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진 / 그
옛날
서울
남대문로/1959
음료수 노점상/1959.4.4.

교통사고
현장/1959.1.16. 을지로2가
서울역/1959.1.6.

3.1절행사/1959.3.1.
탑골공원
3.1절 기념행진 학생들/1959.3.1.
종로

3.1절 기념행진 학생들/1959.3.1. 종로
서울역 행인들/1059.3.1
서울 덕수궁/1959.3.1.

3.1운동 발상지/서울 세브란스병원 부근
남대문로5가15-75
서울 종로 탑골공원과 낙원동 일대

서울 명동 일대와
명동성당/1959.3.20.
서울 명동 일대와 명동성당/1959.3.20.

서울 종로2가
보신각/1959.4.9.
서울 종로2가
화신(現타워빌딩),신신백화점(現SC제일은행)/1959.4.8.
원구단 쪽에서 본
조선호텔(現롯데호텔)/1959.4.8.
4월8일
조선호텔과 원구단/1959.4.8.
교복,교모, 가방을 구입하는 중학교
입학생/1959.3.
이동 어린이 놀이기구/1959.3.1.
洋裝 서양녀, 韓服 한국녀/1959.3.2.서울명동 패션거리
서울풍문여자중고등학교 졸업식날
교문앞/1959.3.3.

냉차, 아이스크림 노점상들/1959.4.4.
유치원생들과 학부모/1959.4.6.
창경원 벚꽃놀이/1959.4.12.

창경원 벚꽃놀이 입장객/1959.4.12.
비닐우산 판매대/1959.4.14.서울 광화문
우량아선발대회 심사 모습/1959.4.14
소풍온 어린이들/1959.4.18.서울 덕수궁
給水대열/1959.4.15.

給水대열/1959.4.15.
서울 남대문로/1959.4.

서울소공동 환구단, 조선호텔 주변/1959.4.
서울소공동 환구단, 조선호텔 주변/1959.4.

돈암동/1959.4.
전차가 다니는 을지로 입구/1959.4.

일제가 식민자산 착취를 위해 설립한 경성동양척식주식회사(現외환은행본점)/1908.8.
일제가 식민자산 착취를 위해 설립한 경성동양척식주식회사(現외환은행본점)/1908.8.

서울 종각거리/1959.4.
서울 종로거리/1959.4
서울 미아리 동네/1959.8.

광화문사거리 주변/1959. 왼쪽 시민회관 건축중, 뒤쪽 중앙청(옛 조선총독부)

남대문로 주변/1959.
서울 명동거리/1959.

다양한 모델의 차량들/1959.
1959년 기존의 목조건물을 헐고 준공되어지고 있는 창성동 별관 정부청사 신축지 현장
서울 명동거리/1959.

서울 을지로 입구. 오른쪽 끝 서울시청/1959.
종로 종각거리 보신각/1959.

서울 종로 종각 신신.화신백화점/1959.
종거거리 전차/1959.

김포국제공항(1958.1.지정) 종합청사 신축(1959)후 확장공사 모습/1962.10.
신축중인 유네스코회관/1962.3.서울 명동
신축(1959~1967) 유네스코회관/1962.3.서울 명동
신축(1959~1967) 유네스코회관/1962.3.서울 명동
봄나들이 주부들/1959.4.30. 한강변
부랑인 일가족/1959.5.8. 서울 종로거리
제13회우량아 시상식/1959.5.12.

미스코리아, 미스해병 선발 미녀들의 오픈카 시가행진/1959.5.23.
관광객유치를 위해 고급관광버스 시운전 행사/1959.5.28.

제1회 국제마라톤대회 골인장면을 보려는 사람들/1959.5.29.
재봉일(바느질, 다림질 등..)하는 주부들/1959.5.6.

지방선거에서 야당의원들이 데모할 때 경찰서장과 맞붙잡은 김두한 의원/1959.7.27.
지방선거에서 야당의원들이 데모하는 모습/1959.7.27.

서울 미아리 일대 모습/1959.8.4.
수업중인 국민학교 학생들/1959.8.21.

수업중인 국민학교 학생들/1959.8.21.
야외가설 무대에서 공연중인 시민위안의 밤/1959.8.26.

서울 미아리 동네 모습/1959.8.
서울 명륜동 주택가 상점 앞/1959.8.31.

천일극장 뒷편 청계천뚝에 밀집한 판자촌과 장마비로 불어난 빗물/1959.8.31.
포승줄에 묶인채 법정에 끌려가는 여자피의자/1959.8.4
추석 귀성객/1959.9.16. 서울역 광장
추석 귀성객/1959.9.16. 서울역 광장

모델을 촬영하는 아마추어 사진작가들/1959.9.1.
도로 공사 모습/1959.

정간됐던 경향신문이 속간됐음을 알리는 사옥 계시판/1959.6.26.
경향신이 정간으로 게양되지 못했던 사기를 속간되면서 사기를 게양하는 모습/1959.6.27.

서울 광화문 세종로 사거리/1962.1.

전차를 기다리는 시민들/1962.1.
서울광화문 아카데미극장 입장객/1962.1.

서울 세종로 거리 좌판 상인들/1962.1.
서울 창경원(現창경궁) 수정궁 연못 스케이트장/1962.
서울 청계천 주변 판자집촌/1962.

서울 청계천 주변 판자촌/1962.
추운겨울철 쓰레기통을 뒤지는 세종로 상주 노숙자/1962.
철로에서 놀고 있는 기찻길 옆 판자촌 아이들/1962.
서울시내버스 여자 버스차장/1962.
넝마를 줍고 있는 사람들/1962. 청계천 주변
도로확장 이전의 효자동/1968.6.
중학입시 무시험 발표/1968.7.15.

서울 종로3가 娼女集性村/1968.10.12.
서울 모습/1968.10.1.
서울시청 주변/1968.10.1.
추석 귀성열차/1968.10.5.
행방불명된 악명높은 김형욱 前중앙정보부장/1968.8.24
전위예술을 공연하는 젊은 미술가들(정강자..)/1968.10.17. 한강변
우리나라 최초 행위예술가 정강자(가수 남일해 妹)/2003.8.26.
운행70년만에 폐차된 서울의 전차들/1968.11.29

대구서문시장 큰 불/1968.11.3. 03:30. 아래 왼쪽 계성고등학교
대구서문시장 제3지구1층에서 연탄 과열로 큰 불/멀리 보이는 동산병원 본관

봉천동/1968.

마술단 공연장 앞에 모인 봉천동 주민들/1968.

트럭에 받쳐 가옥에 충돌,어린이5명,승객39명이 중경상을 입은 사고 현장/1963.9.7.서울청운동

사고현장에 나뒹굴고 있는 학생들의 가방

사고현장의 부서진 버스의 내부 모습

사고현장의 부서진 트럭과 버스의 잔해

교통불편 때문에 심야에 도로공사를 하는 모습/효자동

효자동 전차종점에서 경무대로 진출한 데모대가 무차별 총격을 받고 100여명이
흩어지는 모습/1960.4.19
해무정(現정부중앙청사)앞 국립박물관 사이 효자동 가는 길이 4.19당시 경찰이
최초로 발포한 곳/1960.4.19.

서울효자동
전차종점에서 경무대로 꺽어 올라가던 데모대가 경찰의 무차별 총격을 받고 100여명이 쓰러졌다


금융실명제 실시(1995.10.22)후 전두환,노태우정권 실세들이 비자금, 정치자금보관소에 애용했던
상업은행
효자동지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