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코스트코와 이케아는 ‘고향’으로 돌아가라. | ||||||||||||||||||||||||
광명지역 등 4개 지역 18개 상인단체, 대책위 구성하고 입점 항의. | ||||||||||||||||||||||||
| ||||||||||||||||||||||||
“역세권 개발 중요하다. 그러나 미국 코스트고와 스웨덴의 이케아 아니면 대안이 없는 것인가. 국내 특화된 업체를 유치하면 안 되나.” 김남현 광명시수퍼마켓협동조합 이사장은 ‘하필이면 왜 외국계 대형유통업체들이냐’며 발상에 아쉬움을 토했다.
이날 궐기대회는 광명지역 상인단체를 포함해 인근 안양시, 군포시, 시흥시 18개 상인단체들이 함께 했다. 14개 광명지역 시민사회단체들로 구성된 ‘지역경제및중소기업살리기 광명네트워크’(이하 광명네트워크)도 후원단체로 참여해, 지지 의사를 보탰다. 이들 상인단체들은 ‘코스트코 이케아 광명입점 저지 대책위원회’를 구성하고, 대책 활동에 나섰다. 대책위는 대시민 호소문을 통해 코스트코와 이케아 입점 과정에서 전통시장과 중소상인들에게 닥칠 피해를 얼마나 심사숙고했는지 반문했다. 대책위는 이들 업체의 입점이 광명지역 뿐만 아니라 인근 안양시, 시흥시, 서울 일부지역의 전통시장과 슈퍼마켓에도 영향을 미칠 것이라고 우려했다. 대책위는 시가 이들 업체를 유치하는 과정에서 생존권을 위협받는 전통시장과 중소상인들의 의견을 들어보지 않고서 추진했다며, 소통 없는 일방 행정이라고 비판했다. 광명네트워크도 대책위 궐기대회를 지지한다는 입장을 담은 보도자료를 통해 이들 업체의 입점에 따른 영향조사나 공식적인 토론회 개최도 없이 일방적으로 추진했다고 비판했다. 네트워크는 지역 상인들의 생존을 위협하면서까지 외국계 기업을 유치한 것은 지역균형발전과 주민의 재산을 보호해야 할 의무마저 저버린 ‘성과주의 성급행정’이라고 지적했다. 또한 대한유통업체와 중소유통기업, 소상공인 간의 상생협력을 위한 ‘유통산업발전협의회’가 있음에도 유치 상황에 대한 보고나 의견청취 과정이 없었다고 비판했다. 이에 광명네트워크는 이들 업체가 미치는 지역경제에 대한 영향조사와 의견청취 과정을 거쳐 원점에서 재검토하라고 요구했다. 또한 유통산업 상생발전 추진계획 수립을 요구했다. 이날 행사에는 광명지역에서 5개 단체, 군포 3개 단체, 안양 9개 단체, 의왕 1개 단체가 참여했다. 대책위는 각 지역 대표 1인씩 4명을 공동대표로 했다. 김남현 광명수퍼마켓이사장, 안경애 광명전통시장상점가조합 이사장, 박동성 안양시상인연합회장, 봉필규 안양남부시장 조합장이 맡았다.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