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살라국의 사위(舍衛)에 난타(難陀)라는 가난한 여인이 살고 있었습니다.
그녀는 구걸로 겨우 목숨을 이어 갈 정도로 가난하게 살아갑니다.
어느 날 석가모니가 사위성에 온다는 소식이 전해지자 파세나디왕과 모든 백성은 등불 공양을 올리기 위해 분주히 움직였고,
가난한 난타는 기름하나 살 돈이 없어 신세한탄을 하다가
이 세상에서 가장 존귀한 분을 위해 등불 공양을 올리기 위해 거리에서 하루 종일 구걸해 얻은 돈 두 닢을 들고 기름집으로
달려갔습니다.
기름집 주인은 여인의 갸륵한 마음에 감동하여 기름을 갑절이나 주었습니다.
난타는 기쁨에 넘쳐 등 하나에 불을 밝혀 석가모니 부처님께 정성을 다해 바쳤습니다.
밤이 깊어 가고, 세찬 바람이 불어 다른 등불은 다 꺼졌으나 난타의 등불만은 밝게 빛나고 있었습니다.
등불이 다 꺼지기 전에는 석가모니 부처님이 잠을 자지 않을 것이기 때문에 시자 아난이 가사 자락으로 등을 끄려 하였으나
등은 꺼지지 않았지요.
이때 석가모니가 아난에게 말했습니다.
“아난아, 부질없이 애쓰지 말아라. 그것은 가난하지만 마음 착한 한 여인의 넓고 큰 서원과 정성으로 켠 등불이니 결코 꺼지지
않으리라. 그 등불의 공덕으로 이 여인은 앞으로 30겁 뒤에 반드시 성불할 것이다.
그리고 그 이름을 ‘수미등광여래’라 할 것이다.”
이 이야기는 《현우경(賢愚經) 〈빈녀난타품(貧女難陀品)〉》에 나오는데, 가난한 여인이 등 하나를 석가모니에게 바친 데서 ‘빈자일등’이 유래되어 전해오는 것입니다.
날씨가 풀리면서 절로 절로 나들이 나오는 많은 사람들이 절에 등 작업이 시작되고 있는 것을 보고
궁금해 하고 있어서 작년에 짚어봤던 내용을 다시 한번 되새김 해 봅니다. ^^
첫댓글 부처님 오산 날 등을 올리는 마음
잘 읽었습니다.
깊이 새기겠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