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파주 앵무봉·고령산 산행 ◈
===========================================================================================================================
===========================================================================================================================
▣ 도로안내
서울→ 구파발삼거리→ 문산 1번국도(통일로)→ 대자사거리→ 의정부 방면 39번 우회전→ 고양삼거리 좌회전 → 벽제 삼거리 우회전→ “뒷박고개”→ 보광사(普光寺) 일주문
▣ 산행일시
2007년 2월 11일(일): 11:13∼14:58
▣ 산행지
▲ 파주 앵무봉(鸚鵡峰:622m)·고령산(古靈山:高靈山)
▣ 산행지도 및 코스
⊙ 산행지도
⊙ 산행코스
보광사 제1주차장→ 보광사(普光寺)→ 도솔암(兜率庵)→ 앵무봉(鸚鵡峰:622m)→ 고령산(古靈山:高靈山) → 수구암(守口庵)→ 보광사(普光寺)→ 보광사 제1주차장 <3시간 45분 소요: 사찰순례45분(보광사·도솔암·수구암), 휴식, 점심 포함>
▣ 산행사진
§ 산행들머리: 도로 §
- 송추유원지에서 파주 앵무봉(鸚鵡峰)·고령산(古靈山:高靈山) 가는 길 - (먹거리·볼거리 코스)
※ 직진은 포천, 의정부 가는 39번 도로이고 우측은 송추계곡 가는 도로이다. 좌측은 송추마을 우남아파트 가는 도로이다. 오늘은 직진 길을 버리고 좌측 길을 따른다. (2007년 2월 11일, 오전 10:22:06 상황) → 밀 호텔 앞을 지난다. → 우측 도로 안내판에 동두천28k, 백석3k, 송추컨트리클럽 가는 길이 표시되어 있다. → 여기서 800m 더 가서 좌측으로 가면 구파발, 장흥관광지로 가는 371번 도로가 나타난다.
※ 좌측은 구파발, 장흥관광지, 장흥아트파크로 가는 371번 도로이고 직진은 광탄, 백석 가는 39번 도로이다. → 앞에 보이는 건물이 말머리고개에 위치한 송추 유스호스텔이다. 말머리고개에서 앵무봉(鸚鵡峰:622m) 정상까지 종주하는 코스는 지루함이 없고 봉수대와 전망대를 거치는 멋진 코스다. 능선에는 진달래가 많아 봄철산행 코스로 좋은 곳이란다. → 우측 도로 안내판에 동두천25k, 광적6k, 송추컨트리클럽 가는 길이 표시되어 있다. → 제1033부대 앞 유흥음식점의 모습이다.
※ 현 위치는 기산저수지앞이다. 좌측은 광탄, 송추컨트리클럽, 감사교육원, 안고령 가는 98번 도로이고 직진은 양주시청, 광적 가는 39번 도로이다. → 기산저수지 부근에는 카페, 음식점이 즐비한데 볼거리 제공차원에서 계곡에 얼음기둥을 여러군데 만들어 놓았다.
※ 좌측은 안고령, 송추효자요양병원 가는 도로이고 직진은 기산리 가는 도로이다. → 도로 우측 유흥음식점의 풍경이다. → 양주시와 파주시 경계지점에 세워 놓은 특이한 ‘양주골 한우마을’ 선전 입간판의 모습이다. → 나무사이로 본 마장저수지가 보이고 그 너머로 팔일봉이 보인다.
※ 현 위치는 감사교육원 앞이다. → 직진은 벽제, 신산리 가는 367번 도로이고 우측은 양주, 광적 가는 367번 도로이다. 우측으로 100m 가면 송추C.C.가 나온다. → 현 위치는 영장리 소령원로 입구이다. 소령원(昭寧園)은 조선 영조의 생모 숙빈(淑嬪) 최씨의 능이 있는 곳이고 인근에 영조의 후궁이고 첫 번째 왕자인 진종(眞宗)의 어머니 정빈(靖嬪)이씨의 묘인 수길원(綏吉園)도 있다. → 300m 앞 장승 2기가 서 있는 곳에서 좌회전은 서울, 고양동 가는 367번 도로이고 우회전은 문산, 광탄 가는 367번 도로이다. 좌회전해서 박달뫼안길 앞 도로를 쭉 따라 직진하면가 좌회전하면 보광사 일주문 앞에 닿는다.
§ 산행들머리: 보광사(普光寺) 일주문(一柱門) §
※ 고령산(古靈山) 보광사(普光寺) 일주문(一柱門:1999년 완공)의 모습(앞면)이다. (2007년 2월 11일, 오전 11:13:44 상황)---송추유원지 진입도로 앞에서 51분 소요. →고령산(古靈山) 보광사(普光寺) 일주문(一柱門:1999년 완공)의 모습(둿면)이다.
§ 산행들머리: 보광사(普光寺) 제1주차장 주변 모습 §
※ 고령산(古靈山) 보광사 일주문(一柱門)에서 보광사 제1주차장으로 가는 도로의 모습이다 앞에 산님이 서 있는 곳에서 직진하면 보광사로 가고 우측으로 가면 보광사 제1주차장에 닿게 된다. 도로 좌측에는 유명한 토속음식점(보리밥과 산채 백반집)들이 즐비하게 늘어서 있다. → 좌측에 주차관리실이 보이고 우측에는 보광사 안내비석이 홀로 서 있다. → 산행로 우측에 ‘보광사증창불사조감도’ 가 세워져 있다. → 산행로 우측에 ‘전통사찰 문화환경 수호를 위한 말씀’ 안내판과 ‘푸른환경 가꾸어 으뜸 파주 만듭시다’ 라는 안내판도 세워져 있다.
☞ 뒤돌아 본 보광사(普光寺) 제1주차장의 모습이다.
☞ 산행로 좌측을 바라본 풍경이다. ▼
※ 실천불교전국승가회에서 세워 놓은 戀友之石(연우지석)의 모습이다. 戀友之石(연우지석)에는 ‘종태선사를 기리며 멀리 선사의 본산인 지리산 화엄사에서 돌하나를 가져다가 여기 그 뜻을 새긴다’ 라고 적혀 있다. → 戀友之石(연우지석) 옆에는 겨울을 날 장작더미를 가득 쌓아 놓았다.
☞ 고령산(古靈山) 보광사 제1주차장에서 보광사로 가는 도로의 모습이다. 도로 우측에는‘시방댐’ 비석과 경기도 산림환경연구소에서 세워놓은 ‘안내문’ 이 세워져 있다.
☞ 좌측은 보광사(普光寺)를 거쳐 도솔암으로 가는 길이고 우측은 보광사를 거치지 않고 도솔암(대한불교조계종25교구) 가는 길이다. 우측 보광1교를 건너가면 보광사 제2주차장과 영묘암 가는 길이 나타난다.
☞ 우측을 바라보니 나무사이로 보광사 범종각(梵鐘閣)과 만세루가 어렴풋이 보이기 시작한다. (2007년 2월 11일, 오전 11:29:20 상황)
● 보광사(普光寺)에서 ●
☞ 보광사(普光寺) 경내에 있는 ‘보광사 증창불사 조감도’ 의 모습이다. 보광사(普光寺)는 신라시대인 894년(진성왕 8년) 왕명에 따라 도선(道詵)에 의해 비보사찰(裨補寺刹)의 하나로 창건되었다.
○ 대웅보전(大雄寶殿:유형문화재 제83호) ○
☞ 단청(丹靑)이 벗겨져 정감이 더욱 느껴지는 대웅보전(大雄寶殿)의 모습이다. ▼
※ 영조대왕의 친필로 알려져 있는 대웅보전(大雄寶殿) 편액이 걸려 있고 석축기단 아래에는 ‘유형문화재 제83호 보광사 대웅보전’ 이라고 적힌 비석이 서 있다. → 법당 내부에는 비로자나삼존불이 봉안되어 있고 뒤에는 영산후불탱이 걸려 있다.
☞ 대웅보전(大雄寶殿) 앞에서 한 컷 ▼
※ 보광사(普光寺) 최고의 볼거리인 대웅보전 외벽 목판 벽화의 모습이다. 화려한 연지 벽화, 민화풍의 3면 벽화가 그려져 있다.
○ 원통전(圓通殿:대비전:보타전) ○
☞ 관음보살상이 모셔져 있는 원통전(圓通殿:대비전:보타전)의 모습이다. ▼
※ 법당 안에 있는 삼장탱화의 모습이다. → 측면에서 본 원통전(圓通殿:대비전:보타전) 벽화의 모습이다.
○ 응진전(應眞殿:나한전)·산신각(山神閣) ○
☞ 응진전(應眞殿:좌측)과 산신상과 산신탱화를 봉안한 산신각(山神閣:우측)의 모습이다. 석불전(石佛殿) 너머로 앵무봉(鸚鵡峰:622m)과 고령산(古靈山:高靈山)이 보인다. ▼
※ 가까이에서 본 응진전(應眞殿)·산신각(山神閣)의 모습이다. → 법당 내부에는 석가삼존상과 나한상 16위가 있고 영산회상도와 나한도 4폭의 불화가 있다. → 응진전(應眞殿)·산신각(山神閣) 돌 계단 아래에 탑이 서 있고 그 뒤로 대웅보전(大雄寶殿)이 보인다. → 응진전(應眞殿)·산신각(山神閣) 돌 계단 아래에 기와불사 접수대가 보이고 그 뒤로 ‘보광사 대웅보전’ 안내판이 서 있다.
○ 범종각(梵鐘閣) ○
☞ 대웅보전(大雄寶殿) 앞마당에서 본 범종각(梵鐘閣)의 모습이다. 범종각(梵鐘閣) 안에는 숭정칠년명 동종 (崇楨七年銘 銅鐘:높이 98.5cm: 경기유형문화재 제158호)이 보존되어 있는데 쌍용 모양의 종루와 포탄 모양의 종신이 연결된 특이한 형태를 하고 있다.
○ 목어<木魚:목어고(木魚鼓):어고(魚鼓):어판(魚板)> ○
☞ 대웅보전(大雄寶殿) 맞은편 누각에 걸려 있는 대형 목어(木魚)의 모습이다. ▼
※ 석등(石燈)에서 본 목어(木魚)의 모습이다. → 물고기 몸통에 눈썹과 둥근 눈, 툭 튀어나온 코, 여의주를 문 입, 머리에는 사슴의 뿔까지 있어 용의 형상을 닮은 목어(木魚)의 모습을 가까이에서 바라본다.
○ 어실각(御室閣) ○
☞ 대웅보전 우측 둔덕에 있으며 내부에는 조선 영조대왕의 생모 숙빈(淑嬪) 최씨의 영정과 신위가 모셔져 있고 어실각(御室閣) 앞쪽에는 영조가 심었다는 향나무 한 그루가 어실각(御室閣)을 지키고 있는 듯 하다.
○ 지장전(地藏殿:명부전) ○
☞ 지장보살이 모셔져 있는 지장전(地藏殿)의 모습이다. ▼
※ 대웅보전에서 본 지장전(地藏殿)의 측면 모습이다. → 석등(石燈)에서 본 지장전(地藏殿)의 측면 모습이다.
○「소 찿는 집」○
☞ 보광사(普光寺) 장독대에서 본 「소 찿는 집」의 모습이다. ▼
※ 범종각과 요사채 사이로 본 「소 찿는 집」의 모습이다. → 요사채 처마 아래에서 한가롭게 앉아 있는 개 한마리의 모습과 「소 찿는 집」의 모습을 디카 한장에 담아 본다.
○ 우휴정(遇休亭) ○
☞ 음수대(식수) 앞에 있는 우휴정(遇休亭)의 모습이다.
○ 영각전(靈覺殿) ○
☞ 영각전(靈覺殿) 앞에 있는 꽃가마의 모습이다. ▼
☞ 납골당(納骨堂)이 있는 영각전(靈覺殿) 내부의 모습이다. ▼
※ 영각전(靈覺殿) 앞에서 반배하고 있는 산님의 모습이 보이고 전각 좌측에 뒤로 석불전(石佛殿)이 보인다. → 영각전(靈覺殿)을 측면에서 본 모습이다.
○ 석불전(石佛殿) ○
☞ 응진전(應眞殿:나한전)에서 바라보니 영각전(靈覺殿)과 석불전(石佛殿)이 보이고 그 뒤로 앵무봉(鸚鵡峰:622m)과 고령산(古靈山:高靈山)이 보인다. ▼
☞ 요사채 부근에서 이희성(1980년 5월 계엄사령관)이 시주했다는 12.5m가 넘는 거대한 석불전(石佛殿:석조미륵보살입상)을 멀리서 바라다 본다. ▼
☞ 대웅보전(大雄寶殿:유형문화재 제83호)에 있는 복장(腹臟)에서 나온 부처님 진신(眞身)사리와 그 밖에 보석 및 불경(佛經) 등을 봉안한 석불전(石佛殿) 앞에서 한 컷 ▼
※ 계단 오름 길에서 영각전(靈覺殿:납골당) 위에 있는 석불전(石佛殿), 앵무봉(鸚鵡峰:622m), 고령산(古靈山:高靈山)의 모습을 디카 한장에 담아본다. → 본격적인 산행을 시작하기 전에 석등(石燈), 석불전(石佛殿), 부도비(浮屠碑)가 있는 곳을 뒤돌아 본다. (2007년 2월 11일, 오후 12:03:34 상황)
§ 보광사(普光寺)에서 도솔암(兜率庵)까지 가는 길에서의 풍경 §
☞ 석불전(石佛殿)을 벗어나면 좌측에 부도비(浮屠碑), ‘고령산 도솔암(兜率庵)’ 안내판이 세워져 있고 앞에는 보광3교가 보인다.
※ 산님이 ‘입산통제안내판’ 앞에서 안내판을 쳐다보면서 내용을 읽고 있다. 산님이 서 있는 곳 좌측이 도솔암(兜率庵)으로 오르는 길이다. 우측은 보광사(普光寺) 입구에서 보광사를 거치지 않고 옆 돌담 길을 따라 올라오는 길이다. → 산행로 좌측에는 빛바랜 도솔암 안내비석이 서 있고 우측에는 ‘조수보호구역’ 말뚝이 서 있다. → 앞을 바라보니 동네 주민이 개를 데리고 산책하고 있다. → 산님이 좌·우측에 낙엽이 많이 쌓여 있는 산행로를 열심히 걸어가고 있다.
※ 산님이 도로 개설을 위해 절개한 곳을 거쳐 ‘위험(고압주의)’ 안내판과 연등사이로 난 흙 길을 주위를 조망하면서 오르고 있다. → 산행로 좌측을 바라보니 ‘위험(고압주의)’ 안내판이 자주 눈에 띈다.
☞ 앞을 바라보니 산님이 키가 아주 큰 나무 아래 산행로를 걸어가고 있다.
☞ 뒤돌아 보니 잡목 사이로 박달산(369m)이 모습을 드러내 보이기 시작한다.
※ 임도에서 우측을 바라보니 산님이 임도를 버리고 ‘군사보호시설’ 안내석이 세워져 있는 옛 산행로를 따라 걸어가고 있다. → 옛 산행로를 따라 올라오면 작은 돌탑과 산불예방 현수막이 걸려 있는 이곳에 닿게 된다.
☞ 잠시 휴식을 취하면서 하늘을 쳐다 본다.
※ 산행로 옆에 불자들이 작은 불상(佛像)과 동자승(童子僧)을 모셔다 놓고 소원을 빌고 간 흔적들이 여기저기 남아 있다. → 작은 불상(佛像)과 동자승(童子僧)...
☞ 산행로 좌측에는 여러기의 비석이 세워져 있고 앞을 바라보니 기미독립운동가 33인 중 한분인 백용성(白龍成)화상이 1915년부터 3년간 머물렀다는 도솔암(兜率庵)이 보인다. (2007년 2월 11일, 오후 12:35:28 상황)
● 도솔암(兜率庵)에서 ●
○ 도솔암(兜率庵) 주변 모습 ○
☞ 삼성각(三聖閣:1963년 신축)과 극락전(極樂殿:1968년 신축) 그리고 요사채가 있는 도솔암(兜率庵) 전경이다. ▼
※ 도솔암(兜率庵) 뒤에 있는 경기도 소방재난본부에서 세워놓은 119 긴급연락처 안내판(현위치는 도솔암 뒤:고령산1-1)의 모습이다. → 도솔암(兜率庵)부근에는 부도비, ‘음주·소란·흡연을 금한다’ 는 경고판도 있다.
○ 도솔암(兜率庵) 주변 풍경 ○
☞ 도솔암(兜率庵)의 삼성각(三聖閣)과 극락전(極樂殿)의 모습이다. ▼
※ 삼신을 안치한 삼성각(三聖閣)의 모습이다. → 아미타불을 모셔놓은 극락전(極樂殿)의 모습이다.
☞ 도솔암(兜率庵)에서 방금 지나온 길을 뒤돌아 보는 여유를 가져 본다.
☞ 도솔암(兜率庵)에서 군사시설물이 설치되어 있는 능선을 조망해 본다.
☞ 도솔암(兜率庵) 요사채 옆 수백년 된 멋진 노송이 있는 곳에서 앞을 바라보니 박달산(369m)이 뚜렷하게 조망된다. 화장실 뒤켠으로 난 산행로를 따라 본격적인 산행이 시작된다.
§ 도솔암(兜率庵)에서 고령산(古靈山:高靈山)까지 가는 길에서의 풍경 §
※ 도솔암(兜率庵) 요사채 옆 수백년 된 멋진 노송(老松) 앞에 등산로 안내판이 서 있고 산님들은 도솔암(兜率庵) 화장실 옆으로 난 산행로를 따라 오르내리고 있다. → 잡목사이로 산행로 좌측 아래를 내려다 보니 산님들이 임도를 따라 올라오고 있고 새로 닦은 도솔암(兜率庵) 임시주차장에 트럭 한대가 주차해 있다. → 굽어진 산행로에서 앞을 바라보니 산님들이 흙 길을 오르내리고 있다. → 안부에 있는 넓은 공터의 모습을 뒤돌아 본다.
☞ 잡목사이로 산행로 좌측을 바라보니 경사진 능선에 소나무들이 일렬로 줄지어 서 있고 작은 암릉 위에서는 산님들이 휴식을 하고 있다.
※ 잔돌이 많은 넓은 공터에서 산님이 산행지도를 펴 보고 있다. → 산님들이 잡목사이로 난 급경사 오르막 길을 오르내리고 있다. → 헬기장에서 산님들이 휴식을 취하고 있다. 멋진 소나무 한그루가 서 있는 곳이 앵무봉(鸚鵡峰:622m) 정상이다. → 헬기장에서 좌측을 바라보니 앵무봉(鸚鵡峰:622m) 정상 멋진 소나무와 방금 전에 잡목사이로 산행로 좌측 경사진 능선에 일렬로 줄지어 서 있던 소나무가 가까이에서 조망된다.
※ 헬기장의 모습을 한번 뒤돌아 본다. → 헬기장에 있는 산악구조 신고안내판(현위치는 헬기장:고령산1-2)의 모습이다.
☞ 헬기장 바로 위에서 소나무 사이로 바라본 군사시설물의 모습이다.
☞ 헬기장 바로 위에서 소나무 사이로 군사시설물이 있는 곳에서 뻗어내린 능선을 조망해 본다.
○ 앵무봉(鸚鵡峰:622m) 정상 ○
※ 앵무봉(鸚鵡峰:622m) 정상에서 기념사진을 한장씩 남긴다. (2007년 2월 11일, 오후 1:08:20 상황)
○ 앵무봉(鸚鵡峰:622m) 정상 주변 모습 ○
※ 잠자리 눈을 닮은 형상을 하고 있는 철구조 통신시설물이 앵무봉(鸚鵡峰:622m) 정상을 지키고 있다. → 문산자유로 산악회에서 세워 놓은 앵무봉(鸚鵡峰:622m) 정상 표지석의 둿면 모습이다. → 헬기장에서 본 앵무봉(鸚鵡峰:622m) 정상 조금 아래에 있는 멋진 소나무를 정상에서 뒤돌아 본다. → 공군부대에서 정상에 세워 놓은 경고문의 모습이다. 경고문에는 ‘이 지역에는 지뢰 (MINE/地雷)가 매설되어 있으니 접근을 금지한다’ 고 적혀 있다.
○ 앵무봉(鸚鵡峰:622m) 정상 주변 풍경 ○
※ 줌으로 도봉산(道峰山)에서 삼각산(三角山)의 백운대(白雲臺:836.5m), 숨은벽, 인수봉(仁壽峰:810.5m), 염초봉으로 뻗어 있는 암봉들을 줌으로 당겨 본다. → 앵무봉(鸚鵡峰:622m)에서 본 고령산(古靈山:高靈山) 정상 헬기장 앞에 세워 놓은 철구조 시설물의 모습이다.
○ 고령산(古靈山:高靈山) 정상 ○
※ 고령산(古靈山:高靈山) 정상에서 임꺽정봉(445m)·상투봉(425봉)·불곡산(佛谷山:상봉:468.7m)을 배경으로 한 컷 (2007년 2월 11일, 오후 1:27:14 상황) → 고령산(古靈山:高靈山) 정상 헬기장에서 한 컷
===========================================================================================================================
★ 고령산(古靈山:高靈山) 정상에서 바라다 본 전경(1) ★
☞ 도마산, 서원밸리컨트리클럽, 파주시 광탄면, 마장 저수지 일대, 98번 도로, 감사교육원, 팔일봉, 백석읍, 은봉산이 조망된다.
===========================================================================================================================
○ 고령산(古靈山:高靈山) 정상 주변 모습 ○
※ 고령산(古靈山:高靈山) 정상에서 본 앵무봉(鸚鵡峰:622m) 정상 방향의 시설물들이다. → 고령산(古靈山:高靈山) 정상에서 본 앵무봉(鸚鵡峰:622m) 정상 표지석의 둿면 모습이다.
===========================================================================================================================
★ 고령산(古靈山:高靈山) 정상에서 바라다 본 전경(2) ★
☞ 수리봉(봉화대). 꾀꼬리봉, 한강봉, 임꺽정봉(445m)·상투봉(425봉)· 불곡산(佛谷山:상봉:468.7m), 장군봉, 첼봉, 도봉산(道峰山), 오봉, 장흥국민관광지, 사패능선이 조망된다.
===========================================================================================================================
○ 고령산(古靈山:高靈山) 정상에서 본 풍경 ○
☞ 마장 저수지 일대, 98번 도로, 전두환 대통령의 별장으로 사용했던 감사교육원이 보인다.
☞ 파주시 광탄면 분수리, 마장리, 신산리, 영장리에 걸쳐 있는 박달산(369m)과 파주시 광탄면이 내려다 보인다.
☞ 도마산 너머로 서원밸리컨트리클럽이 멀리서 조망된다.
☞ 가까이로는 장흥국민관광지가 보이고 멀리로는 사패능선이 조망된다.
☞ 경기도 양주군 주내면 유양리, 백석면 산북리에 위치한 임꺽정봉(445m) ·상투봉(425봉)·불곡산(佛谷山:상봉:468.7m) 봉우리 세 개가 북서에서 남동 방향으로 펼쳐져 있다.
===========================================================================================================================
★ 고령산(古靈山:高靈山) 정상에서 바라다 본 전경(3) ★
☞ 고양시, 우암산(비호봉), 파주시 광탄면 분수리, 마장리, 신산리, 영장리에 걸쳐 있는 박달산(369m)이 조망된다.
===========================================================================================================================
§ 고령산(古靈山:高靈山)에서 보광사(普光寺)까지 가는 길에서의 풍경 §
※ 고령산(古靈山:高靈山)에서 조망을 마친 산님이 미끄러운 내리막 흙 길을 내려서고 있다. → 암릉에 소나무 한그루가 서 있는 곳을 지나게 된다.
☞ 산행로 좌측을 바라본 풍광이다.
※ 군사시설보호구역 표지석과 소나무가 있는 넓은 공터에 당도한다. → 멋진 바위전망대에서 주위를 조망하고 있는 산님들의 모습을 디카에 담아 둔다.
☞ 멋진 바위전망대에서 소나무 사이로 보광사(普光寺)와 지나온 능선을 내려다 본다.
☞ 멋진 바위전망대에서 소나무 사이로 군사시설물을 뒤돌아 본다.
※ 급경사 내리막 길을 내려서니 잡목 사이로 난 평탄한 갈참낙엽 쌓인 길을 만난다. → 잡목이 우거진 이러한 산행로를 지나게 된다.
☞ 잡목사이로 지나온 앵무봉(鸚鵡峰:622m), 고령산(古靈山:高靈山)을 뒤돌아 본다.
☞ 바위와 나무 그리고 푸른 하늘과의 어우러진 풍광...
※ 작은 바위 옆으로 난 산행로 따라 방금 산님이 사라져 버린다. → 산님이 손으로 가리키고 있는 하산 길은 급경사 비탈 길이고 직진은 능선을 따라 가는 길이다. 시간 계획상 급경사 비탈 길을 따른다.
☞ 반대방향에서 올라오던 산님들이 급경사 오르막 길에서 잠시 쉬어가자고 하는 듯하다.
※ 올라오는 산님들이 쉬어갈 수 있는 좁은 공터를 만난다. → 여기는 산행로가 내리막 길에 갈참낙엽이 많이 깔려 있어 굉장히 미끄러워 주의해야할 구간이다. → 내려온 길을 뒤돌아 보니 낙엽과 괴목이 상당히 많은 지역임을 느끼게 한다. → 산님이 내리막 흙 길을 흙먼지를 날리면서 내려가고 있다.
☞ 멋진 나무아래 갈참낙엽 쌓인 길을 여유있게 걸어가고 있다.
※ 산행로 좌측을 바라본 풍광이다. → 앞을 바라보니 수구암(守口庵)으로 내려가는 길이 보인다. 여기서 수구암은 좌측으로 가야하고 보광사(普光寺)는 우측으로 가야한다.
☞ 푸른 하늘과 멋진 나무가 어우러져 있는 모습을 디카에 담는다.
☞ 산행로 좌측을 바라보니 애림(愛林)이라는 푯말이 서 있고 그 뒤에 멋진 나무가 한그루 하늘을 찌를 듯한 기세로 서 있다.
○ 수구암(守口庵) ○
☞ 좌측을 바라보니 수구암(守口庵)이라는 고즈넉한 암자가 보인다. (2007년 2월 11일, 오후 2:31:36 상황)
☞ 정면에서 본 수구암(守口庵)의 모습이다.
☞ 수구암(守口庵) 앞 긴의자에 앉아 고목을 바라보면서 간식을 먹고 있는 산님의 모습이다.
※ 가야할 하산 길의 모습이다. → 뒤돌아 보니 산님이 주위을 관망하면서 시멘트 포장도로를 따라 내려오고 있다 → 산행로 좌측에는 산님들이 정성껏 쌓아 놓은 작은 돌탑들이 여기저기 보인다. → 산행로 우측에는 무참하게 잘려 나간 고목들이 야적되어 있다.
☞ 하산 길에서 내려다 본 보광사(普光寺) 경내의 풍경이다. 내원암도 멀리서 보인다.
☞ ‘소 찿는 집’ 에서 아래로 내려다 보니 법회를 마친 불자들을 공양할 음식을 짓느라고 권선각(勸善閣) 굴뚝에서 내뿜는 하얀 연기가 피어 오르고 있다. 이 풍광을 보고 있노라니 어릴 적 고향집 생각이 난다.
☞ 1999년에 창건되어 각종 법회를 열고 있는 권선각(勸善閣)의 모습이다. 전통찻집 도솔천(兜率川)과 종무소(宗務所)가 있다.
☞ 운치있는 보광사(普光寺) 담장 너머로 오늘 산행한 능선과 앵무봉(鸚鵡峰:622m), 고령산(古靈山:高靈山)을 뒤돌아 본다.
§ 산행날머리: 보광사(普光寺) 입구 §
※ 보이는 다리가 보광1교이다. 이 다리를 건너가면 보광사(普光寺) 제2주차장과 영묘암이 나타난다. → 산님들이 보광사(普光寺) 제1주차장을 향해 걸어내려 가고 있다.
☞ 보광사(普光寺) 입구에 있는 전신주와 키 큰 나무가 키재기를 하고 있는 듯하다.
※ 봄은 오고 있는가! 도로 좌측 동천(東川:계곡)의 응달진 곳에는 아직도 잔설이 남아 있다. → 파주시에서 세워 놓은 ‘조수보호구’ 안내판이 도로 좌측에 서 있다. → 보광사 제1주차장을 떠나면서 뒤돌아 본다. 유서 깊은 사찰 보광사(普光寺)를 참배(參拜)하고 덤으로 짧은 코스의 원점회귀(原點回歸) 산행을 즐길 수 있었다는 것에 대해 의미를 두고 싶다. (2007년 2월 11일, 오후 2:57:32 상황) → 고령산 보광사(普光寺) 일주문(一柱門) 옆에는 보광사(普光寺) 안내 대형입간판, 고령산 도솔암 안내판, 고령산 보광사(普光寺) 안내비석이 서 있다.
■ 유일레져 ■
§ 들머리: 도로 §
※ 보광사 일주문에서 우회전하여 도로를 쭉 따라 내려와서 소령원(昭寧園), 수길원(綏吉園) 가는 길(1k)을 버리고 직진하면 ‘유일레져’ 앞에 닿는다. 여기서 좌회전하면 ‘유일레져’ 이다. → ‘유일레져’ 대형 입간판이 나타난다. (2007년 2월 11일, 오후 3:05:02 상황)
○ 유일레져에서 ○
☞ 박달산을 끼고 앉은 수도권의 대표적인 4계절휴양지로 인기를 끌고 있는 ‘유일레져’ 의 모습이다. ▼
※ 도로 좌측에 ‘유일레져’ 안내도가 세워져 있다. → ‘유일레져’ 안내도의 모습이다.
○ 탐라 아일랜드 ○
☞ 탐라 아일랜드의 모습이다. ▼
☞ 호수를 낀 다양한 평수의 방갈로가 있는 탐라 아일랜드의 좌측 풍경이다.
○ 탐라목장 ○
※ 제주 조랑말을 타고 체험하는 곳이다.
○ 눈썰매장외 ○
☞ 슬러브 길이가 120m인 눈썰매장의 모습이다.
※ 제주 돌하르방의 모습이다. →제주 물허벅여인상이다.
※ 눈썰매장 가는 길에 ‘어린이보호구역 차량출입금지’ 안내판이 세워져 있다. 안내판 너머 연기가 나는 곳이 삼겹살 구워먹는 데예여... 한점 얻어 먹었는데 진짜진짜 맛 좋아요. → 상점에서 삼겹살을 사가지고 와서 즉석에서 구워먹는 맛이 일품이다.
※ 마차 옆에서 포즈를 취하고 모습이 추워 보이네요. → 모형 얼룩말을 타고 있는 어린이의 모습이 천진난만해 보이죠.
○ 점심 및 사우나 ○
☞ ‘유일레져’에서 늦은 점심을 먹으러 가는 길에 오늘 산행한 능선과 앵무봉(鸚鵡峰:622m), 고령산(古靈山:高靈山)을 바라다 본다.
※ 한우물 식당으로 늦은 점심을 먹으러 간다. → <유일천>에 들러 한라산녹차탕과 찜질방(황토·옥·수정·숯 찜질 등)에서 피로를 풀고 나오는 산님의 모습이다.
§ 날머리: 도로 §
※ ‘유일레져’에서 나오고 들어갈 때 반드시 통과해야 하는 유일교가 보이고 유일교 우측에 ‘파주에 오신것을 환영합니다’ 라는 안내판이 세워져 있다. (2007년 2월 11일, 오후 5:50:26 상황) → 박달산장 옆을 지나간다. → 현위치는 들빛길 입구이다. 좌측은 의정부, 양주(감사교육원) 가는 98번 도로이고 직진은 고양, 통일로IC, 고양동 가는 315번 도로이다. → 오늘 산행들머리인 보광사 입구이다. 여기서 좌회전하면 바로 보광사 일주문에 닿게 되고 직진하여 다리를 건너 올라가면 뒷박고개에 닿는다. 영조대왕이 보광사에 다니기 쉽게 “더 파서 낮추라”가 "더 파기 고개"가 되었다가 뒷박처럼 가팔라졌다 하여 “뒷박고개”가 되었다고 한다.
※ 직진은 서울특별시립 용미리1,2묘지공원 가는 도로이고 우측은 서울특별시립 벽제묘지공원 가는 도로이다. → 현위치는 벽제삼거리이다. 직진은 고양시청, 통일로IC, 고양동 가는 78번 도로이고 우측은 광탄, 용미리묘지(추모의 집) 가는 78번 도로이다. → 500m 더 가서 좌측은 의정부, 장흥 가는 39번 도로이고 통일로IC이다. 우측은 김포공항, 고양시청 가는 39번 도로이다. → 현위치는 혜음령로에 있는 고양동삼거리이다. 직진은 서울, 고양동 가는 78번 도로이고 좌측은 의정부, 고양시청, 통일로IC 가는 도로이다. (2007년 2월 11일, 오후 6:07:26 상황)
◈ 참고사항 ◈
더 많은 산행사진을 보고 싶은 회원님은 기본 앨범을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
첫댓글 말머리고개 송추유스호텔 거쪽으로 가삐네요
아는 아무것도 아니네요 하기야 아마추어하고 프로하고 차이가 엄청시리 나
는기 정상이지 괜하게 산행기 올리가지고 망신빨 서게시리 그동안 울님 
아가 올린것은 애고프로 였습니다 본프로 많이 감상하시고 독후감 올리시기 바랍니다 정말 
입니다 끝으로 통일 동산 아이씨 도로 마티즈 똥자바리 브레이크불 보고 마무리 하겠읍니다 
감하고 떡국 파는데가서 한그릇 사
아묵어야지 짐밥천국가서..아이구 불쌍해라 
아..
설날에 고향 가셨다면 가고 오시느라 정말 눈코 뜰새 없이 바빴을텐데 빌보드 챠트 순위 1위에 장문의 댓글
아 놓으시고 게시한 산행기를 삭제한 난동(
)으로 보아 설날에 뭔일 있었는가 봐요
거기다 떡국 파는데 가서 한그릇 싸먹을 형편이면 진짜루
진짜루 “아이구 불쌍해라 
아”라는 소리가 나올만 합니다. 설 거꾸로 새셨습니까
이게 어찌된 일인가여...울 님들
2005년 한글날 말머리고개에서 11시45분에 산행을 시작하여 수리봉, 앵무봉, 도솔암, 보광사 일주문를 거쳐 됫박고개에 15시47분에 산행을 마무리하고 불광동 시외버스터미널행 33번 버스를 타고 연신내역에서 내려서 한잔 꺽은 기억이 새록나는 산행기를 접하게 되었네요. 다녀온 코스와 비교해 보니 상세할 뿐만아니라 정보가 가득한 산행기라는 것을 금방 느낄 수가 있군요. 아
정말 멋진 산행기 잘 보고 갑니다.^*^
2년 전 다녀 오신 코스와 시간을 그리도 정
히 알고 계시니 정말 대단하십니다. 아마 그날 한잔 꺽으시면서 무슨 좋은 일들이 많아 정
히 기억을 하고 계시나 봅니다. 기억이 새록새록 나는 산행은 아주 아주 재미난 일이 있었던지 아니면 고생을 아주 많이 했던 경우이니까요. 그래서 여쭈어 본 것입니다.(죄송) 고향 다녀 오시느라 댓글 다실 시간적 여유가 없었을텐데 늦은 시간에 한번도 아니고 두번씩이나 칭찬의 댓글 남겨 주고 가셔서 넘 감사합니다.
역시 산행기=요산님, 요산님=산행기 즐감하고 갑니다 유일 레져네에 있는 유일전자(동부전자)가 1차밴더라서 업무차 들렀다가 보광사에 몇번 가본 기억이 납니다 물론 부근에 몇몇 술집하고요....
엇갈리던 울 님들의 댓글이 모처럼만에 칭찬 일변도의 댓글 릴레이 같아서 이상해질라꼬 합니다. 유일레져, 보광사, 특히 그 부근의 술집들은 샹그리라님과 특
한 인연이 있는 곳이군요. 아드님 면회하시고 혼자 오실 때 술 한잔 생각 나셨죠
마음 편히 한잔 드십시요. 수고하셨습니다.
고령산 후기를 실감나게 자상히도 올려주셨네요. 하루를 함께 한것처럼 느껴집니다. 고운 글 잘 보고 갑니다. 좋은 날 되시고요 언제 번개치시나여...ㅎㅎ*^^* 감사합니다.
후기라고도 할 수 없는 졸작에 대해 지나칠 정도로 칭찬의 댓글을
아 주셔서 참으로 
럽습니다.
가벼운 사람이 과칭에 우쭐거리며 기고만장 널이라도 뛰면 어쩌시려구요.
조만간 파주, 양주 부근에서 
가 떨어질 것 같습니다. 기대하세여...
산행기 즐감 했습니다. 지는 그날 3/18일 거사를 앞두고 90여리를 3시간 반정도를 달리고 왔습니다. 거사를 끝내고 몸을 좀 추스리고 꽃피는 봄날에는 산행을 같이한번 할 수있도록 노력 하겠습니다. 들판이 아닌 산속의 맑은 공기도 마시면서~~~~ ^^-^^^
바쁘신데도 불구하고
감하셨다니 마음의 여유가 있어 좋습니다. 
거사명이 창선ㆍ
천포대교 개통기념 제5회 전국하프마라톤대회입니까
제10회 서울 마라톤 대회입니까
그 동안 열심히 띰박질하셨는데 성적이 어떻게 나올지 궁금하네요.
3월 초순경에 봄맞이 전남 광양 백운산 산행 후 고로쇠 약수도 한잔 마시고 다압면 섬진강변 매화(섬진)마을에서 매화의 향과 멋을 

뻑 느껴보고 올까 합니다.
매화
은 벌써 
망울을 터
기 시작했다고 하니 
천포대교 공원에서 
드렁크 차림으로 논실 
점까지 
려와서 백운산 산행을 함께 하심이 어떠실런지...
3/4일은 제10회 서울마라톤대회고요, 3/18일날은 동아서울국제마라톤대회라서 동행을 못할것 같습니다. 죄송합니다 ^^-^^
얼마 남지 않은 기간에 컨디션 조절 잘 하셔서 올 시즌에 좋은 기록 세우시길 기원합니다.
자세한 산행기록에 못가본산 구경잘하고 갑니다 요산님 덕분에 전국명산 안저서 감사아 합니다 언제나 안산하시길 바랍니다,
주말이면 회원님들을 모시고
·
산행을 리더 하시느라 얼마나 수고가 많으십니까
늘 성원 보내 주셔서 감사드리고요 허접한 산행기지만 보시고 댓글만 많이 
아만 주신다면 앉아서 편히 보셔도 좋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