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삼산우회 12월 산행 안내 및 정기총회.
백삼산우회원님 안녕하십니까.
壬寅年 산행도 이제 마지막 입니다. 한해 동안 회원님 감사했습니다.
즐거운 크리스마스와 송년을 함께 합시다.
*. 산행지: 죽곡 댓잎 소리길- 강정대 전망대- 죽곡산 모암봉(195.7m)
*. 날짜 : 2021. 12. 25 오전 9시
*. 등산 코스:
♡.A코스: 강창체육시설- 죽곡 댓잎소리길- 죽곡산 모암봉(195.7m)- 강정대 전망대-
정기총회및 점심식사- 강정보 디아크- 죽곡 댓잎소리길 (약 6.3Km. 3시간30분소요)
♡.B코스: 강창체육시설- 죽곡 댓잎소리길- 죽곡산- 강정대 전망대 - 정기총회및 점심식사-
강정보 디아크- 죽곡 댓잎 소리길 (약 5.5Km. 3시간30분)
*. 모임장소: 법원 주차장에 오전 9시까지
*.산행시간: 3시간 30분 (휴식포함) 여유롭게..
*. 바로 오실분: 강창체육시설로 오전 9시 50분까지 오십시오.
(법원주차장에서 강창체육시설까지 약50분 소요 됩니다.)
*. 산우회 카톡방에 참석 여부와 법원주차장으로 오실분, 강창체육시설로 바로 가실분 확인해 주십시요.
점심식사 예약, 차량지원 관계 입니다.)
*. 각자 준비물: 간단한 간식 및 음료수... 등
*.죽곡 댓잎소리길: 대나무숲길 약 800m, 대나무 약 8,000 본
■. 참고: 네비 주소
1.강창체육시설 : 대구시 달성군 다사읍 매곡리 124-1
2: 점심식당(만파식적): 대구시 다사읍 강정길 13
(다사읍 죽곡리 702-5)
T: 053- 592- 6060
2022년 12월 10일
백삼산우회 회장 최두호
#.죽곡산(竹谷山): 죽곡산[195.8m]은 달성군 다사읍 죽곡리와 매곡리에 걸쳐 솟아 있으며, 낙동강과 금호강 합류점에서 약 1㎞ 상류인 낙동강 좌안에 위치해 있다.
2003년에 명칭이 제정된 죽곡산(竹谷山)은 옛날부터 대나무가 많다고 하여 죽곡산이라고 불렸는데, 지명 유래지를 보면 재미있게도 '죽곡(竹谷)[대실]' 지명의 유래가 죽곡 산성의 축조와 함께하고 있는 것으로 나온다. 즉, 마을의 뒷산에는 신라가 가야의 침략을 막기 위해 축조한 개성[狗城]이 있고, 성의 군사들이 전쟁 때 쏠 화살을 만들기 위해 산에 대나무를 많이 심었다고 하는데 그것이 '대나무 골짜기'라는 뜻의 대실, 죽곡으로 이어졌다는 것이다.
죽곡산은 연화산이라고도 불리며 가장 높은 봉우리는 취모봉(醉帽峯) 또는 모암봉(帽巖峯) 이라고도 한다. 취모봉은 주로 매곡리에서 불렸던 지명으로, 술에 취한 사람이 모자를 쓰고 조는 것 같다고 하여 붙은 이름이고, 모암봉은 주로 죽곡리에서 불린 지명이다.
지도에는 죽곡산으로 표기되어 있으나 실제로 산 정상석에는 모암봉으로 표기되어 있다. [출처] 한국학중앙연구원 - 향토문화 전자대전 |
A코스 죽곡산 모암봉 정상에있는 정자..
B코스 강정대 전망대
죽곡댓잎소리길
*.주의 강정대체육공원 주차장 들어가는길..
주의해서 참고 지도를 잘 보세요....
네비에 강창체육시설 주차장은 안나오고 주소를 입력하셔서 가시다가 강창교를 지나자
강창교끝에서 우회전하여 바로 강변 둔치로 내려가는 길로 내려가야 체육시설 주차장이 있읍니다.
조심하세요! 잘못하여 우회전하여 바로가면 대구외곽 순환고속도로 들어 갑니다.
중간에 둔치로 내려가는 길이 없습니다.
조심! 조심! 하세요.
낙동강과 금호강이 합류하는 지점인 강정보의 4대강문화관 디아크(The ARC)는
하늘로 비상할 듯한 위용을 내뿜는 건축물로 유명하다.
뉴욕에 거점을 둔 세계적인 건축사무소 아심토트(Asymptote)의 공동대표 하니 라시드(Hani Rashid)가
디자인한 디아크 구조는 수면 위로 뛰어오르는 물고기, 우리 전통 도자기 막사발,
수면에 돌을 튕기면 점점이 연결되는 물수제비 등에서 영감을 받아서 탄생했다.
디아크(The ARC)는
하늘, 지구와 문화에 대한 우아하고 기하학적인 접근과 강 문화의 모든 것을 담는 건축물과 예술품으로서의
Architecture of River Culture 및 Aristry of River Culture 를 의미한다네요.
디아크라는 이름이 많은 뜻을 담고 있어요!
정심식당 만파식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