56회 결산자료 입력
2번.11월 30일에 발생한 현금과부족 800,000원의 원인은 본사 영업부 건물의 화재보험료 납부액을 누락시킨 것으로
확인되었다. 납부한 보험료 중 당해 회계기간 귀속분은 150,000원이다. 누락사항을 결산일에 수정분개 하시오.
이 문제의 답 자체가 이해가 잘 안가서요
현금과 부족 문제 유형자체가 저한테 너무 어려워요..
현금과 부족인데 잡손실이라던가 보험료 납부액을 누락시켰다 거나 그런거 자체를
분개하는 방법을 잘 모르겠습니다..
첫댓글 11월 30일 전표를 보시면
(출금) 현금과부족 800,000원 으로 입력되어 있습니다..
그리고 이건
(차) 현금과부족 800,000 / (대) 현금 800,000
이렇게 현금이 부족하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현금과부족 계정이 차변에 들어가 있구요..
그럼, 현금과부족 계정에 대한 잔액이 차변에 남아있는 상태인 것입니다..
그런데, 현금과부족 계정은 임시계정이거든요..
결산까지 잔액이 0원으로 되어 있어야 합니다..
그 전에 원인을 알아내던지, 못 알아냈다면 잡손실이나 잡이익을 써서라도 현금과부족 계정을 상계처리해야 합니다..
일단, 결산 때 원인을 알아냈으니까 잡손실 계정은 사용하지 않을 거구요..
보험료 때문이니까 차변에 보험료로 처리하고, 대변에는 현금과부족을 상계처리 하면 됩니다..
(차) 보험료 800,000 / (대) 현금과부족 800,000
그런데, 보험료의 당해 귀속분이 150,000원이라고 하네요..
그럼, 나머지 650,000원은 선급비용이니까
(차) 선급비용 650,000 / (대) 보험료 650,000
이렇게 처리하구요.. 이대로 둬도 나쁘지는 않은데,
문제풀이 할 때에는 분개를 하나로 합쳐야 하니까
(차) 보험료 800,000 / (대) 현금과부족 800,000
(차) 선급비용 650,000 / (대) 보험료 650,000
차변 보험료와 대변 보험료를 서로 상계하고 다시 회계처리 하면
(차) 보험료 150,000 / (대) 현금과부족 800,000
(차) 선급비용 650,000
현금과부족 사례 중 대표적인게 바로 이렇게 기중에 현금과부족으로 처리를 하고, 결산 때까지 원인을 찾아내서 현금과부족을 상계처리하는 방법이 있구요..
그 다음 원인을 밝혀내지 못해 잡손실이나 잡이익으로 처리하는 방법이 있습니다..
위 문제에서 결산까지 원인을 밝혀내지 못했다면
(차) 잡손실 800,000 / (대) 현금과부족 800,000
이렇게 잔액이 남아 있으면 안되는 현금과부족을 대변에 상계시키고, 차변에는 잡손실로 처리를 하면 됩니다..
그리고, 마지막으로 현금잔액이 모자르다는 것을 기말에 안 경우가 있습니다..
기말에 알게되면 현금과부족 계정을 사용하지 못하겠죠..
그럼, 바로 잡손실로 처리해주면 됩니다..
(차) 잡손실 800,000 / (대) 현금 800,000
이렇게 하면 현금과부족 계정을 사용하지 않고 바로 원인이 밝혀지지 않은 기말 현금과부족에 대한 회계처리가 완성되는 겁니다..
정말 감사합니다 매번 이해가안됐는데 알겠어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