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명: Polygonatum inflatum Kom. 분류: 백합과(Liliaceae) 학명풀이: Polygonatum : Many knee joints, angles inflatum : Inflated, swollen
퉁둥굴레는 1개의 꽃자루에 달리는 꽃의 갯수(= 포의 개수)가 2-5개로 다양하다. 4개 또는 5개 달린 것도 있다.
***** 둥굴레속 식물들 비교표(수정 2010.7.27):
추가: 아래 3종류도 포가 없고 잎은 호생한다. 선둥굴레: 잎 - 좁은 타원형. 이면 맥위와 엽연에 돌기; 꽃 - 화경에 2-4개 달림, 안쪽 화피 열편이 凹 형; 줄기: 직립하고 능각 없음
늦둥굴레: 잎 - 좁은 타원형: 꽃 - 화경에 2-4개 달림, 회피는 깔때기 모양; 줄기 - 직립하다가 정단부에서 아래로 처짐, 능각 없음
풍도둥굴레: 둥굴레와 거의 같으나 수술대에 돌기가 없다 ----위의 비교표에 빠진 것: 암수둥굴레( 기재 정보 부족), 무늬둥굴레 <위의 비교표는 <국생정> 기재문과 장창기님의 <한국산 둥굴레속의 분류학적 재검토(2002)>을 바탕으로 작성, 차이가 있는 곳은 장창기님의 논문을 따름> *** 분포 지역
<국생정> 설명: 잎 잎은 호생하며 2줄로 배열되고 길이 10-15cm, 폭 4-7cm로서 긴 타원형이며 양면에 털이 없고 표면은 녹색, 뒷면은 백록색이다.
열매 열매는 지름 1cm정도인 타원형의 장과이며 검게 익는다.
꽃 꽃은 5-6월에 피고 통형이며 연한 녹색이고 길이 22-25mm로서 안쪽 일부분에 수술대와 더불어 털이 있으며 끝이 좁고 엽액에 달린다. 화경은 길이 2.5-4cm로서 3-7개의 꽃과 더불어 같은 수의 포가 달리고 포는 피침형이며 끝이 뾰족하고 안쪽으로 약간 접히며 길이 4-8mm로서 1맥이 있다. 소화경은 곧고 포와 길이가 거의 비슷하며 꽃밥은 길이 4mm정도로서 수술대 길이의 1/2정도이다. 수술은 6개이며 끝이 편평하다.
줄기 원줄기는 상반부가 옆으로 처지면서 전체가 비스듬히 서고 높이 30-80cm로서 윗부분에 능각이 있다.
뿌리 근경은 굵고 옆으로 뻗는다.
원산지 한국
분포 전국 산지에 분포한다.
형태 다년생 초본이다. 크기 높이는 30-80cm이다. 백합과 둥굴레속 (국생정 등재 18종): 각시둥굴레 Polygonatum humile Fisch. ex Maxim. 둥굴레 Polygonatum odoratum var. pluriflorum (Miq.) Ohwi 왕둥굴레 Polygonatum robustum (Korsh.) Nakai 용둥굴레 Polygonatum involucratum (Franch. & Sav.) Maxim. 죽대 Polygonatum lasianthum Maxim. 진황정 Polygonatum falcatum A.Gray 층층갈고리둥굴레 Polygonatum sibiricum Delar. 층층둥굴레 Polygonatum stenophyllum Maxim. 퉁둥굴레 Polygonatum inflatum Kom. 풍도둥굴레 Polygonatum odoratum (Mill.) Druce var. odoratum 늦둥굴레 Polygonatum infundiflorum Y.S.Kim, B.U.Oh, C.G.Jang 목포용둥굴레 Polygonatum cryptanthum H.Lev. & Vaniot 무늬둥굴레 Polygonatum odoratum var. pluriflorum for. variegatum Y.N.Lee 산둥굴레 Polygonatum thunbergii Morr. & Decne. 선둥굴레 Polygonatum grandicaule Y.S.Kim, B.U.Oh, C.G.Jang 안면용둥굴레 Polygonatum desoulavyi Kom. 암수둥굴레 Polygonatum stenanthum Nakai 종둥굴레 Polygonatum acuminatifolium Kom.
|
출처: wildblumenspeicher 원문보기 글쓴이: 대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