.48 |
34.14 |
37.60 |
41.07 |
44.93 |
48.74 |
52.60 |
11 |
8.73 |
59.87 |
41.31 |
45.50 |
49.69 |
54.36 |
58.97 |
63.64 |
12 |
9.53 |
71.29 |
49.19 |
54.18 |
59.17 |
64.73 |
70.22 |
75.78 |
13 |
10.32 |
83.61 |
57.69 |
63.54 |
69.40 |
75.92 |
82.36 |
88.88 |
14 |
11.11 |
96.97 |
66.90 |
73.70 |
80.49 |
88.05 |
95.52 |
103.08 |
15 |
11.91 |
111.29 |
76.79 |
84.58 |
62.37 |
101.05 |
109.62 |
118.30 |
16 |
12.70 |
126.71 |
87.43 |
96.30 |
105.17 |
115.05 |
124.81 |
134.69 |
18 |
14.29 |
160.32 |
110.63 |
121.84 |
133.06 |
145.57 |
157.92 |
170.42 |
20 |
15.88 |
197.94 |
136.58 |
150.43 |
164.29 |
179.73 |
194.97 |
210.41 |
22 |
17.46 |
239.48 |
165.24 |
182.00 |
198.77 |
217.45 |
235.89 |
254.57 |
24 |
19.05 |
285.03 |
196.67 |
216.62 |
236.57 |
258.81 |
280.75 |
302.99 |
32 |
25.40 |
506.45 |
349.45 |
384.90 |
420.35 |
459.86 |
498.85 |
538.36 |
48 |
38.40 |
1138.71 |
785.71 |
865.42 |
945.13 |
1033.9 |
1121.6 |
1210.4 |
64 |
50.80 |
2025.80 |
1397.8 |
1539.6 |
1681.4 |
1839.4 |
1995.4 |
2153.4 |
<삼국시대>
서기 262년 금성 서문 화재
신라시대 미추왕(이사금) 원년(서기 262년), 금성 서문에 화재발생 민가 1백 여채 연소
서기 596년 영흥사 화재
진평왕 18년(서기 596년), 영흥사에 불이나 왕이 친히 이재민을 위로하고 구제하였다는 기록
<고려시대>
왕조시대의 소방제도는 현재의 중앙정부 조직처럼 화재를 담당하는 전문부서인 부처별 조직은 없었으나 금화제도라는 명칭으로 화기를 단속하고 예방하였으며, 통일신라시대 보다 화재가 많이 발생하였는데 이는 인구가 증가되고 대형 건물이 들어선 데다가 병란이 잦은데 그 원인이 있는 것으로 보인다. 더우기 도읍지였던 개경은 지역이 협소하여 건물들이 밀집하였고, 초옥이 대부분 이어서 한번 화재가 발행하게 되면 민가 및 상가로 연소 확대되어 수백동씩 연소되는 경우가 많았는데 특히 이 시대에서는 왜구의 방화 약탈이 심하여 각 궁전과 창고의 대형 화재가 많았던 것을 볼 수 있다.
1021년 고려 인수문밖 화재
고려 현종 12년 인수문 밖 2,000여호 전소
1066년 고려 개경 운흥창화재
고려 문종20년인 1066년에는 개경의 곡물창고인 운흥창(雲興倉)에서 화재가 발생하여 수많은 곡식이 불타는 사건이 발생하였다. 이를 계기로 창고에는 방화관리를 전담하도록 하는 금화원(禁火院)제도를 실시하게 되었다.
1234년 고려 개성 궐남리 대형화재
고종 21년(1234) 1월, 3월에는 개성 궐남리에서 대형화재가 발생하여 수천호가 소실
1245년 고려 강도 민가화재
고려 고종 32년 강도에서 민가 800여호 소실되고 80여명 사망
1276년 고려 감정동 민가화재
충렬왕 2년(1276) 윤3월에는 감정동에서 불이나 민가 1천호가 전소 하는등 200호 이상 연소 확대된 민가 화재만도 20건이상으로써 막대한 재산과 인명피해가 있었음을 고려사(전 53)오행지에서 살펴볼 수 있다.
<조선시대>
1426년 2월 15일 한성부 대화재
세종8년인 1426년 2월 15일에 한성부 남쪽 인순부에서 대화재가 발생하여 경시서(京市署) 북쪽 행랑(行廊) 106間과 중부의 인가 1,630호1등 총 2,170호가 소실되고 32명이 소사한 것을 계기로 하여 이조(吏曹)의 건의에 따라 2월26일에 우리나라 역사상 처음으로 소방업무를 전담하는 병조(兵曹)의 상설기구민 "금화도감(禁火都監)"이 설치되었다.
1665년 조선 남한산성 대화재
현종 6년 남한산성 대화재로 15,000여호 전소
1804년 조선 평양 대화재
순조 4년 평양부 대화재로 민가 5,000여호, 공공건물 107개소 소실
1877년 11월 경복궁화재
고종 13년(1877) 11월에는 경복궁 화재로 교태전등 830여간이 소실되었음.
<대한민국>
1953년 1월 30일 부산 국제시장 대화재
1953년 1월 30일 당시 임시수도 부산의 경제적 심장부였던 국제시장을 휩쓴 대화재가 발생하였다. 이 불은 널빤지 가게들이 빼곡빼곡 들어서 있던 국제시장의 어느 목로술집에서 일어난 불이 세차게 불어 닥친 하늬바람을 타고 삽시간에 번져 나아갔다. 이 불은 이날 저녁 7시 40분 춘향원(春香園)이라는 판자집 술집에서 실수로 일어난 불로 7시간만인 1월 31일 새벽 2시에야 경우 불길을 잡을 수 있었다. 화재가 일어났던 곳이 판자집이 밀집해 있던 데다가 한겨울로 난로를 피우고 있어 겨울바람에 의해 삽시간에 불길이 번졌던 것이다. 당시 함·미 합동소방대까지 출동하였으나, 크게 불길이 번졌던 것은 수도가 고장나 초기 진화가 어려웠다고 한다.
당시 피해규모로는 총액이 1,400여억원 이었고, 4,260채의 가게가 전소되었고 6,800세대 3만명의 이재민이 발생하였다고 한다. 1953년 대화재 이후 부산시에서는 590여원을 투입하여 국제시장을 재건시켰던 국제시장에 1956년 8월 2일 밤에 또 다시 클 불이 일어나 136개의 점포가 불타는 대화재가 발생하여 건물이 전소되는 등 많은 재산상의 피해를 내기도 했다. 이후 국제시장 상인들은 화재 노이로제에 걸릴 정도였고, 불조심에 힘을 기울이게 되었으며 부산시의 소방당국에서는 국제시장 일대 상가에는 소방설비를 강화시켜 화재예방을 기울려 나아갔다.
1953년 11월 27일 부산역전 대화재
1953년 11월 27일 저녁 8시 30분경 영주동 서쪽 산비탈에 있는 피난민 판자촌에서 불이 일어나 때마침 거세게 불어 닥치는 하늬바람을 타고 영주동·동광동·중앙동·대청동 입구 일대까지 불길이 번져 그 이튿날인 11월 28일 새벽 6시 30분이 돼서야 겨우 불길이 잡혔다. 역전 대화재로 인한 피해를 살펴보면, 피해 총액은 1백 77억환으로 집계되었고, 잿더미가 되어버린 주택이 3,132채, 29명의 인명 사상자가 발생했는가 하면 6,000여 세대 30,000여 명의 이재민이 발생하였다. 당시 피해액은 국제시장 대화재 때의 12.6배에 이르렀다 한다.
부산역전 대화재는 지금의 중구지역의 절반에 가까운 지역을 초토화시켜 잿더미로 만들어 버렸던 것이다. 국제시장 대화재 발생한지 10개월 밖에 되지 않은 시기에 일어났던 것이다. 이 화재로 르네상스 양식의 부산역사(釜山驛舍, 1910. 10 준공)과 부산우편국(釜山郵便局, 1910. 5 준공), 부산일보사 사옥, 부산방송국이 불타 버림으로서 교통과 우편통신 그리고 방송시설과 같은 도시의 중추 기능을 잿더미로 만들고 말았다. 따라서 이 화재는 부산에만 충격을 주었던 것이 아니라 그 영향이 전국에까지 파급되기에 이르렀었다.
1954년 12월 10일 부산 용두산 대화재
1954년 12월 10일새벽 4시 용두산에 자리 잡은 피난민 판자촌에 불이 나서 용두산 동쪽 언덕 그 기슭일대와 광복동·창선동 일대의 판자집 1,093채가 전소되고, 8,000여 명의 이재민이 발생하였다.
용두산은 조선시대부터 해송이 울창하게 이루고 있다고 하여 송현산(松峴山)이라 불렀다. 용두산은 화재가 발생하여 피난민 판자집이 거의 전부 불타 버렸고, 또한 아름들이 소나무도 완전히 사라지게 되었다. 대화재 이후 용두산은 다시 정비하여 나무를 심어 산림지대로 가꾸면서 지금의 용두산으로 가꾸어지게 되었다.
1960년 3월 2일 부산 국제고무공장 화재
부산시 중구 범일동 국제고무 공장 성냥에 의한 발화로 추정되는 화재가 나 101명의 사상자를 내고 (사망 : 62명, 부상 : 39명) 1억원의 재산 피해를 입었다.
1967년 1월 1일 대구 서문시장 화재 사고
점포372 소실, 피해 2억3천만원. 양력 정윌 초하루라 점포가 닫혀 있어 많은 피해를 냈다고 보도하고 있다. 불은 오후 1시께 서문시장 1지구 포목부 2층에서 일어나 삽시간에 3백 70여 점포를 태우고 1시간만에 진화됐으며 피해액은 당시 돈 9억 원으로 추산, 대구경제에 심각한 충격을 안겨 줬다.
1971년 12월 25일 서울 대연각호텔 화재사건
1971년 12월 25일 10시 17분 서울시 중구 충무로 대연각호텔 화재는 대한민국 역사상 가장 큰 재산피해와 인명피해를 낸 화재이다. 168명이 사망하였으며 68명이 부상 재산 피해는 당시 소방서 추정으로 8억 3820만원 이었다. 1층에서 폭발한 프로판 가스통에서 시작한 불길은 21층까지 번져 서울 시내 전 소방관과 미군의 도움과 대통령전용 헬기와 육군과 공군의 헬기까지 지원받았지만 10시간이 지난후에야 겨우 불길이 잡히기 시작하였다.
1972년 12월 2일 서울시민회관화재(10
1972년 12월 2일 ‘MBC 10대 가수 청백전’이 열리던 시민회관에서 큰 화재가 발생했다. 가수 쇼가 시작된 지 한 시간이 지났을까. 오후 8시 28분경 갑자기 펑하는 소리와 함께 무대 위에 가설된 조명장치가 터지면서 불이 붙었다. 주최 측이 급하게 막을 내렸더니 그 막에 불이 붙으면서 걷잡을 수 없이 화염이 번져 나갔다. 3000여 관객 대부분은 밖으로 나올 수 있었으나 계단에서 다른 관객에게 밟히거나 무대 뒤 또는 옥탑 근처에서 근무 중이던 사람들이 희생됐다. 사망 51명, 부상 76명. 이 사건은 1971년 대연각호텔 화재, 1974년 청량리역 대왕코너 화재와 더불어 1970년대 전반기 서울시내 3대 화재사건의 하나로 기록됐다.
1974년 11월 3일 청량리 대왕코너 화재, 88명사망
1974년 11월 3일 새벽 2시 47분 서울 청량리 로터리에 있는 대왕코너 6층 브라운호텔에서 불이 나 6층 타임나이트클럽에서 고고를 추던 손님 등 88명이 불에 타 숨지고 32명이 중경상을 입었다. 사망자들은 대부분 시골에서 무단 상경한 20대 초반의 젊은 남녀들이었다. 불은 브라운호 텔 복도 천장에 시설된 조명등 2개가 합선되어 일어난 것으로 밝혀졌다. 이 사건과 관련, 대왕코너 사장 등 9명이 구속 기소되고 동대문 구 청장, 청량리 경찰서장, 동대문 보건소장 등 4명이 직위 해제됐다.
1975년 6월 10일 남대문시장 화재사고
8백여점포 전소
1977년 11월 22일 전북 이리역(익산시) 폭발사고
1977년11월22일 화약을 운반중인 열차가 수송원의 실수로 폭발한 사건.
천지가 진동하는 폭발음 소리와 함께 도시는 암흑과 공포빠졌다. 인천에 있던 한국화약에서 화약 30톤(다이너마이트용)을 싣고 광주로 가던 이리역 구내 입환(入換) 4번선 철로에 대기하고 있던 열차가 폭발한 것이다. 이 사고로 59명이 숨지고 중상자 185명, 경상자 1천158명등이 발생했으며, 반경 500m이내의 건물은 완전히 파괴됐고 반경 1㎞이내의 가옥은 반파, 반경 4㎞이내의 가옥은 창문이 떨어져 나가갔다.
1984년 1월 14일 부산 대아호텔 화재사고
1984년 1월 14일 오전 8시경 부산시 부산진구 부전동 257소재 대아호텔에서 연소중인 석유난로에 기름을 붓는 어처구니없는 실수로 대형화재가 발생되었다. 이 화재로 2억8천9백만 원의 재산피해와 108명(사망40명, 부상68명)의 엄청난 인명피해를 내고 진화되었다.
1986년 08월 04일 독립기념관 화재사고
1986.08.04 독립기념관 본관이 준공을 불과 11일 앞둔 1986년 8월 4일 불탔다. 직접적인 화인은 전기배선공 사의 부실로 인한 과전류였지만 준공을 1년이나 앞당기는 등 졸속이 빚은 '인재'였다. 온 국민의 성금으로 지어졌던 만큼 기념관의 화재는 국민들에게 큰 실망을 안겨주었다. 화재사건으로 사무처 장 등 관계자가 사퇴하고 화재에 직접 책임이 있는 6명이 구속 기소됐다. 독립기념관은 그 후 1987년 8월 15일 개관하였다.
1987년 11월 29일 대한항공기 공중 폭파사건
1987년 11월 29일 대한항공 858편 보잉 707기가 간첩김현희에의해 공중폭발한 사건.11월 28일 밤 11시 27분(현지시간) 이라크의 바그다드를 출발한 대한항공 858편 보잉 707기(기장 김직한, 58세)는 아랍에미리트의 수도인 아부다비에 기착한 뒤 방콕을 향해 기수를 돌렸다. 이 비행기는 방콕을 향해 비행하던 중 28일 오후 2시 1분경 미얀마의 벵골만 상공인 어디스에서 방콕 공항에 "45분 후 방콕에 도착하겠다. 비행중 이상 없다"는 보고를 무선으로 보냈다. 그러나 비행기가 예정된 시간에 방콕에 도착하지 않자 사고로 예상하고 비행기의 행방을 찾기 시작했다. 사고기에는 중동에서 귀국하던 근로자가 대부분인 한국인 승객 93명과 외국인 2명, 승무원 20명 등 모두 115명이 탑승하고 있었다.
1989년 05월 03일 부산 동의대에서 일어난 화재로 경찰관 7명 사망
89년 5월 부산 동의대에서 학생시위를 진압하던 경찰 7명이 숨진 사건. 5월 1일 학생들 이 노동자파업 지지결의대회를 갖고 가야3 파출소 앞에서 시위를 벌이자 경찰이 공포 10발을 쏜 것이 이 사 건의 발단이었다. 다음날 학생들은 경찰총기난사규탄 실천대회를 열고 시위를 벌이다 경찰관 7명을 납치, 학교도서관 7층에 감금하고 연행된 학생 9명과 교환석방을 요구하며 농성을 벌였다. 3일 새벽 경찰이 무리한 구출작전을 전개하던 중 도서관 7층 복도에서 화재가 발생, 경찰관 7명이 중화상을 입고 숨졌다. 이 사건으로 경 찰은 학생 94명을 연행, 77명을 구속했으며 이종현 총학생회장 등 4명에게는 살인혐의 등을 적용했다. 이 사건직후 동의대는 89일간 휴교했고 과격시위 자제의사를 표명했다.
1991년 10월 17일 대구 거성관 나이트클럽 화재사고
1991년 10월 17일 대구 서구 비산 4동 333-2 거성관 나이트클럽에서 방화로 인한 화재가 발생되었으나 종업원이 전기합선으로 오인하여 전기 메인스위치를 차단하는 바람에 어둠 속에서 출입구를 찾지 못해 4명이 부상당하고 16명이 유독가스에 질식. 사망하는 대형화재가 발생하였다.
1993년 4월 19일 논산 서울정신과 화재사고
'93.4.19 충남 논산군 논산읍 서울정신과의원에서 담배불로 인한 화재로 추정되는 불이나 34명이 사망하고 2명의 부상자를 내었다. 재산피해액은 700만원.
1994년 10월 24일 충주 유람선 화재사고
1994년 10월 24일 오후 4시 15분경 충북 단양군 적성면 애곡리 충주5호 유람선에서 기관엔진 과열로 인한 화재가 발생하였다. 특히 안전수칙을 무시한 정원 초과로 2억6천만원의 재산피해는 물론 62명(사망29, 부상33)의 엄청난 인명이 피해를 입었다.
1994년 8월 17일 룸싸롱 화재사고
중구 주교동 팔레스 룸싸롱 화재, 사망 14명
1999년 6월 30일 씨랜드 화재(경기 화성)
99년 6월 30일 오전 1시 20분 경 경기도 화성군 서신면 백미리 씨랜드 청소년 수련관에서 화재, 6살 천수영양 등 유치원생 19명과 교사 4명 등 23명이 사망하는 참사가 발생했다. 경찰은 목격자들의 진술 등으로 미루어 이날 불이 301호에서 전기합선이나 모기향에 의해 발화돼 건물 전체로 번진 것으로 추정하고 있다. 씨랜드 수련원은 장부에만 철근콘크리트로 돼 있을 뿐 52개의 조립식 콘테이너 박스를 콘크리트로 된 건물 1층위에 26개씩 2개층으로 쌓은 가건물이다.
1999년 10월 30일 인현동 호프집 화재 참사(인천)
1999년 10월 30일 오후 6시 57분께 인천시 중구 인현동 119. 4층짜리 상가건물 공사 현장에서 발생한 화재는 진화되기까지 불과 23분 사이에 125명(31일 오전 1시 현재 사망 54, 부상 71명)의 사상자를 낸 대형 참사였다는 점에서 큰 충격을 주고 있다. 대부분의 사상자가 지하층도 아닌 2층에서 어떻게 발생했을까. 원인은 우선 50여평 규모에 불과한 ‘라이브 Ⅱ 호프’집에 이날 1백20여명이 북적된 데다가 가게 내부는 의자들로 빽빽이 차 있어 통로 공간이 겨우 한사람이 다닐 수 있을 만큼 비좁은데 있었던 것으로 보인다. 이 때문에 불이 난 뒤 미처 대피할 공간을 찾지 못한 채 서로 뒤엉켜 인명피해가 더욱 컸다는 게 소방관계자들의 한결 같은 지적이다. 특히 유리창으로 돼있던 대형 창문을 나무판넬 등으로 멋대로 폐쇄한 것도 대형참사를 부른 주원인이 된 것으로 지적되고 있다.
2000년 04월 07일 강원지역 산불사건
지난 4월 7일 발생한 강원 지역 산불로 고성과 강릉,동해,삼척 등지에서 동시 다발적으로 일어났던 소위 '동해안산불'로 총 2만3794ha를 재로 만들었다. 산불은 특히 산림뿐 아니라 백두대간의 주요 이동통로인 영동에서 서식하고 있는 주요 동식물의 서식처를 철저히 파괴했다. 환경전문가들은 만신창이가 된 강원도의 생태계를 복원하는 데 적어도 30∼40년은 걸릴 것으로 내다봤다.
2003년2월18일 대구 중앙로 지하철 화재사고
2003년2월18일 일어난 방화로인한 화재사건으로 2개 편성 12량(6량×2편성)의 전동차가 모두 불탔으며 192명이 사망하고 148명이 부상했다. 사고 뒤 열차는 불에 타 뼈대만 남았고, 중앙로역도 불에 탔다. 이 사건은 대한민국의 안전 불감증이 여전히 심각함을 적나라하게 드러낸 사건이다. 이 사고의 원인을 제공한 범인인 김대한(당시 56세)의 방화사유는 지적장애로 생긴 판단력 상실 때문인 것으로 알려져 있다. 하지만, 지병으로 인한 울분을 방화로 토한 사건이라는 분석도 있어 방화사유에 대한 의견은 아직도 분분하다.
2005년 04월 04일 낙산사 전소사건
근대 이후 가장 최악의 문화재 재난으로 기억될 낙산사 화재는 2005년 4월 4일 발생한 양양산불이 번져 발생한 것이다. 당시 진화작업이 마무리된 것으로 판단하고 소방헬기가 철수했으나 강풍으로 다시 불씨가 살아나 낙산사로 번져 피해를 키웠다. 보물 제479호 낙산사 동종을 비롯한 전각들이 불에 탔으며, 낙산사 칠층석탑과 사리탑이 화기에 노출돼 현재도 표면박리가 진행되고 있다. 그나마 당시 낙산사측의 발 빠른 대응으로 건칠관음보살좌상(보물 제1362)은 화마를 피할 수 있었다.
2005년 12월 30일 대구 서문시장 화재사고
2005년 12월 29일 밤, 영남권 최대 재래시장인 서문시장 3지구에서 화재가 발생, 1,000여 개 점포가 잿더미로 변하면서 800억 원의 재산피해가 발생했다. 서문시장은 1971년부터 2005년까지 총 16번의 화재가 발생하였다
2007년 2월 11일 외국인 보호소 화재사고(전남 여수)
2007년 2월 11일 전라남도 여수시 화장동 여수출입국관리소의 외국인 보호시설에서 화재가 발생, 10명이 숨지고 18명의 부상자가 발생되는 대형 사건
2008년 1월 7일 냉동창고 화재참사(경기 이천)
지난 2008년 1월7일 경기도 이천시 호법면에 위치한 (주)2000코리아 냉동창고에서 대형화재가 발생해 40명이 사망하고 10명이 부상을 입은 사건이었습니다. 40명이 사망한 대형 참사임에도 사업주는 벌금 2천만원을 선고받는데 그치는 등 노동자의 산업재해에 대한 처벌이 어떠한지를 극명히 보여준 사건이었습니다.
2008년 2월 10일 숭례문 방화 사건
2008년 2월 10일 ~ 2월 11일 숭례문 건물이 방화로 완전히 타 무너진 사건이다. 방화범으로는 69세의 채종기로 밝혀져 2009년 현재 범행을 시인, 구속 수감된 상태이다. 화재는 2008년 2월 10일 오후 8시 40분 전후에 발생하여 다음날인 2008년 2월 11일 오전 0시 40분경 숭례문의 누각 2층 지붕이 붕괴하였고 이어 1층에도 불이 붙어 화재 5시간 만인 오전 1시 55분쯤 석축을 제외한 건물이 모두 붕괴하였다.
감지기 분류
감지기는 검출 원리에 따라 열식과 연기식 및 화염식으로 대별하며, 열감지는 기능상 차동식, 정온식, 보 상식으로 나눈다. 이용 방법에 따라 스포트형(Spot), 분포형으로 구분하며, 검출 방법이나 소자 등에 따라 공기관식, 열전대식, 열반도체식으로 나눈다. 연기 감지기는 공기중의 연기 검출 원리에 따라 이온화식, 광전식으로, 검출 방법에 따라 축척형, 비축척형으로 구분한다. 광전식은 산란광식과 감광식이 있다. 감도에 따라 빠른 것에서부터 특종, 1종, 2종, 3종으로 구분한다. 기타 특수한 장소 및 환경에 적응시킨 방폭형, 방수형 등이 있으며, 폭발의 위험이 높은 장소에는 보다 신속한 감지를 위해 자외선(UV:Ultraviolet), 적외선
(IR:Infrared)등을 설치한다.
① 감지기의 종별
차동식 스포트형 감지기는 그 주위 온도가 일정 온도 이상이 되었을 때 작동하는 것으로서 국소적인 열효과에 의해 작동하는 것을 말한다. 감도에 따라 1종 및 2종으로 나뉘어 있으며 구조 및 기능은 다음과 같다.
㉠ 공기의 팽창을 이용한 것
차동식 스포트형 감지기는 감열실, 다이어프램, 리크구멍(공) 및 접점 기능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화재시 급격한 온도 상승을 받으면 감열실내의 공기가 감지기 주위의 온도 변화에 따라 팽창하여 다이어프램을 압박함으로써 접점을 붙여 발신 신호 를 만들어 수신기에 화재 신호를 보내게 된다. 난방등에 의한 실내 온도의 완만한 온도 상승에 대해서는 리크구멍(공)의 작용에 의해 외부 압력과 균형을 유지하면서 접점이 닿지않게 되어 있다
㉡ 열기 전력을 이용한 것
반도체, 열전대, 고감도 릴레이로 구성되며 화재 시 급격한 온도 상승을 받으면 감열실내에 고정 된 반도체 열전대가 열기전력을 발생시켜고 감도 릴레이의 접점을 붙여 발신 회로를 만들어 수신 기에 화재 신호를 보내게 된다.
(2) 연기 감지기
이온화식 감지기와 광전식의 두종류로 나뉘어져 있다. 이온화식이란 검지부에 연기(연소 생성물)가 들어가면 전류가 변하는 것을 이용하여 화재를 감지하는 방식인 것이다. 한편, 광전식이란 검지부안에 연기가 들어가면 이 연기에 의하여 평상시 광전 소자에 의하여 일정하게 흐르던 전류의 값을 변화시켜 화재를 감지하는 방식이다. 감도에 따라 1종과 2종 및 3종으로 나뉘어져 있으며 그의 구조와 기능은 다음과 같다.
㉮ 이온화식 감지기
일반적으로 연기가 흘러 들어가는 외부 이온실과 밀폐된 내부 이온실이 있으며 양이온실은 아래 그림에 표시하는 바와 같이 직렬로 연결되어 있고 감시 상태에서는 내부 이온 실의 +극과 외부 이온실의 -극사이에는 정전압 V가 인가 되어있다. 이러한 상태에서는 연소 생성물이 없는 외부 이온 실의 전압 -전류의 특성은 아래 그림의 곡선 ㉮로 표시되고 서로 직렬로 접속된 외부 이온실과 내부 이온실에는 I1의 이온 전류가 흐르고 있는데 이 경우 외부 이온실에는 V1의 전압이 가해지는 것이다. 연기가 발생하여 외부 이온실안에 들어가면 이온 전류가 감소하여 외부 이온실과 내부 이온실 의 전압비가 변화하게 되는 것이다. 이러한 전압차를 증폭 시켜 감자기에 편성되어 있는 전기 회로를 작동시킴으로서 수신기에 화재 경보를 발하도록(이중 중계기를 필요로 하 는 것은 중계기를 통하여)한 것이 이온화식 감지기의 작동 원리인 것이다. 내부 및 외부 이온실의 방사선원은 써파( ) 선이며 원소로서 아메리슘 241(Am241) 또는 라듐(Ra) 등이 사용된다.
㉯ 광전식 감지기
일반적으로 산란광 방식이 쓰여지며 구조 원리는 주 위의 빛을 완전히 차단하여, 연기 만들어갈 수 있게 한 암상자의 한쪽에서 광원램프의 광원을 한 방향으로 모아 비추어주고 이 광속의 산란광을 받는 방향에 광전 소자가 부착되어서(아래 그림) 밀폐된 상자안의 공기가 깨끗할 때에는 그 산란이 없으므로 광전 소자는 빛을 전혀 받지 않고 아무런 변화도 생기지 않지만 화재시 연기가 밀폐된 상장안에 진입하면 연기입자에 의해 광원 램프에서 빛이 산란 현상을 일으켜 광전 소자는 그 산란광의 일부를 받아 전기 저항이 변하게 된다. 그림은 연기나 가스같은 것들이 밀 폐된 상자안에 들어가 산란광을 일으켜 전기 저항이 변화되는 상태를 표시한 것으로서, 이러한 전기 저항의 감소에 따른 전류의 흐름의 증가를 스위칭 회로로 검출하여 수신기(중계기를 필요로 하는 것에 있어서 중계기를 통하여)로 신호를 보내도록 되어 있는 것이 광전식 연기 감지기인 것이다.
(3) 정온식 감지기
㉮ 정온식 스포트형 감지기
한정된 장소의 주위 온도가 일정한 온 도 이상으로 되었을 때 작동하는 것으로서, 금속의 팽창을 이용한 것. 금속 의 용적을 이용한 것, 가용 전연물을 이 용한 것, 반도에의 열효과를 이용한 것 등 여러 가지가 있다. 감도에 따라 특 종, 1종 및 2종으로 나뉘어져 있으며 그것들의 구조 및 기능은 다음과 같다.
㉠ 바이메탈의 활곡을 이용한 것
바이메탈이 열을 받아 아래 그림과 같이 활모양으로 휘면서 접점을 닿게 하는 것이다.
㉡ 금속의 팽창 계수차를 이용한 것
그림과 같이 팽창 계수의 서로 다른 두금속을 각각 내부와 외부에 설치하여 온도 변화시 각 금속내의 선팽창의 차에 의해 접점을 이룰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 액체(기체)의 팽창을 이용한 것
아래 그림과 같이 수열체인반전판이 열을 일정 온도에 달하 면 반전판안의 액체가 기화되면서 팽창하여 그 힘에 의해 반전하게 됨으로써 접점을 붙이는 방식인 것이다. 그리고 여기에 쓰여지는 액체로는 흔히 알코올 등이 쓰여 지고 있다.
출처 : http://kdaq.empas.com/qna/view.html?n=8021247&sq=%25C8%25AD%25C0%25E7%25B0%25A8%25C1%25F6%25B1%25E2&mdt=엠파스%20'논문,%20과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