게시글 본문내용
|
다음검색
Madam(마담)과 Register(레지) 이야기 나이 60~70대 후반이 지난 사람치고 옛날 다방에 잊지 못할 추억 이 한 자리 없는 사람 있을까요. 당시의 다방에는 낭만도 있었 고, 남자의 자존심도 있었고, 사랑도 있었고 눈물 쏟아내는 이별 의 장이기도 했었다. 가끔 열리는 국가대표 축구경기의 단체 관람 장이기도 했으니 그 당시 다방은 ‘한국적 명물’로 어른들의 사랑방, 대학생의 만남 방, 직장인의 휴식 공간, 동네 한량들의 아지트였으며, 데이트와 맞선 공간, 가짜 시계 등이 거래되는 상거래 공간, 음악 감상 공간 등 '거 리의 휴게실'이자 만남의 장소 역할을 톡톡히 했다. 1945년 해방 무렵 서울에 60개 정도의 다방이 있었고, 1950년대 말 엔 1,200개로 늘었다고 하는데, 1990년대 후반 들어 커피전문점 ‘ca fe(카페)’로 대변되는 원두커피 전문점이 부흥하기 이전인 30년간 다방은 한국 문화를 이끌며 전성기를 구가 했다. 본격적 음악 감상실이 생겨나기 전까지 항구도시 부산의 광복동과 남포동에도, 대구 반월동에서 동성로를 거쳐 대구역으로 이어지는 큰 길, 골목길에도 우후죽순처럼 다방이 마구 생겨나고 있었다. 작은 부스에 DJ가 들어 앉아 김추자 노래도 송창식의 고래사냥, 팝 송도 틀어주면서 때로는 “양복점 이사장님! 카운터에 전화 왔습니 다.”는 소식도 들려주었으니 음악실의 역할까지 하면서 “읍내다방” "향촌다방" "심지다방'' "수다방" "왕비와 왕다방" "황금다방" “중앙 다방”에서 서서히 이름이 바뀌어 “송죽다방” “준(JUN)다방” “뉴욕다 방” 까지, 한 시대를 풍미했다. 젊은 청춘을 위한 시내 중심가를 벗어난 다방은 카운터에 중년 여 성인 ‘마담’이 앉아있고 ‘레지’(영어로 lady)라고 불리는 젊고 예쁜 아가씨들이 커피를 날라주는 동안에 구슬픈 뽕짝가락이 손님들의 가슴을 저윽히 적셔주는 그런 형태였다. 그 당시 사람치고 시골 읍내는 말할 것도 없고 시내 중앙통에 있는 다방의 마담이나 레지와의 사연 하나 없는 사람도 없을 것이다. 아 무런 목적도 없이 그냥 노닥거리며 시간을 보내려고 주막에서 세련 된 다방으로 가는 사람도 많았다. 다방에 들어서면 낯익은 마담과 레지가 경쟁하듯 환하게 맞아줬고 손님이 자리에 앉으면 어김없이 옆자리에 살포시 앉으면서 속보이 는 친절을 떨었다. 손님들은 오랜만에 만난 친정 오빠보다 더 정겹게 팔짱을 끼며 애 교까지 부리는 그 분위기를 우쭐하며 즐겼으니. "커피 한 잔 가져 와" 하는 손님의 주문이 떨어지자마자 "저도 한 잔하면 안 될까요?" 가 곧바로 이어졌고 그 상황에서 "NO!"는 존재하지 않았다. 70년대 후반 들어 야쿠르트로 바뀌기도 했지만. 요즘이야 맹숭커피 한 잔에도 돼지 국밥 한 그릇 값을 지불 하지만 그 당시 커피 한잔 은 실없는 농담에 가벼운 신체접촉 권한(?)까지 주었으니 참으로 옹 골진 값어치였던 셈이다. 분위기가 넘어왔다 싶으면 마담이나 레지의 "우리 쌍화차 한 잔 더 하면 안 될까요?"라는 비싼 차 주문이 발사되고 여기에도 무조건 "NO!"는 거의 없었다. 그 시절 그렇게 분위기가 익어가는 것이 뭇 사내들의 멋이었고 낭 만이기도 했지만 마담이나 레지에게는 매출을 올려 주인에게 좋은 평가를 받는 인사고과였으니, 그런 손님과 레지의 의기투합은 나중 에 티켓 다방으로 발전하기도 했지만 그 당시 인기 레지는 거의 연 예인 대접을 받았던 것 같다. 어느 다방에 멋진 레지가 새로 왔다는 소문이 들리면 그 다방에는 한동안 문전성시를 이루곤 했는데 레지가 인기를 누렸던 현상은 그 시대를 대변하는 특이한 풍경이기도 했다. 60~70년대의 다방에서는 커피라고는 한 종류만 있었기에 손님들 은 그냥 ‘커피’를 주문하면 되었다. 하기야 미국에서도 초기에는 우 리와 비슷해서 모든 종류의 커피를 그냥 조(Joe)라고 불렀으며 한 잔의 커피란 뜻의 ‘한 컵의 조’(a cup of Joe) 라는 숙어도 있었다. 다방이 아닌 요즘의 커피전문점 카페에서 커피 메뉴판을 보면 커피 종류가 다양하고 그 이름이 하나같이 복잡하고 어렵다. Espresso(에스프레소)는 ‘진한 커피’로, Americano(아메리카노)는 ‘연한 커피’로, Caffe Latte(카페라떼)는 ‘우유 커피’로, Cappuccino (카푸치노)는 ‘거품 커피’ 등으로 불러지면 좋을 텐데.... 다방에서 카 페로 세월 따라 이름도 변해감에, 한 때 옛날 다방을 주름잡던 청춘 에게 나이만큼 서글픔이 몰려온다. 제과점의 patissier(파티시에) 수준을 알고 싶으면 빵의 기본인 단팥 빵과 크림빵을 맛보면 되듯이 Espresso와 Americano를 마셔보면 그 카페 barista(바리스타)의 수준을 알 수 있다고 한다. 커피원두(생두) ‘Coffee’란 잘 익은 Coffee 열매를 건식법이나 습식법으로 가공하여 parchment(파치먼트) 상태의 씨앗을 만든 뒤 탈곡하여 만들어진 생 두를 볶은 원두를 grinder(그라인더)로 갈아 물로 추출해 만든 음료 이다. 커피는 커피콩과 물의 온도 추출법에 따라 맛이 달라지며 커 피의 기본은 Espresso이다. ‘커피콩’의 원산지는 에티오피아의 고원지대이며 세계적으로 커피 가 생산되고 있는 지역은 남위 25도부터 북위 25도 사이로 이 지역 을 ‘Coffee zone(커피 존)’ 또는 ‘coffee belt(커피벨트)’라고 부른다. 일반적으로 고지대 일수록 고급 품종의 커피가 생산된다. 이에 해 발 600m 이하 지역에서는 instant coffee(인스턴트커피)나 공업용 원료로 사용되는 ‘Robusta(로부스타)’ 품종이, 800m 이상의 지역에 서는 원두커피용으로 사용되는 양질의 ‘Arabica(아라비카)’ 품종이 생산된다. 키가 3~4m인 커피나무 한 그루는 1년간 6,000송이 이상의 새하얀 꽃을 피워낸다. 흰 꽃잎이 5장인 커피 꽃은 개화기에는 커피 밭에 함박눈이 내린 듯 장관을 이룬다. 커피 꽃은 ‘언제나 당신과 함께' (Always be with you)라는 꽃말을 갖고 있다. 한 잔의 커피에는 반드시 꽃향기가 있으므로 꽃향기가 풍성한 커피가 좋은 커피라고들 한다. 그러나 요즘의 다양해진 커 피 맛과 향이 옛날 다방의 낭만적인 커피 맛보다 더 낫다고 누가 말 할 수 있겠는가? 모닝커피라며 족보에도 없는 계란 노른자까지 곁들였으니, 커피를 한잔하고 마담과 레지의 환송을 받으며 다방 문 나설 때의 우쭐해 지던 커피 맛 외의 또 다른 그 맛을 요즘 사람들이 알 수 있을까? 영화도 흘러간 영화가 정겹고 가슴에 와 닿듯이 커피도 옛날 다방 의 커피 맛이 한결 감미롭게 느껴진다. 나는 무슨 뜻인지도 모르는 요즘 아이돌 노래들을, 요즘 젊은이들 이 내 나이 되었을 때 청춘 시절을 회상하며 “그 때는 방탄소년단 노래가 참 좋았는데”라고 할까 하는 의문도 가져본다. 허긴 우리 부 모님들도 남인수, 고복수 노래만이 노래였고, 김추자, 송창식 노래 는 소음일 뿐이었겠지만! 양장을 걸치고 카운터에서 무게 잡던 김 마담과 미니스커트를 입고 아양 떨던 미스 박이라는 레지는 지금쯤 뭘 하고 있을까? 그들도 그 시절을 그리고 있을까? 지금 이 글을 읽고 있는 당신도 한가지 의 추억쯤은 꼭 있을 것 입니다. - 옮긴 글 - 커피나무 |
You Are The Reason - Calum Scott - Cover by Daryl Ong & Morissette Amon
|
첫댓글 ㅎㅎㅎㅎ 그런 때가 있었지요.
그때 진마담.... 송양, 정양, 윤양....
건강하고 풍요롭고 행복하게 사시기를 진심으로 기원합니다....
안녕하세요
은솔 님 !
고운 방문길 흔적
주셔서 감사합니다~
장마와 무더위에
건강 유의하시며,,
오늘도 좋은
하루보내세요
~^^
좋은글 감사 합니다
반갑습니다
고운 걸음으로
방문글 남겨주셔서
감사합니다~
사랑과 기쁨이 함께하는
행복한 하룻길보내세요
동트는아침 님!
Madam(마담)과 Register(레지) 이야기
망실봉님 감사히 즐감 합니다
고맙습니다^^
반갑습니다
핑크하트 님!
다녀가신 고운
흔적 남겨주셔서
감사합니다~
기쁨이 함께하는
좋은 하루보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