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기본개념은 님이 알고 계신대로 입니다.
** 님의 경우는 3상의 단면적 이므로 적용공식은 [A = 30.8ㆍLㆍI / 1000ㆍe]을 사용합니다.
따라서 A = 30.8ㆍLㆍI / 1000ㆍe=30.8*350*22.79/(1000*22.8)=10.77[SQ]가 됩니다.
따라서 돌입전류등을 감안해서 14SQ를 쓰실것을 권장 합니다.
** 핵심은 적용공식. 전압강하분 선정. 여유율.등의 감안 입니다
그러니까 님의 경우는 A= 17.8 * 300 * 22.79 * (380 * 0.06)이 아니고..
A = 30.8ㆍLㆍI / 1000ㆍe=30.8*350*22.79/(1000*22.8)입니다.
* 전압강하율의 산출식 |
전압강하율(%) | = [ (Es - Er) / Er ]×100 |
여기서
| Es Er Es | = 송전단 전압(인입 압) [V] = 수전단 전압(부하측 전압) [V] - Er = 전압강하 [V] |
| | |
* 전압강하의 산출식 전기방식 전압강하전선단면적
|
전기방식 | 전압강하 | 전선단면적 |
단상 2선식 직류 2선식 | e = 35.6ㆍLㆍI / 1000A | A = 35.6ㆍLㆍI / 1000ㆍe |
3상 3선식 | e = 30.8ㆍLㆍI / 1000A | A = 30.8ㆍLㆍI / 1000ㆍe |
단상 3선식 직류 3선식 3상 4선식 | e' = 17.8ㆍLㆍI / 1000A | A = 17.8ㆍLㆍI / 1000ㆍe' |
※ e = 각 선간의 전압강하 [V] e' = 외측선 또는 각 상의 1선과 중심선 사이의 전압강하 [V] A = 전선의 단면적 [㎟] L = 전선 1본의 길이 [m] I = 부하기기의 정격전류 [A] |
전기보일러 설치 예정인데요 용량이 15kw입니다. 3상380v인데 주변에 전기 따올곳이 없어서 변전실에서
350m가량 전선을 끌어서 쓸 생각입니다
전선굵기를 어떻게 선정해야 할까요?
15000/380 =39.47A 3상이므로 전류는 39.47/1.732 = 22.79A
200M 초과이므로 전압강하 6%이하
A= 17.8 * 300 * 22.79 * (380 * 0.06)
= 133500 / 22800 = 5.85SQ가 나오는데 이방법이 틀린것으로 알고 있습니다
전압강하식에 의하여 전선굵기를 선정하는것은 여러가지 고려를 하여야 합니다.
첫째 전압강하를 얼마로 할것인지?
공급장소의 전압을 얼마로 할것인지? 입니다.
하여 대부분의 설계에서는 정격전압에 전압강하를 2%로 하고 설계를 하기 때문에
전선의 굵기가 많이 굵어 집니다.
계산공식은 30.8 ×L × I / 1000e입니다.
정격전류는 40.5kW 라면 40500/ (√3 × 380 × 0.85) = 73A정도 입니다.
이것은 전압강하식에 대입하면 30.8×73×50 / (1000×7.6) = 16 SQ가 나옵니다.
이경우는 전선의 허용전류와 비교하여 허용전류보다 적을 경우는 허용전류에 의하여 나온 굵기로 선정을 하여야 합니다.
그러나 전선 16SQ의 허용전류가 100A로 16SQ이상이면 충분 할것 같습니다.
하여 메뉴얼에 나온 25SQ를 사용하면 무난 할것 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