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문래산이 주산이 되고 중봉산에서 시원되는 골지천이 마을 앞을 회류하여 아름다운 절경과 기름진 문전 옥토를 갖고 있는 마을로써 지하자원이 풍부하게 매장되어 있어 일제시대에는 은을 많이 캤다. 구한말 당시에는 문래 또는 골개(高溪里)로 칭하여 오다가 일제강점기에 번역이 잘못되어 골지리(骨只里)로 되었다. 골지는 골짜기의 사투리로 마을이 긴 골짜기 안에 있어 붙은 이름으로 골지마을 앞으로 지나는 하천이 골지내(골지천)이다.
음지마을:문래산 아래에 햇볕이 잘 들지 않는 마을이란 뜻에서 유래되었다.
양지마을:문래산 아래에 있으며 비옥한 농토에 살기 좋은 마을이란 뜻이다.
하촌:임계면 내에서는 논농사 지대로는 제일 큰 들판의 아래 쪽에 형성된 마을이란 뜻이다.
장터거리:현재의 삼거리로 오고 가던 나그네들이 운집하던 곳이며 한때는 은광이 개발되어 시장을 형성될 만큼 복잡한 거리를 말한다.
마태골[馬태谷]:구한말 시절에 오고가던 관원들에게 마필을 배정하던 곳에서 유래된 말이다. 마태는 지금의 우체국 사무 책임자와 같다.
석둔[石屯]:전란시 돌을 모아 방어태세를 갖추어 놓은 곳이라고 하여 돌무더기가 많아 유래되었다.
세루골:산자 수려한 계곡으로 협소한 마을을 뜻한다.버섯바위골:이 마을 뒷산에 석유버섯(바위에서 돋는 버섯)이 난다하여 버섯 바위골이라고 한다.
갈버덩이:골지리 하동 뒷산 버덩이를 개간하여 살고 있는 습지로써 갈무렁이라고도 부르나 갈버덩이라고 많이 부르고 있다.
말미버당:골지리의 음지 마을 윗편에 있으며 예전의 구길로 많은 말이 다니던 길목이란 뜻이다.
뒤골:골지리 하동마을 뒤편의 골짜기 이름이다.병두골:골지리 음지마을에 있으며 산모양이 옛날 병모양과 같다고 하여 병두골이라고 한다.
새목이:용산리와 골지리의 경계지점이며 새의 목과 같이 생겼다고 하여 조항(鳥項골)이라고 한다.
골거리:덕암리 자근 소라골 가는골이며 옛날 절터가 있었으며 마지막 골이란 뜻이다.
개금벌:골지리 하동(벌판) 노벌을 개금평이라고 한다.
문래주골:문래산 아래 있는 골짜기로 지금은 민가는 살고 있지 않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