과민성 대장증후군
⒈ 정의
과민성 대장증후군은 소화기관의 기능성 장애로 인해 발생하는 질환으로 대장X선 검사나
대장내시경 검사를 해도 이상 소견이 발견되지 않으면서 만성적⋅반복적인 소화관 증상(복통,
복부팽만감, 설사, 잔변감 등)들이 발생하여 일상생활에 많은 불편을 느끼게 하는 질환으로
남성보다 여성이 2배 정도 많으며 소화기계 질환자 중 거의 절반에 가까운 비중을 차지하고
있다고 한다. 특히 여성의 경우 생리불순을 수반하는 것이 특징이기도 하다.
⒉ 원인
⑴현대의학에서는 대뇌와 장 사이의 신경 교란 즉 심리적 스트레스, 면역 체계의 이상, 신경전달
물질의 이상 등 여러 복합 요소들이 작용하여 대뇌와 장 사이의 메시지 전달 체계를 방해하여
발생되는 질환으로 보고 있지만 아직까지 명백한 원인이 밝혀지지 않고 있다.
⑵한방에서는 습열(濕熱), 비허(脾虛), 기체, 식체 등을 원인으로 보고 있다.
⒊ 과민성 대장증후군의 분류
가스형, 난변형, 긴장형, 설사, 변비 교대형, 혼합형 등이 있다.
⒋ 진단 및 증상
⑴ 진단 : 확실한 진단 방법이 없고 환자의 증상을 토대로 판단
⑵ 증상 : 대변의 변화(만성적 설사, 특히 오전 중의 심한 설사, 변비, 점액질 대변 등), 후중감,
잔변감, 소화불량(미식거림, 헛배부름), 복통(주로 하복통), 뱃속의 부글거림, 만성 피로, 무력감,
두통, 요통, 생리불순
⒌ 치료법
⑴ 공통요법 : 식사요법과 스트레스 예방 등 생활 습관 개선
⑵ 현대의학 : 항경련제, 항우울제, 지사제 등을 이용한 치료방법
⑶ 한방의학 : 각종 한약, 침, 뜸 방법
⑷ 고려수지침⋅서금요법 : 서암뜸의 자극, 서암PEM 또는 서암침봉의 기맥보제, 수지음식요법,
기마크봉S, 발지압판 운동.
과민성 대장증후군의 고려수지침⋅서금요법 치방
49세 여성(가정 주부)
⋅ 운기체형 : 좌 금금불급(폐허, 대장승), 우 금수태과(폐승, 방광허)
⋅ 서암PEM 자극 : 운기체형이 좌우 비장허이므로 F기맥 보법을 한 번에
100회씩 자극
⋅ 서암침봉 자극 : 좌우 F4(은색침봉) F6(금색침봉) 15초씩 10회 번갈아 자극
⋅ 황토서암뜸 : A1, 4, 6, 8, 12, 19, 21, 30, B18, B24
⋅ 등산용발지압판 : 30분간씩 1일 3회 이상(최초 10분씩)
⋅ 염파요법 : 좌우 비보법(F3, F5, F6 단순기맥보법),
위제법(E38, 41, 42 단순기맥제법),
A30, B24에 1푼 간격 오복핀 자극,
F19, A12, I16, I17, J7, N1, M28, I38에 사이버 수지침 도보에 염파핀 1일 2회 자극
만 5세 때부터 지금까지 40여년을 고생하며 지내온 여성이 고려수지침⋅서금요법을 통해
3개월 만에 완치에 가까울 정도로 극복하였다며 생명의 은인과 같다며 고마워 하고 있다.
뼈만 앙상했던 43Kg(신장은 167Cm)의 체중이 현재는 50Kg으로 정상을 되찾았고
얼굴에 건강색이 넘쳐흐른다.
- 학술논문집에서 발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