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Daum
  • |
  • 카페
  • |
  • 테이블
  • |
  • 메일
  • |
  • 카페앱 설치
 
카페 프로필 이미지
노무사의 길을 걷는 사람들
 
 
 
카페 게시글
[2차]인사노무관리 승진관리 질문있어요!
뇸뇸뇸뇸 추천 0 조회 637 22.08.16 03:08 댓글 9
게시글 본문내용
 
다음검색
댓글
  • 22.08.16 08:55

    첫댓글
    최중락쌤 듣고 있지만, 아는대로만 답변 드릴게요!

    1.

    제가 그래프를 보지는 못하지만, 신입사원의 경우 1년차보다 2년차가 일 더 잘하고, 2년차보다 3년차가 더 일 잘하잖아요?? 그래서 입사 초기에는 연공급 중심의 승진관리를 하되, 29년차랑 30년차는 그닥 차이가 없을 것이기에 일정 근속연수가 지나면 능력 위주의 인사제도를 실시해라~ 이런 그래프일 것 같습니다!

    경력평정 = 근속연수,
    인사(중락쌤 책에는 인사고과로 되어있긴 합니다) = 능력
    연수평정 = 근속연수(왜냐면 일정한 시간이 지나야 받을 수 있는 교육이 있기 때문에) + 능력(나이 들었다고 다 교육시키는게 아니라 똘똘한 애들만 골라서 교육시키니깐)
    입니다!

    2.

    승진의 요소는 크게 1) 직급(대리, 과장 등)의 승진이 있는지, 2) 맡는 직무의 중요도 혹은 권한/책임 등의 상승이 있는지 등을 통해 구분할 수 있는데,

    자격승진은 직급의 요소를 분리하고 능력에 따라 역량등급을 향상시키는 승진제도이고

    나머지 승진 제도는 중락쌤이랑 워딩이 달라서 함부로 답변을 못 드리겠네요 ㅠㅠ

  • 작성자 22.08.16 11:05

    오!! 완전 이해됐어요 ☺️ 감사합니다! ㅎㅎ

  • 22.08.16 09:37

    실무 기준에서 설명 드릴게요!

    1) 직위승진 : 가장 일반적인 사원-주임-대리-과장 등등 승진입니다.

    2) 직능승진 : 같은 주임이어도 직능등급체계 기준으로 해서 급수가 나뉘게되고, 그 급수에 따라 받는 보상이 달라지게 되는 거라고 보시면 됩니다. (주임 1급 = 월 200, 주임 4급 = 월 350 이런 식?) 이렇게 되면 대리가 주임보다 높은 직위라고 해도 대리보다 보상 수준이 높은 주임도 있을 수 있겠죠.

    3) 대용승진 : 대용승진은 보통 두 가지 케이스가 있는데, 막 사원으로 입사한 경우 영업직군으로 바로 필드에 내보내기엔 직위가 너무 낮으니까 혹 업무 수행에서 어려움이 있을 걸 대비해서 대외용 직위로서 승진을 시켜주거나 (대신 보상이 높아지는 건 아님) / 정년을 앞두신 분들에 대해 예우차원에서 계장-> 대리, 과장 승진을 시키는 등 (보상 수준을 바꾸진 않은 호칭만 변경된 승진) 방식이라고 보시면 될 거 같아요.

    4) 직책승진 : 같은 과장이여도 팀원인 과장, 팀장인 과장, 실장인 과장, 본부장인 과장의 책임과 권한 수준은 달라집니다. 근로자의 직책에 맞추어 보상수준과 책임수준을 달리 하는 승진이라고 보시면 될 것 같습니다.

  • 22.08.16 09:41

    위 내용 기준으로 했을 때 결국 직위승진만을 운영하기엔 TO도 부족하고, 재원 기준에서도 기업차원에서 부담이 있는데 그렇다해도 직원 동기부여를 생각하면 승진제도를 운영하지 않을 수가 없겠죠.

    그러다보니 과거처럼 연공만을 기준으로 승진시키는 직위승진의 프레임을 일부 벗어나서 능력 베이스가 더해진 직능 혹은 직책(직책을 달려면 업적, 역량 모두 좋은 사람이어야 하니까)을 결합시켜서 운영하는 승진 방식들이 추가된 것이라 보시면 되겠습니다 :)

    결국 다들 같은 직위라 하더라도 별도의 추가적 보상시스템을 더한 승진제도를 더함으로써 (같은 대리여도 능력을 갖춘 자들이 더 많은 보상을 받을 수 있도록) 종업원 동기부여를 이끌어내고자 하는 거라 생각하시면 될 거 같아요.

  • 작성자 22.08.16 11:06

    설명해주신거 보고 책보니 이해됐습니당!! 😇 완전 감사드려요💚

  • 삭제된 댓글 입니다.

  • 작성자 22.08.16 11:07

    전 희미한 기억조차..🥲
    말씀해주신 내용 맞는거 같아요! 감사합니다 😊

  • 22.08.16 20:55

    인사평정은 개인별 인사평가에서 받은 점수를 의미하고, 연수평정은 개인이 교육훈련 프로그램에 참여하여 얻은 점수를 의미합니다ㅎㅎ

    그래프 관련해서는, 표준연수를 기점으로 초반에는 개인에게 많은 권한이 주어지지 않기 때문에 경력평정을 우선시하고, 후반에는 개인에게 많은 권한이 주어지기 때문에 경력평정보다는 인사평정과 연수평정을 좀 더 반영하는 것이 능력주의 승진관리에 부합하다는 의미입니다!

    직위승진은 말씀하신대로 상위명칭의 직위로 이동하는 것이고, 연공주의 승진정책으로 말씀해주셨어요!
    직능자격제도는 속인+속직적 특징 섞인 직무수행능력을 기준으로 한다는 점에서 절충안이고,
    직책승진은 직책이라는게 단위조직에서의 권한과 책임을 의미하는거라, 연공이 올라감에 따라 경험이 축적돼 그에 따른 권한 책임을 올려주는 것이라고 설명하시면서 연공주의라고 하셨습니다!

    혹시나 틀린게 있으면 알려주세요!!🍀

  • 작성자 22.08.17 01:10

    우왕...내용 맞는것 같습니다! 친절한 답변 감사해요☺️

최신목록