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 곁에서 곤히 자고있는 강아지를 보고있으니, 과연 강아지는 인간과 함께 있을 때 행복하다고 느낄까 질문이 생겼다. 야생에서 자유롭게 살아가는 것이 더 행복한데, 나의 욕심 때문에 데리고 있는 것은 아닌가 하는 죄책감도 들었다. 이러한 질문은 과거에도 종종 스스로에게 던지곤 했는데, 그때마다 답을 찾지는 못했다. 그저, 행복하다고 느끼길 바라야지 하고 말았다. 한번은 아주 운좋게 내가 평소에 존경하던 동물행동학자인 최재천 교수님의 강연을 듣게 되었다. 강연 마지막 즈음 질문시간에 내가 ‘정말로 강아지는 인간과 함께 있을 때 행복함을 느낄까요?’ 라고 물었다. 교수님의 답변은 먼 과거엔 개라는 동물은 야생동물이었지만, 인간과 함께 생활하는 것에 이득이 더 많았으므로 스스로 인간을 택한 것이라고 했다. 그러한 본능이 유전자 속에 들어가 있으니 너무 죄책감을 가지지 말라고 했다. 하지만 나는 그 말에 쉽게 수긍 할 수는 없었다. 그것이 실제로 진실인지, 그저 인간의 이기심이 꾸며낸 하나의 ‘변명’인지 구분이 가지 않았기 때문이다.
반려동물의 입장에서 생각해보자. 산책을 나갔을 때, 마음같아서는 당장 자신을 옭아매는 목줄을 끊고 저 멀리 들로 뛰쳐나가 혼자 살고 싶을 수도 있다. 다양한 맛이 나는 음식을 맘껏 먹고 싶지만, 인간이 주는 매번 똑같은 맛과 양의 사료를 먹을 수밖에 없는 것일지도 모른다. 나는 이러한 모든 것이 인간의 욕심과 이기심이 만들어낸 결과이고, 동물들은 너무나 착해서 인간들을 봐주고 있는 것일지도 모른다고 생각한다. 책 「동물농장」에서처럼 동물들이 인간을 몰아내고 집을 차지해 살고 싶을 수도 있다. 하지만 그들은 그렇게 하지 않는다.
인간은 이기적이면서도 이타적이다. 자신의 행복과 만족을 위해 동물과 함께 살아가고 있고, 그 동물에게 큰 사랑을 주며 잘 챙겨준다. 반려동물의 질병을 예방하고자 그들의 성(性)을 중성으로 만들어버린다. 자신의 만족을 위해서라면 몇 년간 같이 살던 반려동물을 길가에 버리고 새롭고 귀여운 새끼동물을 다시 데려올 수 있는 용기를 가진 것이 인간이다. 최상위 포식자 자리에 있는 인간이 두려워 반려동물들은 그저 덜덜 떨며 살아주고 있는 것일 수도 있다.
인터넷에서 어떤 글을 보았다. 동물은 인간(주인)과 함께 있을 때 안도감과 큰 행복을 느낀다고 한다. 반려동물을 키우는 사람이라면 대부분 동의할 것이다. 하지만 이것들은 모두 인간의 입장에서 생각한 것이다. 동물들의 이야기도 들어봐야한다. 동물이 말을 할 수 있고, 행복하냐는 질문에서 그 대답이 ‘아니’라고 한다면, 어떻게 해야할까? 우리는 앞으로 어떤 변화를 맞이하게 될까. 나는 이러한 질문들을 매번 나에게 던지며 한가지 결심한 것이 있다. 나는 우리 강아지가 세상을 떠나면 새로운 반려동물을 데려오지 않을 것이다. 반려동물과 함께 사는 것은 강아지, 혹은 고양이에게 너무 가혹한 일이라고 생각했다. 나 스스로가 죄책감을 가지게 된다. 그 죄책감을 조금이나마 덜고, 지구의 모든 생명체와 더불어 살아가고싶다.
첫댓글 애완동물에서 반려동물로 이름이 달라지고, 동물의 생명권이 보장되어야 한다는 주장이 일반적으로 수용되고 있습니다. 그러므로 동물도 행복할 것이라는 게 오늘날 우리의 상식입니다. 그런데 이 글에서는 과연 동물이 행복할까 라는 질문을 던짐으로써 익숙한 것들을 낯설게 만듭니다. 그러면서 인간의 이기심으로 이야기를 확대해가고 있습니다. 과연 동물을 기르는 것이 인간만을 위한 것인지에 대한 대답은 각자의 가치관에 따라 달라질 수 있겠습니다. 하지만 반려동물과 함께 하는 삶을 선택하거나, 그렇지 않거나 다양한 생명체와 공존하는 삶이라는 점에서 인간의 이기심을 경계해야 한다는 동일한 결론에 이를 수 있겠지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