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995년 영천군과 통합시를 이루었다. 중앙선·대구선과 경부고속도로가 지나는 교통의 요충지이며, 군사도시에서 상공업도시로 변모·발전하고 있다. 사과의 주산지이며, 최근에는 근교농업지역으로도 발전하고 있다. 금호읍·고경면·청통면·신령면·화산면·화북면·화남면·자양면·임고면·북안면·대창면·문외동·조교동·망정동·야사동·언하동·신기동·문내동·창구동·과전동·교촌동·성내동·화룡동·오수동·쌍계동·완산동·금로동·도동·범어동·작산동·봉동·도남동·본촌동·채신동·괴연동·대전동·오미동·녹진동·도림동·매산동·서산동 등 1개읍 10개면 30개동이 있다. 시청소재지는 문외동이다. 면적 919.46㎢, 인구 113,807(2003), 인구밀도 123.7/㎢(2003).
연혁
삼국시대에 신라의 절야화군(切也火郡)이었다. 신라의 삼국통일 후인 757년(경덕왕 16)에 임고군(臨皐郡)으로 개칭하고 영현으로 도동현(道同縣)·임천현(臨川縣)·장진현(長鎭縣)·신령현(新寧縣)·맹백현(白縣)을 관할했다. 고려초인 940년(태조 23)에 도동현과 임천현을 병합하고 영주(永州)로 이름을 바꾸었으며, 995년(성종 14)에 자사(刺史)가 파견되었다. 1018년(현종 9)에 경주의 속현이 되었다가 1172년(명종 2)에 감무를 둠으로써 독립했으며, 뒤에 주(州)로 승격했다. 1413년(태종 13) 조선초의 군현제 개편 때 영천군이 되었다. 영천의 별호는 익양(益陽)·영양(永陽)이었다. 지방제도 개정에 의해 1895년(고종 31)에 대구부 영천군, 1896년에 경상북도 영천군이 되었다. 1914년 군면 폐합에 의해 영천군의 20개면이 10개면으로, 신령군의 4개면이 2개면으로 통합되어 영천군에 편입되었다. 이때 내서면·내도면·완산면·우곡면이 합해 이루어진 영천면이 1937년에 영천읍으로, 1973년에 금호면이 금호읍으로, 1986년에 화북면 삼창출장소가 화남면으로 승격되었다. 영천읍은 1981년에 시로 승격·분리되었다. 1995년 실시된 전국행정구역개편으로 전형적인 농촌지역이던 영천군과 중심도시기능을 담당해왔던 영천시가 통합되어 새로운 형태의 도농통합시인 영천시를 이루었다.
자연환경
시의 전체적인 지세는 완전한 분지 형태를 이루고 있다. 북쪽과 동쪽은 태백산맥의 지맥이 뻗어내려 화산(華山:828m)·방가산(方可山:756m)·보현산(普賢山:1,124m)·수석봉(水石峰:821m)·운주산(雲住山:806m)·도덕산(道德山:703m)·천장산(天掌山 : 695m)·어림산(510m) 등의 산들이 솟아 있고, 서쪽에는 화강암질의 팔공산(八公山 : 1,192m) 지리와 태실봉(胎室峰 : 466m)이, 남쪽에는 침식에 강한 분암류로 이루어진 금박산(432m)·구룡산(九龍山 : 675m)·사룡산(四龍山 : 685m) 등이 솟아 있다. 갑령·노고재·시티재·땅고개 등의 고개는 예로부터 주요교통로로 이용되어왔다.
이 지역의 주요하천으로는 동부와 남부를 남서류하는 금호강과 남부를 서류하는 북안천(北安川), 북부에서 남류하는 고현천(古賢川), 중앙을 서류하는 고촌천(古村川), 서부를 남동류하는 신령하천(新寧河川) 등이 있다. 이들 하천은 영천시에서 금호강에 합류하여 유역에 넓은 충적평야를 이루고 있다. 시가지는 금호강을 중심으로 북안에 구시가지가 자리잡고 있으며, 남안에 신시가지가 조성되어 있다.
내륙분지인 이 지역은 전형적인 대륙성기후의 특색을 나타내 기온의 연교차가 심하고, 강수량이 전국 평균에 못미치는 우리나라의 대표적인 소우지역이다. 연평균기온은 12.2℃ 내외, 1월평균기온은 -1.5℃ 내외, 8월평균기온은 25.2℃ 내외이며, 연평균강수량은 982.1㎜ 정도이다.
인구
통합전 영천군의 인구는 1965년 15만 7,278명을 정점으로 이후 꾸준히 감소했다. 1965~75년에 15%의 인구감소율을 보였으며, 1981년에 영천읍이 영천시로 승격·분리됨에 따라 1975~85년 10년 동안 약 35%의 높은 인구감소율을 보였다. 1991년에는 전입이 6,888명, 전출이 1만 177명으로 전출이 1.5배 정도 많았다. 전출인구 중 59%가 도외전출이었으며, 대부분 인접한 대구광역시로 이동했다. 한편 통합이전 영천시는 1953년 이래 시가지 내에 군부대의 탄약창이 들어서면서 군사도시로서 꾸준히 발전했다. 1960년 3만 9,192명, 1970년에 4만 9,649명으로 1960~70년에 26.7%의 인구가 증가했으며, 1970~80년에는 16.1%의 인구증가율을 보였다. 1980~85년에는 인구의 증가와 감소가 반복되었으며, 1985~89년에 다시 지속적으로 인구가 증가해 4.4%의 증가율을 나타냈다. 그러나 1990년 4만 8,890명으로 1989~90년 1년간 12.0%가 감소했다가, 1991년 다시 증가하기 시작하는 등 인구의 변동이 심했다. 1995년 영천군과 통합되어 시의 인구가 12만 4,001명이 되었고, 1996년에는 12만 3,022명으로 약간 감소했다. 인구분포를 행정동별로 보면 읍·면지역에 시 전체인구의 55.3%(81명/㎢)가 거주하며, 동지역에 44.7%(686명/㎢)가 거주하고 있다. 금호읍(1만 3,450명)과 동부동(2만 63명)에 비교적 많은 인구가 거주하고 대전동(1,259명)에 가장 적은 인구가 거주한다.
산업·교통
오랜 역사를 지닌 지방중심지, 교통 및 군사적 요충지, 배후농업지역의 농산물 집산지였으나, 최근 대구·포항·구미와 가까운 지리적 이점을 살려 내륙공업단지로의 변화를 꾀하고 있다. 총경지면적 176.2㎢ 가운데 논이 106.7㎢, 밭이 59.4㎢로 논이 많으며, 경지율은 19.2%이다(1995). 전체가구 중 농업가구는 40.6%를 차지한다. 비가 적은 지역으로 가뭄피해가 잦았으나 1980년 자호천에 저수량 9,640만t의 영천 댐이 준공되어 관개사정이 원활해졌다. 금호평야가 대표적인 평야이며, 임고면의 풍락제, 화산면의 당곡지 등 크고 작은 저수지들이 있다.
대구광역시에 인접해 있고, 교통이 편리하여 대구시의 근교농업지역으로 변모하고 있다. 주요농산물은 쌀·보리와 사과·복숭아·잎담배·고추·마늘 등이다. 사과는 주로 금호강 양안의 하천부지에서 생산되며 구릉지에서는 산능금이라는 사과가 생산되고 있다. 복숭아는 대구·경주 등 인근도시에 출하되는데 대창면·총통면·화남면 등지로 그 재배면적이 급격히 늘고 있다. 이밖에 고경면·북안면·임고면·화남면의 누에고치, 화북면의 고추·토마토, 신령면의 양파, 임고면의 딸기 등이 유명하다. 특히 신령 양파는 일본에까지 이름이 알려져 있다. 낙농업은 대창면과 북안면의 경사가 낮은 지역에서 주로 이루어지고 있다. 시내에는 총 254개소의 광공업체에 9,635명의 종업원이 일하고 있다. 특히 망정동·언하동에 위치한 망정갑을협업단지 내에는 24개소의 공장이 있으며, 이곳에는 병마개를 생산하는 삼화왕관 영천공장과 영천담배원료공장 등의 비교적 규모가 큰 공장이 있다. 1990년에 조성된 본촌동의 농공단지에서는 대부분의 업체들이 자동차부품을 생산하고 있다. 또한 도남동에 약 33만㎡ 규모의 농공단지가 조성되어, 현재 20개의 업체가 입주해 있다. 화산면·고경면·북안면·신령면의 농공단지에는 입주업체가 많지 않다. 상업활동은 정기시장인 완산동의 신시장과 중앙동의 연매시장을 중심으로 이루어지고 있는데, 이 지역이 국토의 권역상 대구권에 속해 농산물을 집산하는 유통 센터로서의 기능이 탁월하다. 구시가지는 문내동, 신시가지는 완산동을 중심으로 모여 있다. 5일 정기시장으로는 연청장·신령장·금호장 등이 있다.
예로부터 내륙교통의 중심지로 발전했다. 중앙선이 시를 북서-남동 방향으로 지나고, 영천역에서 분기한 대구선이 시의 남서부를 통과한다. 경부고속도로가 시의 남부를 지나고, 대구-경주, 의성-포항, 양산-안동을 잇는 국도가 교차한다. 대구까지는 30분 정도, 서울까지는 3시간 30분 정도 소요된다. 도로총길이 413.8km, 도로포장률은 81.7%이다(1995).
유물·유적·관광
국가지정문화재(국보 1, 보물 14, 중요민속자료 4), 도지정문화재(유형문화재 22, 기념물 5, 민속자료 3), 문화재자료 9점이 있다. 선사시대 유적으로 신령면 완전리 선돌, 대창면 조곡리 고인돌, 금호읍 어은리 청동기유적지 등이 있다. 산성으로는 금강산성·치산성지·백암성지 등이 있으며, 삼국시대의 고분 33기가 밀집해 있는 영천고분군이 있다. 통일신라시대 유적으로 수리사업에 관한 자료를 담고 있는 영천청제비(보물 제517호)와 인공못인 청못이 있다.
불교문화재로 청통면의 은해사거조암영산전(국보 제14호)·은해사백흥암극락전(보물 제790호)·은해사운부암청동보살좌상(보물 제514호), 자양면의 거동사대웅전(경상북도 유형문화재 제137호), 금호읍 영천신월동3층석탑(보물 제465호), 신령면 영천화남동3층석탑(보물 제675호) 등이 있다. 불상으로는 임고면의 영천선원리철불좌상(보물 제513호), 신령면의 영천화남동석불좌상(보물 제676호) 등이 있다.
유교문화재로는 성내동의 숭렬당(보물 제521호), 공자의 위패를 모신 교촌동의 영천향교대성전(보물 제616호), 신령면의 신령향교대성전(경상북도 문화재자료 제102호), 자양면의 생육신 이경은선생부조묘(경상북도 유형문화재 제53호) 및 제단(경상북도 유형문화재 제54호), 임고면의 임고서원(臨皐書院:경상북도 기념물 제54호)과 대창면의 도잠서원(道岑書院:경상북도 문화재자료 제100호), 오미동의 석현서원, 과전동의 창대서원 등이 있다. 건축물로는 임고면의 동린각(東麟閣:경상북도 유형문화재 제77호), 영천정재영씨가옥 및 산수정(중요민속자료 제24호), 영천정용준씨가옥(중요민속자료 제107호) 등이 있으며, 자양면의 강호정(江湖亭:경상북도 유형문화재 제71호)·오회공종택(五懷公宗宅)·삼휴당(三休堂:경상북도 유형문화재 제75호), 금호읍의 영천만취당(永川晩翠堂:중요민속자료 제175호), 야사동의 귀래정, 대전동의 양계정사, 녹전동의 오인정·북계영당, 창구동의 영천조양각(경상북도 유형문화재 제144호), 대전동의 호수종택(경상북도 유형문화재 제90호) 등이 있으며, 조양각에는 포은(圃隱)의 청계석벽시(淸溪石壁詩)와 70여 점의 명현달사 유운(遺韻)이 보존되어 있다.
그밖의 유물로는 조선 숙종 때의 학자인 이형상(李衡祥)의 저서인 〈병와유고 甁窩遺稿〉(보물 제652호)와 병와이형상유품(甁窩李衡祥遺品:중요민속자료 제119호), 안증이 후학을 가르치던 완구정(玩龜亭:경상북도 민속자료 제20호), 신령면의 권응수장군유물(보물 제668호), 북안면의 박노계집판목(경상북도 유형문화재 제68호) 등이 있으며, 대전동에는 이보흠유허비가 있다.
팔공산도립공원을 비롯하여 산세가 수려한 산들이 시를 둘러싸고 있고, 금호강이 시의 중앙을 흐르고 있어 관광명소가 많다. 팔공산도립공원내에는 은해사·운부암·백홍암·갓바위·안흥폭포 등이 있으며, 그밖에도 신령면의 수도사폭포, 위장병과 고혈압에 좋다는 고경면의 황수탕, 자양면의 영천댐 등의 명소가 있다. 중심시가지에는 창구공원과 완산공원이 있으며, 교촌동 마현산의 마현공원에는 6·25전쟁 전적비와 충혼탑, 2km의 산정로가 있다.
교육·문화
전통 교육기관으로는 교촌동에 영천향교, 성내동에 위양공사(威襄公祠), 과전동에 창대서원, 대전동에 세덕사(世德祠), 녹전동에 북계영 당, 쌍계동에 구인사(求仁祠)를 비롯해 신령향교·임고서원·송곡서원·용계서원·도계사 등이 있었다. 근대 교육기관으로는 사립영흥학교(지금의 영천초등학교)가 1908년에 설립되었으며, 1912년에 신령학교, 1927년에 영천공립농업보습학교(지금의 영천중학교)와 1938년에 녹전간이학교(지금의 영북초등학교)가 각각 설립되었다. 1995년 현재 교육기관은 유치원 39개소, 초등학교 31개교, 중학교 16개교, 고등학교 9개교가 있다.
영천문화원에서는 1982년부터 해마다 영천문화제를 주관하는 등 지역문화 발전에 노력하고 있다. 이 문화제에서는 한글·한시백일장, 청소년음악제, 연극제, 전시행사 등의 각종 문화행사가 펼쳐진다. 그밖에 문화시설로는 390석 규모의 영천시립도서관, 영천민속관, 영천시민운동장이 있다. 이 지방의 민속놀이로는 줄다리기·고싸움·석전 등이 있으며, 전승되는 설화로는 〈용마바위전설〉·〈요도와 무리미산의 전설〉·〈사모산전설〉·〈청못전설〉·〈불집골전설〉·〈천연수전설〉·〈오백나한상전설〉 등이 있다. 민요로는 〈모내기소리〉·〈어사용〉등이 있으며, 박인로의 〈노계가사〉, 조우각의 〈창헌가사〉, 조병무의 〈학고가사〉 등 가사(歌辭)가 많이 전해져 민요처럼 불려지고 있다. 1995년 현재 종교기관으로는 개신교 교회 100개소, 천주교 교회 12개소, 불교 사찰 90개소, 유교 교당 2개소, 원불교 교당 1개소가 있다. 의료기관으로는 오수동에 종합병원인 영천성베드로병원과 의원 30개소, 치과의원 15개소, 한의원 19개소, 보건소 관련 의료기관 26개소 등이 있다. 사회복지시설로는 작산동에 영천희망원과 화산면에 장애자 복지시설이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