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 이장님 하우스 입니다. 
오늘은 하우스 기본 명칭에 대해서 간단하게 설명하겠습니다.
기본적으로 앞으로 많이 듣게되실 용어들 위주로 간단하게 짚고 넘어갈께요
조립식 하우스 기준으로 설명하겠습니다.
저는 개인적으로 시공업체를 통하지 않고 작은 규모의 하우스를 지으실거면
조립식 하우스를 추천합니다. 일단 혼자 지으실때 시공하시기 더 편합니다.
(시간 ↓ + 힘 ↓ = 스트레스의 감소 = 행복 ↑ )
그리고 가격면에서도 좀더 저렴할 확률도 많구요.
관심 있으신 분들은
네이버에 조립식 하우스 검색하시면 다양한 업체들이 많이 나오는데
홈페이지들 들어가보셔서 정보들 한번 알아 보시면 좋습니다.
참, 저번 글에 조립식 하우스가 내구성이 떨어진다고 글을 올려서
조립식 하우스에 대한 인식이 "역시 그러면 그렇지 " 하고
안좋아 지셨을수도 있는데요,
애당초에 시공업체에서도 조립식을 추천하는 경우가 있고
그냥 일반 방식을 추천하는 경우가 있습니다.
저희 삼촌은
큰 사이즈의 규모나 하자가 생길것 같으면 해달라고 하셔도
안해주시더군요. (문제 생기면 회사 입장에서도 안좋죠 ㅠ)
작은 규모라면 비,바람,눈 이런 저항에 적은 영향을 받으니
걱정말고 고려해 보세요 ~
용도에 맞게 사용하면 문제될게 없습니다.
상담중에 "조립식 하우스는 내구도가 안좋다는 글을 봤다" 괜찮겠냐
라고 문의를 받았습니다. 혹시나 .. 하는 마음에 적어봅니다.
오해하지 마세요 !
잡설이 너무 길었네요 바로 설명 들어가겠습니다.
그리고 "하우스 짓는 방법공유 "는 앞으로 크게
1.뼈대
2. 피복
이 두가지로 생각하시면 됩니다.
설명을 위해서 회사 자료를 조금 가져왔습니다.
하우스를 정면에서 봤을때 보이는 정면을 " 마구리 " 라고 합니다.
앞 마구리, 뒷 마구리 라고 부르니 알아두세요
1, 용마루 입니다.
2. 마구리 기둥입니다. 하우스 앞뒤에 똑같이 들어갑니다.
3. 어깨 높이 or 측면 높이라고 합니다. 많은 분들이 하우스 높이를 이야기할때
지면에서 용마루 까지의 길이를 생각하시는데요,
하우스 시공을 위해 견적을 내시거나 할땐, 어깨 높이를 훨씬 더 많이 이야기 합니다.
어깨 높이는 지면에서 3번 까지의 길이를 말합니다.
4. 번호는 없지만 가장 많이 쓰이는 용어중 하나입니다.
용마루 부터 지면까지 박혀 있는 파이프를 서까래 라고 부릅니다. (혹은 활대)
일반 방법은 잘 모르지만, 조립식 에선 서까래가 3등분 되어 있습니다.
용마루 부터 좌우 마구리 기둥 까지를 상판 서까래
어깨높이 부분의 파이프를 측면 서까래 라고 합니다.

사진으로 보여드리겠습니다.
서까래를 세우고 있는 모습이죠,
조립식 하우스 기준입니다.
바닥에 상판 서까래 , 측면 서까래가 3등분으로 되어 있습니다.
바닥에 박혀있는건 "인발대" 라고 하구요.
농가 사장님하고 아내분이 시공팀을 도와서 직접 짓고 있습니다.
생각보다 쉽습니다 .
(여러분도 할수 있습니다.)
적어도 뼈대 부분은요.. 하핫

다시 복잡한 도면으로 돌아갑니다..
한번 쓱 보시면 됩니다 .
이 도면은 폭 6 길이 8 어깨높이가 2.5 인 하우스네요,
(일반적으로 기본 어깨높이는 1.5 입니다.)
용마루 까지의 높이는 어깨 높이에서 대략 (하우스 마다 다 다릅니다. 참고만 하세요)
1.5 미터 정도라고 생각하시면 됩니다.
이건 대략 4m 정도 되겠죠 ? 그 이하일꺼에요 아마

여기서 추가된 명칭은 가로대, 치마 정도가 있겠습니다.
가로대는 요게 가로대 입니다.
지금 열심히 무언갈 채우고 있는건 " 조리개 " 라고 합니다. 가로대를 서까래와 고정시켜 주고요.

그런데 하우스의 폭과 길이, 그리고 파이프 규격에 따라서 들어가야 되는 가로대 갯수가 다릅니다.
시공을 의뢰하시면 알아서 잘 해주실거에요,
하지만 ! 혼자 지으시려면 잘 모르죠 ? 사실 저도 아직은 잘 모릅니다
지으시고자 하는 하우스의 가로대 갯수를 알고 싶으시면,
일단 시공업체에 전화를 합니다.
인터넷 검색으로 "비닐 하우스" or "조립식 비닐하우스" 치면 많이 나옵니다.
대충 맨 위에 있는 업체로 전화를 합니다.
(어쩌면 저와 통화를 하실수도 있습니다.. )
ㅇㅇ 사이즈로 견적을 내고 싶다 .
어깨 높이는 얼마고 어떤 용도고 지역이 날씨가 이러이러하다
가로대는 몇개정도 들어가겠냐 하면 친절히 알려주겠죠 ?
막히거나 모르는 부분이 있을땐 이렇게 티안나게 물어보시는 것도 좋은 방법이라 생각합니다.
아참 까먹을뻔 했습니다
치마는, 저기 개폐기가 올라가고 남은 아래 부분을 치마라고 합니다.

"중방"은 설명을 안해드렸는데요,
조립식 하우스 에서는 중방이 들어가지 않습니다.
중방은 보통 48mm 로 지을때 들어간다고 알고있습니다.
중방은 어깨높이 바로 아래쯤에 수평으로 된 지지 기둥을 말합니다.
도움이 되셨나요 ?
설명에 안나온 다른 용어는 아래 댓글로 달아주시면
친절하게 설명해 드릴께요 답글 많이 달아주세요.
설명에 잘못된 부분이 있을시에도 지적해주시구요.
수정하겠습니다.
감사합니다.
다음엔 기초 공사 시작글 다시 올리겠습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